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무장 전시 등 행사 다채  수송기 독도 비행·탑승 기회도

기사사진과 설명
공군11전투비행단에서 개최된 ‘6·25전쟁 정전 60주년 공군작전 전승행사’ 중 F-4 전투기가 축하비행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김경률 상사

공군11전투비행단에서 개최된 ‘6·25전쟁 정전 60주년 공군작전 전승행사’ 중 F-4 전투기가 축하비행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김경률 상사

 

기사사진과 설명
공군11전투비행단에서 개최된 ‘6·25전쟁 정전 60주년 공군작전 전승행사’ 중 F-15K가 플래어 무장을 발사하며, 수직상승기동을 선보이고 있다.

공군11전투비행단에서 개최된 ‘6·25전쟁 정전 60주년 공군작전 전승행사’ 중 F-15K가 플래어 무장을 발사하며, 수직상승기동을 선보이고 있다.

 “잠시 후 우리 항공기는 독도상공에 도착하겠습니다,”

 4일 오후 3시 20분 공군대구기지를 이륙한 CN-235 항공기 내에 안내방송이 나오자 탑승객들의 눈이 창 밖으로 쏠렸다.

 오른쪽 창 밖으로 커다란 바위섬 두 개가 선명하게 들어오자 탑승객들이 입에서는 ‘우와~’라는 탄성이 저절로 터져 나왔다. 이 항공기 탑승객들은 공군이 6·25전쟁 정전 60주년을 기념해 마련한 공군작전 전승(戰勝) 행사에 참가했던 참석자들 중 일부.

부대행사로 마련된 O·X 퀴즈 참가자 중 최종 선발된 40여 명이 공군 CN-235 항공기 2대에 나눠 타고 우리 영토의 동쪽 끝 독도 상공을 비행하는 행운을 잡은 것이다.

 오후 2시쯤 대구기지를 이륙한 CN-235 항공기는 50여분을 날아 울릉도 상공에 도착, 탑승객들에게 구름에 가린 성인봉을 비롯한 울릉도의 비경을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퀴즈 참가자 중 다른 40여 명은 공군의 탐색구조헬기 HH-47에 탑승, 대구지역 상공을 비행하는 체험을 했다.

 이번 수송기 탑승 독도방문 이벤트에 참가한 공한식(62) 전 입석중학교 교감은 “평생 꿈이었던 독도방문을 공군을 통해 이뤘다”며 “소중한 경험을 하게 해준 공군에 감사한다”고 말했다.

 6·25전쟁 당시 공군의 활약상을 재조명하기 위한 ‘6·25전쟁 정전 60주년 공군작전 전승행사’는 오전부터 대구기지에서 펼쳐졌다.

 행사가 진행된 대구기지는 6·25전쟁 당시 F-51 전투기 인수와 첫 출격 임무를 수행한 곳으로 F-4, F-16, F-15K 등 신예 전투기가 도입될 때마다 전력화 임무를 전담해 온 의미 깊은 기지다.

 또 대구기지에 자리 잡은 102전투비행대대는 우리 공군 최초의 단독작전인 ‘승호리철교 차단 작전’을 수행했던 12전투비행중대(당시 강릉기지)가 모태이기도 하다.

 오전 10시 시작된 식전 행사에서는 의장대 시범과 타악기 퍼포먼스가 펼쳐져 청중의 이목을 자연스럽게 집중시켰다. 이어진 전승기념식에서는 성일환 공군참모총장과 유승민 국회 국방위원장 등 주요 내빈과 태극기·유엔기·참전국기 기수단이 입장하며 참전용사의 명예를 선양하는 헌화와 묵념이 있었다.

 또 이명휘(예비역 공군소장) 참전유공자회 회장의 회고사와 성 총장의 기념사 등이 이어졌다.

 이 자리에서 성 총장은 “공군은 6·25전쟁 기간 중 총 8500여 회 출격해 전쟁 승리의 견인차 역할을 했고 선배 전우들의 헌신과 희생정신을 바탕으로 오늘날 최신예 F-15K 전투기와 E-737 항공통제기를 운영하고, 수년 뒤 공중급유기를 도입하는 등 명실상부한 최정예 강군으로 성장했다”며 “국가방위의 핵심전력으로서 선배 전우들의 애국심과 희생정신을 이어받아 평시 전쟁을 억제하고 유사시 적의 어떠한 도발에도 신속·정확하게 타격, 응징함으로써 국가안보의 최후 보루로서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식후 행사에서는 F-15K, E-737 등 현재 공군이 운용하는 주요 항공전력이 행사장 상공에서 축하비행을 하며 관람객들에게 공군의 위용을 자랑했다.

 이 외에도 항공기 탑승 체험, 6·25전쟁 사진전, F-15K 전투기 및 무장 전시, 종이 비행기 만들기 등 다양한 전시·체험·홍보마당도 마련됐다.

 6·25사업단 황인우 대령은 “6·25전쟁 때부터 막중한 임무를 담당해 온 대구기지에서 ‘공군작전 전승행사’를 개최하는 것은 한국 공군의 역사를 아우르는 뜻 깊은 일”이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전 국민이 참전용사와 유엔군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갖고 6·25전쟁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겨 보고 안보관을 확립하는 뜻 깊은 계기가 됐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6·25 전쟁때 공군의 주요 작전

 

 ▶F-51 전투기 인수 및 출격작전
 1950년 6월 25일, 단 한 대의 전투기도 없는 상황에서 북한의 침략을 받은 우리 공군은 다음날인 26일, 미국으로부터 F-51 전투기를 지원받기 위해 이근석 대령을 비롯한 10명의 조종사를 일본 이타즈케 소재 미 공군기지로 파견했다. 일본에 도착한 조종사들은 조국수호의 일념으로 즉각 훈련에 들어갔으나, 기상악화와 정비작업 등으로 나흘 동안 1인당 20~30분밖에 훈련할 수 없었다. 그러나 전황이 급박하다는 소식을 접한 조종사들은 일본에서 훈련만 할 수 없다고 판단해 귀국을 요청, 7월 2일 10대의 F-51 전투기를 몰고 현해탄을 건너 대구기지에 도착했다. 다음날인 3일, 첫 출격한 F-51 전투기 편대는 동해안 삼척 지구 등에 상륙한 적 지상군을 공격해 적 탱크와 차량을 격파하는 전공을 세웠다.

 ▶승호리철교 차단작전
 52년 1월 15일 북한의 주요 보급로였던 승호리철교를 성공적으로 완파한 우리 공군의 최초 단독작전이다. 유엔 공군이 500회 이상 출격했음에도 적의 강력한 대공포 방어 때문에 폭파하지 못했던 평양 동쪽 10㎞에 위치한 승호리철교를 미5공군의 요청에 따라 우리 공군이 F-51 전투기를 13회 출격시켜 철교 경간 2개를 파괴하는 한편 포진지 6개소와 보급품집적소 1개소, 벙커 3개소, 건물 4동을 파괴하는 전과를 세웠다.

 ▶평양대폭격 작전
 52년 8월 29일 북한의 전쟁의지 말살을 위해 유엔 공군과 함께 출격한 우리 공군의 F-51 전투기 36대가 북한 공장시설 9동을 파괴하고 10동에 피해를 입힌 대폭격 작전이다. 52년 7월 11일 유엔 공군은 북한의 주요 군사 목표를 파괴함으로써 북한 정부가 유엔의 전쟁 중지 제안을 수락하도록 하기 위해 항공압박작전의 일환으로 평양대폭격 작전을 시작했다. 우리 공군을 포함해 총 1403대의 유엔 공군전력이 투입돼 평양 내 45개 목표 중 31개 이상의 주요 군사시설을 완전 파괴시켰다.

 ▶351고지전투 항공지원작전
 52년 10월 28일부터 휴전협정이 체결된 53년 7월 27일까지 351고지에서 적과 교전 중인 아 지상군을 지원한 항공작전이다. 휴전협정을 앞두고 북한군과 아 육군이 한 치의 땅이라도 더 확보하기 위해 혈전을 벌이는 상황에서, 우리 공군뿐만 아니라 미 5공군·미 해군 7함대가 연합으로 수행한 최초의 대규모 연합공지합동작전으로 우리 공군은 총 900여 회 출격했다. 



  1. 전공상자의 민간병원 진료비, 완치까지 지급

    ㅁ 공무수행 중 부상이나 질병을 얻은 군인이 군 병원에서 진료가 제한되어 민간병원을 이용할 경우, 국가가 그 치료에 소요된 비용을 기간의 제한 없이 지원할 수 있게 된다. ㅁ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군인연금법」...
    Date2015.12.12 Views216
    Read More
  2. 2016년도 국방예산 38조 7995억 원으로 확정

    ㅁ 2016년도 국방예산이 12월 3일 국회 의결을 거쳐전년 대비 3.6% 증가한 38조 7,995억 원으로 확정되었다. ㅇ 국방부 소관 전력운영비는 적정 군수지원‧교육훈련을 통한 확고한 국방태세 확립, 열린 병영문화 정착...
    Date2015.12.07 Views234
    Read More
  3. 조국 해양수호 전초기지 해군제주기지전대·해병대9여단 창설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강정동에 건설 중인 제주민군복합항의 마무리 공사가 한창인 가운데 계류시험 중인 해군 함정이 안전하게 정박하고 있다. 해군 제공 제주 민군복합형관광미항(이하 제주민군복합항) 완공이 ...
    Date2015.11.29 Views358
    Read More
  4. 군 강화 지역 가뭄 극복 위해 시추 장비 투입

    ㅁ 국방부는 지속되는 가뭄으로 인한 강화 지역 농민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군 장비와 병력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ㅇ 전국적으로 가뭄이 지속되는 가운데 특히, 가뭄 피해가 심한 강화 지역의 연 누적 강우량은 ...
    Date2015.11.29 Views200
    Read More
  5. 국민대통합위원회, ‘생활 속 작은 영웅 24인’ 발표…현역·예비역 장병 7명 포함

    고현종·이찬우 대위, 이수안 중위, 고(故) 정연승 상사, 전문균·주찬준·장우민 예비역 병장. 이들은 국민대통합위원회(이하 대통합위)가 19일 발표한 ‘생활 속 작은 영웅 24인’에 포함된 자랑스러운 현역·예비역 장병...
    Date2015.11.20 Views528
    Read More
  6. 군인아파트 내 공동육아 나눔터 4개소를 연달아 열어

    ㅁ 국방부는 전방지역의 열악한 군인 자녀 보육여건 개선의 일환으로 여성가족부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롯데그룹의 지원을 받아 군인아파트 내에 공동육아나눔터 4개소를 설치하였으며, 11월 18일(수) 육군 5사단을 ...
    Date2015.11.18 Views274
    Read More
  7. 제6회 위국헌신상 시상식 개최

    □ 국방부와 조선일보사가 공동 주관하는 제6회 위국헌신상 시상식이 오늘(11.17.) 국방부에서 개최된다. □ 시상부문은 위국헌신상(5명)과 특별상(개인 1, 단체 1)으로 구분되며, 수상자 전원에게는 상패와 표창, 포상...
    Date2015.11.18 Views290
    Read More
  8. 2016년 국방부 표어와 멋글씨 공모전 개최

    ㅁ 국방부는 연말을 맞이하여, 내년도 국방정책을 대표하는 표어를 개발하고, 강한 국군에 대한 국민적 염원과 관심을 모으는 참여의 장을 마련하고자「2016 국방부 표어(슬로건)·멋글씨(캘리그라피) 공모전」을 11월...
    Date2015.11.16 Views362
    Read More
  9. 2016년 국방부 표어를 내 손으로!

    □ 국방부는 연말을 맞이하여, 내년도 국방정책을 대표하는 표어를 개발하고, 강한 국군에 대한 국민적 염원과 관심을 모으는 참여의 장을 마련하고자「2016국방부 표어(슬로건)·멋글씨(캘리그라피) 공모전」을 11월 1...
    Date2015.11.15 Views267
    Read More
  10. 해군특수전전단 창설 60주년 기념 특수전 훈련 현장취재

    ▲ 해군특수전전단 창설 60주년을 맞아 5일 경남 진해 앞바다에서 열린 특수전 훈련 시범에서 UDT/SEAL 요원들이 CH-47 헬기를 이용한 저고도 이탈(soft duck) 해상침투작전을 펼치고 있다. 진해=국방일보 한재호 기자...
    Date2015.11.06 Views716
    Read More
  11. 조달이 어렵고 단종된 부품을 3차원 프린팅으로 생산 및 지원

    ㅁ 국방부는 해외조달 수리부속 중 소량이고 다품종인 부품은 획득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어, 조달이 어렵고 단종된 부품을 최신 기술인 3차원(3D) 프린팅을 통해 생산 및 지원하는 새로운 대안을 2015년 10월...
    Date2015.11.06 Views265
    Read More
  12. 국방부 개방형 직위(국방부 감사관) 공개모집

    ㅁ 인사혁신처(중앙선발시험위원회)와 국 방부는 개방형 직위로 지정된 국방부 감사관을 공개모집한다고 밝혔다. ㅁ 감사관은 국방부 및 소속기관․산하단체에 대한 감사업무, 반부패 청렴정책 추진, 공직윤리 확립, ...
    Date2015.11.04 Views220
    Read More
  13. 세계 최강 헬기 ‘아파치 가디언’ 내년 우리 육군 도입 예정

    미래 우리 군 대기갑 전력의 큰 축을 담당할 대형공격헬기 AH-64E ‘아파치 가디언’ 헬기가 3일(현지시간) 미국 애리조나주 메사에 있는 보잉사에서 처음 출고됐다. 출고식에는 방위사업청과 육군, 업체 관계자 등 50...
    Date2015.11.03 Views623
    Read More
  14. 제47차 한미 연례안보회의(SCM) 공동성명

    1. 제47차 한미 안보협의회의(SCM)가 2015년 11월 2일 대한민국 서울에서 개최되었다. 이 회의는 한민구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과 애쉬튼 카터 미합중국 국방부장관이 공동 주재하였으며, 양국의 국방 및 외교 분야의 ...
    Date2015.11.03 Views344
    Read More
  15. 제3회 백선엽 한미동맹상 시상식 개최

    ㅁ 국방부와 중앙일보사는 2015년 11월 1일 서울에서 한미 연례안보협의회의(SCM) 공식 리셉션 시 제3회 백선엽 한미 동맹상 시상식을 개최하고 한미 동맹에 기여한 미국 측 인사 1명에게 백선엽 한미 동맹상을 수여...
    Date2015.11.03 Views22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201 Next
/ 20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