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차기상륙함 1번함 ‘천왕봉함’ 부산 한진중공업서 진수

 

국내 개발 전투체계 탑재·상륙작전지휘소 별도 마련 빨치산 토벌, 자유민주주의 수호 부각 ‘천왕봉’ 명명

 YA_NP_20130912_00785581.jpg

최윤희 해군참모총장의 부인 김계순 여사가 차기상륙함 천왕봉함 진수식에서 함과 연결한 진수 테이프를 손도끼로 자르고 있다.

 

 

YA_NP_20130912_00785575.jpg  상륙작전 능력을 대폭 끌어올릴 차기상륙함(LST-Ⅱ) 천왕봉함이 11일 부산 한진중공업에서 열린 진수식에서 위풍당당한 모습을 과시하고 있다. 천왕봉함은 완전무장한 상륙군 3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다. 또 상륙정(LCM)·전차·상륙돌격장갑차(KAAV)를 탑재하고, 상륙헬기 2대를 이·착륙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 해군은 인수·시험평가 기간을 거쳐 내년 후반기에 천왕봉함을 인수할 계획이다.

 

 

우리 해군이 국내 개발 전투체계를 탑재한 차기상륙함(LST-Ⅱ : Landing Ship Tank) 운용시대를 눈앞에 뒀다.

 차기상륙함 1번함 천왕봉함이 11일 부산 한진중공업에서 열린 진수식에서 위풍당당한 모습을 드러냈다.

 이날 행사에는 최윤희 해군참모총장과 이호연(중장) 해병대사령관을 비롯한 해군·해병대 주요 지휘관·참모, 역대 해군참모총장·해병대사령관, 최성문 한진중공업 사장, 허남식 부산광역시장, 방위사업청·국방과학연구소 관계관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진수식은 선체 각 구성품(Block)을 조립한 후 엔진·함포·스크류 등 장비·무기체계를 설치하고, 명명식과 함께 군함을 바다에 띄우는 의식이다.

 행사는 해군의 전통 절차에 따라 국민의례, 경과보고, 함명 선포, 기념사, 유공자 표창, 축사, 진수, 샴페인 브레이킹 순으로 진행했다.

 해군본부 윤정상(준장) 전력처장은 이 자리에서 명명장 제455호를 통해 함명을 ‘천왕봉’으로, 선체 번호를 ‘686’으로 부여했다.

이어 최 총장의 부인 김계순 여사가 손도끼로 함과 연결한 진수 테이프를 자르자 오색 꽃가루가 날렸으며, 안전 항해를 기원하는 샴페인 이음줄 절단으로 행사를 마무리했다.

 최 총장은 축사에서 뛰어난 기동성과 탑재능력을 보유한 천왕봉함이 우리 군의 단독상륙작전 능력을 한 단계 발전시킬 것이라고 기대했다.

 최 총장은 “천왕봉함은 상륙기동부대 선도함으로써 언제 어디에서 어떠한 임무를 부여해도 완수해 싸우면 반드시 이기는 필승해군, 국민으로부터 신뢰와 사랑을 받는 호국해군 구현에 앞장설 것”이라며 “우리 해군·해병대는 철통같은 대비태세를 유지해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고 해양안보 위협으로부터 주권과 국익을 수호하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초수평선 상륙작전 수행 가능

 해군은 정전 60주년과 인천상륙작전 63주년을 맞아 전쟁 직후 지리산 일대에서 암약한 빨치산을 토벌해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한 의미를 부각시키기 위해 차기상륙함 선도함명을 천왕봉으로 정했다.

 해군은 적지에 상륙해 고지를 탈환한다는 의미로 지명도가 높은 봉우리를 상륙함 명(名)으로 부여하고 있다.

천왕봉은 1967년 국내 최초로 국립공원 지정을 받은 ‘명산’ 지리산의 최고봉(1915m)이며, 백두대간 남부 중추봉이다.

 천왕봉함은 4500톤급으로 길이 126m, 폭 19m에 최대 속력은 23노트(시속 40㎞)다. 승조원 120여 명이 승함해 임무를 수행하며, 완전 무장한 상륙군 3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다.

상륙정(LCM)·전차·상륙돌격장갑차(KAAV)·고속단정(RIB)·발칸포 등을 탑재하고, 상륙헬기 2대를 이·착륙시킬 수 있다.

 상륙작전을 주임무로 하는 천왕봉함은 평시에는 기지·도서에 대한 병력·장비·물자 수송을 맡는다.

또 국지분쟁 발생 때 신속대응전력을 수송하는 것은 물론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재해·재난 구호 등 비군사적·인도주의적 작전도 지원한다.

 천왕봉함은 현재 운용 중인 고준봉급(2600톤) 상륙함에 비해 속력이 5노트 이상 증가했으며, 헬기 착륙장도 2개소로 늘어나는 등 기동력이 월등해졌다.

이를 바탕으로 적 해안선 가시거리 및 레이더 탐지범위 밖으로부터 발진하는 ‘초수평선 상륙작전’ 수행이 가능하다.

 더불어 국내 기술로 개발한 전투체계와 40㎜ 함포, 대유도탄 기만체계, 대함유도탄 방어유도무기, 항해·탐색레이더 등을 갖췄다. 상륙작전지휘소를 별도로 마련해 일사불란한 지휘통제능력을 구비했다.

방탄설계 구역과 방화격벽을 강화해 함정 및 승조원 생존성이 한층 높아진 것도 장점이다.

 특히 전투체계·레이더·함포 등 주요 장비 국산화 비율이 96%에 달해 국방 연구·개발(R&D) 수준을 한 단계 발전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해군은 인수·시험평가 기간을 거쳐 내년 후반기에 천왕봉함을 인수할 방침이다. 이어 전력화 과정을 성공적으로 정료하면 2015년 작전 배치할 계획이다.

 방위사업청 이정재(해군대령) 상륙함사업팀장은 “천왕봉함은 기존 상륙함 대비 탑재능력과 생존성을 보강한 다목적 함정”이라며 “상륙작전능력을 대폭 향상시킨 차기상륙함은 2018년까지 3척이 더 건조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부산에서 글=  윤병노 기자 < trylover@dema.mil.kr >

사진 < 정의훈 >



  1. 전공상자의 민간병원 진료비, 완치까지 지급

    ㅁ 공무수행 중 부상이나 질병을 얻은 군인이 군 병원에서 진료가 제한되어 민간병원을 이용할 경우, 국가가 그 치료에 소요된 비용을 기간의 제한 없이 지원할 수 있게 된다. ㅁ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군인연금법」...
    Date2015.12.12 Views216
    Read More
  2. 2016년도 국방예산 38조 7995억 원으로 확정

    ㅁ 2016년도 국방예산이 12월 3일 국회 의결을 거쳐전년 대비 3.6% 증가한 38조 7,995억 원으로 확정되었다. ㅇ 국방부 소관 전력운영비는 적정 군수지원‧교육훈련을 통한 확고한 국방태세 확립, 열린 병영문화 정착...
    Date2015.12.07 Views234
    Read More
  3. 조국 해양수호 전초기지 해군제주기지전대·해병대9여단 창설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강정동에 건설 중인 제주민군복합항의 마무리 공사가 한창인 가운데 계류시험 중인 해군 함정이 안전하게 정박하고 있다. 해군 제공 제주 민군복합형관광미항(이하 제주민군복합항) 완공이 ...
    Date2015.11.29 Views358
    Read More
  4. 군 강화 지역 가뭄 극복 위해 시추 장비 투입

    ㅁ 국방부는 지속되는 가뭄으로 인한 강화 지역 농민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군 장비와 병력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ㅇ 전국적으로 가뭄이 지속되는 가운데 특히, 가뭄 피해가 심한 강화 지역의 연 누적 강우량은 ...
    Date2015.11.29 Views200
    Read More
  5. 국민대통합위원회, ‘생활 속 작은 영웅 24인’ 발표…현역·예비역 장병 7명 포함

    고현종·이찬우 대위, 이수안 중위, 고(故) 정연승 상사, 전문균·주찬준·장우민 예비역 병장. 이들은 국민대통합위원회(이하 대통합위)가 19일 발표한 ‘생활 속 작은 영웅 24인’에 포함된 자랑스러운 현역·예비역 장병...
    Date2015.11.20 Views528
    Read More
  6. 군인아파트 내 공동육아 나눔터 4개소를 연달아 열어

    ㅁ 국방부는 전방지역의 열악한 군인 자녀 보육여건 개선의 일환으로 여성가족부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롯데그룹의 지원을 받아 군인아파트 내에 공동육아나눔터 4개소를 설치하였으며, 11월 18일(수) 육군 5사단을 ...
    Date2015.11.18 Views274
    Read More
  7. 제6회 위국헌신상 시상식 개최

    □ 국방부와 조선일보사가 공동 주관하는 제6회 위국헌신상 시상식이 오늘(11.17.) 국방부에서 개최된다. □ 시상부문은 위국헌신상(5명)과 특별상(개인 1, 단체 1)으로 구분되며, 수상자 전원에게는 상패와 표창, 포상...
    Date2015.11.18 Views290
    Read More
  8. 2016년 국방부 표어와 멋글씨 공모전 개최

    ㅁ 국방부는 연말을 맞이하여, 내년도 국방정책을 대표하는 표어를 개발하고, 강한 국군에 대한 국민적 염원과 관심을 모으는 참여의 장을 마련하고자「2016 국방부 표어(슬로건)·멋글씨(캘리그라피) 공모전」을 11월...
    Date2015.11.16 Views362
    Read More
  9. 2016년 국방부 표어를 내 손으로!

    □ 국방부는 연말을 맞이하여, 내년도 국방정책을 대표하는 표어를 개발하고, 강한 국군에 대한 국민적 염원과 관심을 모으는 참여의 장을 마련하고자「2016국방부 표어(슬로건)·멋글씨(캘리그라피) 공모전」을 11월 1...
    Date2015.11.15 Views267
    Read More
  10. 해군특수전전단 창설 60주년 기념 특수전 훈련 현장취재

    ▲ 해군특수전전단 창설 60주년을 맞아 5일 경남 진해 앞바다에서 열린 특수전 훈련 시범에서 UDT/SEAL 요원들이 CH-47 헬기를 이용한 저고도 이탈(soft duck) 해상침투작전을 펼치고 있다. 진해=국방일보 한재호 기자...
    Date2015.11.06 Views716
    Read More
  11. 조달이 어렵고 단종된 부품을 3차원 프린팅으로 생산 및 지원

    ㅁ 국방부는 해외조달 수리부속 중 소량이고 다품종인 부품은 획득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어, 조달이 어렵고 단종된 부품을 최신 기술인 3차원(3D) 프린팅을 통해 생산 및 지원하는 새로운 대안을 2015년 10월...
    Date2015.11.06 Views265
    Read More
  12. 국방부 개방형 직위(국방부 감사관) 공개모집

    ㅁ 인사혁신처(중앙선발시험위원회)와 국 방부는 개방형 직위로 지정된 국방부 감사관을 공개모집한다고 밝혔다. ㅁ 감사관은 국방부 및 소속기관․산하단체에 대한 감사업무, 반부패 청렴정책 추진, 공직윤리 확립, ...
    Date2015.11.04 Views220
    Read More
  13. 세계 최강 헬기 ‘아파치 가디언’ 내년 우리 육군 도입 예정

    미래 우리 군 대기갑 전력의 큰 축을 담당할 대형공격헬기 AH-64E ‘아파치 가디언’ 헬기가 3일(현지시간) 미국 애리조나주 메사에 있는 보잉사에서 처음 출고됐다. 출고식에는 방위사업청과 육군, 업체 관계자 등 50...
    Date2015.11.03 Views623
    Read More
  14. 제47차 한미 연례안보회의(SCM) 공동성명

    1. 제47차 한미 안보협의회의(SCM)가 2015년 11월 2일 대한민국 서울에서 개최되었다. 이 회의는 한민구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과 애쉬튼 카터 미합중국 국방부장관이 공동 주재하였으며, 양국의 국방 및 외교 분야의 ...
    Date2015.11.03 Views344
    Read More
  15. 제3회 백선엽 한미동맹상 시상식 개최

    ㅁ 국방부와 중앙일보사는 2015년 11월 1일 서울에서 한미 연례안보협의회의(SCM) 공식 리셉션 시 제3회 백선엽 한미 동맹상 시상식을 개최하고 한미 동맹에 기여한 미국 측 인사 1명에게 백선엽 한미 동맹상을 수여...
    Date2015.11.03 Views22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201 Next
/ 20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