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 병사들의 자살이 잇따르는 가운데 군내 자살자들이 2005년 이후 줄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방부에 따르면 2005년 64명이던 군내 자살자는 2006년 77명, 2007년 80명, 2008년 75명, 2009년 81명에 이어 지난해 82명으로 집계됐다. 2009년 기준으로 군에서는 10만명당 12.4명이 자살했으며, 사회에서는 20∼29세 남자 25.3명이 목숨을 끊었다. 2010년에는 10만명당 12.6명이 자살했다. 국방부는 자살예방종합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예방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20110711181104417.jpg

그러나 10일 오후 10시20분쯤 경북 포항 해병 1사단 보병부대 소속 정모(20) 일병이 부대 내 목욕탕에서 목을 매 숨졌다. 생활관에서 발견된 유서에는 '부모님에게 미안하다'는 내용이 들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정 일병이 신변을 비관해 자살한 것으로 추정하면서도 부대에서 가혹행위가 있었는지를 조사 중이다. 부모는 정 일병이 '작업열외'를 당했으며 시신 가슴 부분에 3군데 구타 흔적이 있다고 주장했다. 작업열외란 군대 내 여러 작업에서 빠지는 것으로, 제대를 앞둔 선임병에게 주로 적용되나 후임병에게 수치심을 주기 위해 악용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지난 4일 총격사건이 발생한 해병대 2사단 강화도 해안소초가 사건 발생 직전 받은 총기·탄약관리 불시점검에서 '이상무(無)' 판정을 받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국회 국방위 소속 민주당 신학용 의원이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총격사건 4일 전인 지난달 30일 오전 4시12분부터 1시간30분 동안 이 소초는 상급 부대인 81대대로부터 불시점검을 받았다. 불시점검 결과서를 보면 '총기·탄약 이상 유무 확인 및 열쇠 분리 보관 교육'이 이뤄졌으며, 해당 소초에는 '이상이 없다'는 평가가 내려졌다고 신 의원 측은 밝혔다. 그러나 이번 사건 조사결과, 해당 소초의 총기 관리 실태는 총체적으로 부실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신 의원은 "불시점검이 사전에 고지되는 등 부실점검 의혹이 있다"고 지적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

TAG •

  1. 해군함정, 어떻게 구분할까?

    해군함정 한눈에 구분하는 법 자료참조 : 대한민국해군지
    Date2010.06.19 Views4501
    Read More
  2. 해군의 함제명칭은 어떻게 제정되는가?

    Date2010.06.19 Views3343
    Read More
  3. 베레모의 여군 (1971년) 배달의기수

    Date2010.06.19 Views4059
    Read More
  4. UDT (1970년) 배달의기수

    Date2010.06.19 Views4360
    Read More
  5. 공군 F5전투기 1대, 훈련 중 추락...기체 결함 가능성 높아

    [3신 :18일 오후 7시] F5전투기 추락 원인, 기체 결함일 가능성 높아 18일 공군 F5전투기 추락으로 순직한 박정우 중령(42·공사 39기)은 2217시간의 비행시간을 기록한 베테랑 조종사였다. 박 중령은 철저한 자기관리...
    Date2010.06.18 Views4290
    Read More
  6. 제47회 국군모범용사 명단

    [서울신문]서울신문과 국방부는 공동으로 육·해·공군·해병 부사관의 사기를 진작하기 위해 모범용사 60명을 선정, 13일 발표했다. 다음은 제47회 국군모범용사 명단. ◇육군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이명직 원사 △1107공...
    Date2010.06.14 Views7199
    Read More
  7. 軍 지휘체계 개편·국방선진화 박차

    천안함 사태 후속조치가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이명박 대통령은 14일 연설에서 "책임질 사람은 책임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군의 인사와 지휘체계 개편을 예고한 것이다. 군당국은 전역지원서를 제출하고 물러...
    Date2010.06.14 Views2260
    Read More
  8. 軍장병 '영정사진' 촬영 논란에 촬영중단 결정

    [마이데일리 = 금아라 기자] 유사시 대비를 위한 군 장병들의 증명사진 촬영 지시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적 불안감이 확산되자 국방부가 사진촬영 중단을 결정했다. 9일 밤 MBC '뉴스데스크'는 "국방부는 유사시 영...
    Date2010.06.10 Views4030
    Read More
  9. 독도함

    사진출러 : 플릭코리아 대한민국해군
    Date2010.06.07 Views3312
    Read More
  10. 국제관함식의 독도함

    Date2010.06.06 Views6247
    Read More
  11. 독도함 물청소

    사진출처 : http://www.flickr.com/ ROKNAVY님의 포토스트림
    Date2010.06.06 Views4352
    Read More
  12. [주간동아 단독] 천안함사고직후 코앞 ‘해병수색대’ 안 불렀다!

    해군 사고 초기 대응 난맥상 … 백령도 해병 현장까지 10분, 고속단정도 보유 해군이 천안함 사고 직후, 해경구조대를 1시간여 기다리는 동안 10분 지척에 있는 백령도 해병 6여단 수색대에는 공식 구조요청을 하지 않...
    Date2010.05.30 Views4303
    Read More
  13. 북한의 특수부대

    국방백서(국방부·2006)는 북한의 특수부대에 대해 “전방군단 특수전 부대를 포함해 12만여 명에 달하고, 유사시 남한 전 지역에 동시 다발적으로 침투해 후방지역 교란과 혼란 조성을 기도할 것이며, 전선지역의 주요...
    Date2010.05.28 Views6977
    Read More
  14. 북한군의 군사교육훈련

    북한군의 군사교육훈련은 소위 남조선혁명을 위한 대남전략 연장선에서 혁명을 위한 군대 육성에 바탕을 두고 있다. ‘혁명적 군대육성’이란 정치사상과 전략·전술의 우세로 양적(量的)·군사기술적 우위인 적을 이길 ...
    Date2010.05.28 Views7266
    Read More
  15. 북한군의 신병훈련과 신병훈련소

    북한에는 부대별로 신병훈련소가 편성돼 있다. 신병훈련소가 없는 경우에는 병영 내 건물 일부에 임시로 교육대를 만들어 운영하기도 한다. 교육훈련을 지도하고 감독하는 군관(장교)과 하사관(부사관)은 군단이나 사...
    Date2010.05.28 Views11544
    Read More
  16. 분단의 상징, “JSA”

    남북을 갈라놓고 있는 군사분계선은 서쪽으로 예성강과 한강 어귀의 교동도에서부터 개성 남쪽의 판문점을 지나 중부의 철원 김화를 거쳐 동해안 고성의 명호리에 이르는 248㎞( 155마일)의 길이로한반도를 가로 지르...
    Date2010.05.28 Views3812
    Read More
  17. 증원전력 “TPFDD”

    한·미연합사령부는 유사시 미 증원전력을 신속하게 한반도에 전개함으로써 유엔사 및 연합사 전시 작전계획을 지원할수 있도록 계획을수립하여준비하고 있다. 주한미군이 한반도에서 유사시 초전방어의 역할을 한다면...
    Date2010.05.28 Views4361
    Read More
  18. 한·미연합군사령부

    한·미연합군사령부, “평화수호의 보루” 한·미연합군사령부(Combined Forces Command; CFC)는 한·미동맹의 상징이요, 연합방위체제의중추역할을 수행해 왔다. 한국의 방어역량이 향상되면서 한·미 양국은 연합군사령부...
    Date2010.05.28 Views576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4 165 166 167 168 Next
/ 16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