2011.01.25 18:22

위그선

조회 수 407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물의 저항없이 항공기만큼 빠르게 달리는 배 

 

배가 가장 빨리 달릴 수 있는 한계는 얼마일까? 배는 꼭 물 위에만 달릴 수밖에 없는가? 그동안 물 위를 달리는 고속함의 속력은 80~90㎞/h로 한계가 있는데 이는 배가 물에서 받는 저항을 극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물의 저항 없이 항공기만큼, KTX보다 더 빠르게 달릴 수 있는 배가 바로 위그선(WIG Ship, Wing in Ground Effect Ship)이다.

위그선은 1960년대 구소련에서 군사용으로 비밀리에 개발됐고, 76년 미국 스파이 위성을 통해 그 실체가 세상에 알려졌다.

 위그선은 항공기가 수면을 아주 낮은 고도로 항주 시 날개 하부에 공기가 밀집돼 양력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해면효과(Wing In Ground Effect)를 이용해 물 위를 나는 원리로, 기존의 배로는 상상하기 힘든 시속 150~500㎞/h의 고속기동을 할 수 있다.

 또 이 배는 연료비가 기존 항공기의 절반 수준이며, 수상에서 이·착수함에 따라 별도 활주로와 같은 부대시설이 필요 없고, 기존 부두시설만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엔진 고장 등 비상사태 발생 시 수면 위에 착륙이 가능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어 기존의 함정 및 항공기와는 확연히 구분되는 특성이 있다. 위그선은 해면 1~5m 높이로 저고도로 비행하기 때문에 지상이나 해상에서 레이더 탐색이 어려워 성공적인 침투작전 수행이 가능하고, 수중방사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적의 잠수함으로부터 탐지가 곤란해 수상함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생존성을 보유한 장점이 있다.

 함정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주어진 임무를 완수해야 하기 때문에 우수한 기동성·생존성·전투력·내항성능·조종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위그선은 지금까지 개발된 함정과는 다른 차원에서 군 요구조건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구소련에서 개발한 대형 위그선은 최대이륙 중량 540톤, 항속거리 1500㎞, 850명의 군 병력 수송이 가능한 함정으로 오늘날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일본·독일·중국·호주에서도 상용 또는 군사용으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모체가 됐다.

구소련은 군사용으로 위그선을 개발, 상륙함 및 유도탄함으로 실용화한 점을 고려해 볼 때 위그선이 군사용으로 입증됐다고 할 수 있다.

위그선에 대함미사일·대잠어뢰·기뢰 등의 무장을 탑재할 경우 북한이 현재 보유한 공기부양정, 고속정, 잠수함 세력에 대한 적절한 대응 전력인 미래의 함정으로 유용하게 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2005년부터 민간 인원수송의 목적으로 자체 개발을 착수했고, 20인용 인원수송용 위그선에 대한 실선시험을 거쳐 2011년 40~50인승 위그선 제작 시험 및 2014년에 최대 400여 명이 탈 수 있는 중·대형 위그선을 건조할 예정이다.

 우리나라 상용 위그선 개발의 성공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다수의 섬 지역을 방어해야 할 지리적 조건 및 신속·정밀·전천후 작전지원이 필요한 현대의 전장 환경을 고려할 때 차세대 신개념의 함정 개발의 초석이 될 수 있다.

장거리 작전뿐만 아니라 해상에서 빠른 속도를 강점으로 한 대공·대함·대잠·상륙작전 등 다양한 작전능력 향상 측면에서 큰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본다.

 <김범석 해군중령·국방기술품질원> 국방일보 2011.1.25일자


TAG •

  1. 군인정신 6대 요소

    연평도 포격도발 시 대응 사격을 준비하는 해병대원 ◆토의 주제◆ 주제 1:군인정신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지 얘기해 보자. 주제 2:군인정신을 확립하고 실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토의해 보자. 지난해 11월 26일, ...
    Date2011.06.14 By운영자 Views20421
    Read More
  2. 육군 정보통신병과

    육군정보통신병과가 15일로 창설 65주년을 맞았다. 병과의 시작은 광복 이후 남한 내 군사조직의 창설과 함께했다. 1946년 6월 15일 남조선 국방경비대 총사령부 내에 통신과를 설치하고 경비대의 지휘통제 및 지원업...
    Date2011.06.14 By운영자 Views9740
    Read More
  3. 독일군의 국방개혁(상)

    독일 연방군은 1955년 창설 이래 여러 차례에 걸쳐서 변혁을 통해 새로 태어나는 것을 반복해 왔다. 통일 이후에는 대대적인 군사력 정비계획과 함께 국방개혁을 시작해 냉전시기에 유지하던 49만5000명의 군인을 90...
    Date2011.06.08 By운영자 Views3333
    Read More
  4. 인터넷에 올린 軍생활관 사진은 적법한가?

    &lt;황보근 공군중령 국방부조사본부 사이버범죄수사과장&gt; &lt;국방일보 기고 2011.6.3 &gt; 최근 인기 절정의 연예인 현빈 씨가 29세의 나이로 해병대에 자원 입대해 사격훈련 중인 사진이 인터넷에서 인기다. 이 사진에 댓글...
    Date2011.06.05 By운영자 Views5157
    Read More
  5. No Image

    한국 국방개혁 관련 법제화, 어떻게 추진되고 있는가?

    &lt;국방일보 2011.6.1 &gt; 오늘부터 ‘세계의 국방개혁’란을 10회에 걸쳐 연재합니다. 이 코너를 통해 우리의 국방개혁 관련 법률 내용 및 추진 계획과 함께 미국ㆍ대만ㆍ독일 등 세계 각국에서 진행됐던 국방개혁의 배경,...
    Date2011.05.31 By운영자 Views3033
    Read More
  6. 무선송전기술 - 미리보는 미래무기

    무선송전기술의 개념도. 이 기술은 올해 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선정한 10대 미래유망기술에 포함됐다. 얼마 전 아이와 광화문에 위치한 녹색성장체험관에 들른 적이 있다. 힘차게 펌프를 움직이면 오선지 상...
    Date2011.05.31 By운영자 Views5324
    Read More
  7. No Image

    한미 지휘관계와 조화

    상부지휘구조 개편은 2015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에 대비해 우리 군이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대적 과업이다. 오늘은 상부지휘구조 개편에 따른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전후의 한미 지휘관계에 대해...
    Date2011.05.24 By운영자 Views3198
    Read More
  8. No Image

    군 장성 2015년까지 30여명 감축

    국방부, 국방군수본부(가칭)도 창설 추진 / 국방일보 이주형기자 2011.05.17 국방부가 추진 중인 상부지휘구조 개편에 따라 육군대장직 1개를 비롯한 30개 내외의 군 장성 직위가 2015년까지 감축된다. 또 물자와 비...
    Date2011.05.16 By운영자 Views3746
    Read More
  9. 합참 중심의 전구작전 지휘·수행체계 구축

    전작권 전환으로 안보 상황 새로운 변화 우리 군 주도 작전 수행위해 군 체계 정비 /국방일보 2011.05.17 2015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은 우리 군 역사의 일대 전환점이라 할 수 있을 만큼 전혀 새로운 안보 상황의 변...
    Date2011.05.16 By운영자 Views4342
    Read More
  10. 육군3군단 특공부대, 한미 연합 공중강습훈련

    육군3군단 특공부대 장병들이 지난 13일 실시된 한미 연합 공중강습훈련에서 공중기동을 위해 미군의 UH-60 블랙호크 기동헬기에 탑승하고 있다. 육군3군단 특공부대는 지난 13일 강원 양구군 일대에서 육군항공작전...
    Date2011.05.16 By운영자 Views7435
    Read More
  11. No Image

    2011년 4월 15일 국방위원회 임시회의록

    제299회-국방소위제1차(2011년4월15일) 1 第299回國會 (臨時會) 國防委員會會議錄 ( 法律案審査小委員會) 第 1 號 (임 시 회 의 록 ) 國 會 事 務 處 日 時 2011年4月15日(金) 場 所 國防委員會小會議室 議事日程 1. ...
    Date2011.05.11 By운영자 Views4051
    Read More
  12. 1955년 보전포 협동공격 시범훈련

    보전포 협동공격 시범훈련이 1955년 5월 6일 광주 상무대 훈련장에서 펼쳐지고 있다. 보병 전투원과 전차 사이에서 휴대용 대전차 로켓 발사기인 바주카 포로 가상 적을 겨냥하고 있는 한 병사의 늠름한 모습에서 오...
    Date2011.05.10 By운영자 Views4115
    Read More
  13. 국군 최초 보유 전차 M36

    우리 육군은 6·25전쟁 개전 초 전차를 단 1대도 보유하지 못한 탓에 소련제 T-34 전차를 앞세우고 남침한 북한군을 상대로 고전을 면치 못했다. 우리 육군이 기갑전력 확보를 시급한 과제로 생각했음은 물론이다. 그 ...
    Date2011.04.28 By운영자 Views5303
    Read More
  14. 특별부대와 특수부대

    1946~48년 군수·특수부대 잇따라 창설 / 국방일보 2008.03.12 건군기 육군은 조선경비대 시기에 창설한 특별부대인 보급부대와 육군 개편 이후에 설치한 특수부대인 유격부대를 운용했다. 보급부대는 1946년 7월 1일 ...
    Date2011.04.28 By운영자 Views6293
    Read More
  15. 현충일의 제정

    평화에 대한 열망에도 불구하고 전쟁은 개인적인 호악(好惡) 여부와 무관하게 역사상 피할 수 없는 현실로 존재했다. 6·25전쟁 역 시 한국인의 모든 삶을 일시에 혼란과 고통의 나락으로 내몬 비극이었다. 그러나 자...
    Date2011.04.28 By운영자 Views383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0 Next
/ 2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