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S_201507160518578120.jpg

외포리 기동대 소속 해군·해병대 장병들이 ‘혼성팀’을 구성, 체력단련 일환으로 기마전을 하고 있다. 멀리 보이는 바지선이 기동대원들이 동고동락하는 생활관이다.


 

BBS_201507160519330420.jpg

해군·해병대 병사들이 바지선 생활반에서 이야기꽃을 피우고 있다. 30여 명의 병사들은 좁은 바지선에서 ‘짝’을 지어 활동하며 전우애를 고취하고 있다.


 

   서해 바다의 거친 물살이 흐르는 인천시 강화군 외포리는 석모도·주문도·볼음도 등 서측도서로 들어가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길목이자 수도 서울을 지키는 관문이다. 이곳에는 해군·해병대가 동고동락하며 전우애를 쌓는 생활관이 있다. 해병대2사단 외포리 기동대가 주인공이다. 800톤급 바지선(YPK)에서 ‘한솥밥’을 먹으며 전우애를 다지는 ○○명의 해군·해병대 장병들. 육지를 연결하는 유일한 통로인 100m 길이 도교(渡橋)를 건너가 이들의 생활상을 엿봤다.

 

 

 

   우리는 한뿌리 공동운명체 … 바지선에서 함께 생활하며 밝은 병영문화 정착

 

 

    외포리 기동대의 생활 터전은 해안에 투묘(投錨: 배를 정박하기 위해 닻을 내림)한 바지선이다. 가로 58m, 세로 18m 규모에 함정 내부와 동일한 구조로 제작됐다. 조류에 따라 위치가 달라지며, 작은 파도에도 흔들림이 크게 느껴지는 해상 전진기지다.

 그러나 해군·해병대의 전우애는 흔들리지 않는다. 30여 명의 병사들은 비좁은 2개의 생활반에 혼성 편성돼 24시간 몸을 부대끼며 생활한다.

아침 기상부터 취침 시간까지 식사·근무는 물론 바지선 보수 작업도 함께 하고 체육활동 시간에 ‘짝’을 지어 활동하며 한뿌리 공동운명체 의식을 키우고 있다.

 해병대는 상황이 발생하면 적을 유인·차단·추적·격멸하는 기동대의 핵심 전력이다. 적 도발 대응·타격을 위해 고속단정(RIB)과 항만경비정(YUB) 등을 운용한다. 또 해상 매복이라는 독특한(?) 작전을 전개한다.

 해군은 해병대원들이 임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바지선 운영에 심혈을 기울이고, 계류선박에 대한 군수지원 임무를 병행한다.

 해군·해병대 병사들은 가족보다 더 끈끈한 정(情)으로 똘똘 뭉쳐 있다고 자랑한다. 전투복은 달라도 적극적인 소통과 화합으로 밝은 병영문화를 정착시켰다는 자부심이 대단하다. 해군은 해병대 특유의 군기(軍紀)를, 해병대는 해군의 신사(紳士) 정신을 본받는 등 서로의 장점을 결합함으로써 합동성 강화의 표본이 됐다는 것.

 근무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데도 한마음 한뜻이다. 이들은 일주일에 2~3회씩 합동 전투체육을 하며 결속력을 다진다. 이러한 단결력은 전투형 군대를 완성해 나가는 자양분이 되고 있다.

 부대도 병사들의 사기·복지 증진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월 1회 삼겹살 회식, 2개월마다 3박4일 포상휴가, 연 2회 부모·가족 초청 부대개방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부대개방 행사는 장병과 가족들의 호응도가 높아 분기 1회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외포리 기동대는 강화도 반잠수정 침투사건 계기로 창설 … 국지도발 대비작전 등 임무

 

 

   외포리 기동대는 1998년 11월 20일 발생한 강화도 반잠수정 침투사건을 계기로 99년 1월 1일 창설됐다. 한강하구 중립 구역에서 남방 ○○㎞ 지점에 위치한 최전방 부대다. 해병 대위가 지휘하며, 해병대 고속단정 소대와 해군 해상근무지원반이 편성돼 있다. 해군인천해역방어사령부 항만경비정도 ○주일 단위로 순환 배속된다.

 기동대는 교동·석모 수로(水路) 일대 국지도발 대비작전, 서측도서 및 해상세력 군수지원, 특이 부유물 확인·인양, 긴급구조, 해상 매복, 적 도발 차단·추적·섬멸 등을 주 임무로 한다.

 해상 매복은 적 반잠수정 침투에 대비하는 작전이다. 바다 한가운데에 기점을 표시해 두고 주·야간 경계작전을 펼친다. 기점은 조류와 취약시기에 따라 변경된다. 기동대는 불시 긴급출항 훈련으로 긴장감을 유지하고, 정기적인 해상사격으로 전투력을 높이면서 적의 침투·도발에 완벽히 대비하고 있다.

   ‘명품 전우’를 소개합니다

 외포리 기동대는 결원이 생기면 상급부대에서 우수자원을 가장 먼저 차출하는 ‘우선권’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모범장병이 부지기수다.

 서세광(해병 대위) 기동대장은 해병가족이다. 해병대2사단 정보대에서 근무하는 아버지 서대곤 원사는 군 경력 30년이 넘는 베테랑이다. 동생은 병1090기로 입대해 백령도를 거쳐 해병대사령부에서 전역했다.

 서 원사는 아들의 임관식에서 장교인 아들에게 거수경례를 했다. 서 기동대장은 그때 처음으로 아버지의 눈물을 봤다.

 서 기동대장은 “어려서부터 아버지 전투복에 붙은 빨간명찰을 봐와서 그런지 해병대를 꼭 가야 한다는 의지가 마음속에 자리 잡았다”며 “아버지께 부끄럽지 않은 해병, 언제 적이 도발해도 즉시 대응할 수 있는 부대 확립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BBS_201507160523081630.jpg

소민준(해병) 일병은.



 소민준(해병) 일병은 초등학교 6학년 때 필리핀으로 이민을 갔다. 시민권을 취득할 수 있었지만 대한민국 국적 유지를 위해 포기했다. 그리고 대학교 2학년을 마치고 지난해 11월 24일 입대했다.

 해병대2사단에 배치된 그는 외포리 기동대를 자원, K-6 중기관총 부사수로 근무 중이다.

 소 일병은 “어차피 해야할 군 복무라면 멋지게 하고 싶어 해병대를 선택했다. 수색대를 지원했지만 ‘색약’ 때문에 고배를 들었다. 그러나 지금 생활에 만족한다. 우리 기동대는 해군·해병대가 하나로 뭉쳐 주어진 임무를 100% 완수하는 멋진 부대”라며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웠다.

 

BBS_201507160522452050.jpg

이관후(해군) 상병.


 


 소 일병은 자신의 생활반장인 이관후(해군) 상병이 군 생활 조기 적응에 많은 도움을 줬다며 최고의 모범병사로 손꼽았다.

 기관병인 이 상병은 ‘계속복무 서약’을 통해 전역 때까지 외포리 기동대에서 근무할 예정이다.

그는 바지선 수리·보수 작업이 생기면 언제나 선두에 선다. 생활반원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일체감 조성에도 솔선수범해 후임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이 상병은 “군대는 나를 변화시켜준 고마운 존재다. 타인과의 대화에 어려움을 겪을 정도로 내성적이던 나를 활발하고 능동적으로 바꿔놨으며, 긍정의 마인드로 무장시켜 줬다. 이제는 그 어떤 난관도 이겨낼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다. 전역하는 순간까지 해군·해병대 화합에 노력하는 생활반장이 되겠다”고 다짐했다.

<국방일보 윤병노 기자 , 사진 한재호 기자 >



  1. 해군 병역명문가’, 엄현성 해참총장 주관 계룡대에서 첫 초청 행사

    해군 병역명문가로 선정된 가족들이 7일 계룡대에서 개최된 초청 행사에서 의장대를 사열하고 있다. 사진 =김상근 상사 해군은 7일 현역 장병 중 3대(代) 이상 해군·해병대에 복무한 가정을 ‘해군 병역명문가’로 선정...
    Date2018.06.07 Views684
    Read More
  2. 해군·해병대 사관후보생 124기 337명 장교 임관

    지난 1일 해군사관학교 연병장에서 거행된 124기 해군·해병대 사관후보생(OCS) 임관식에서 신임 소위들이 임관 선서를 하고 있다. 해군본부 제공 국가 안보 수호의 주역이 될 해군·해병대 사관후보생(OCS) 337명(해군...
    Date2018.06.03 Views1001
    Read More
  3. 국군수송사령부 항만운영단해병대 상륙지원대대 합동성 강화

    국군수송사령부 항만운영단 665항만대대 장병들과 해병대 군수단 상륙지원대대 장병들이 항만종합훈련 중 수송·하역 장비를 옮기고 있다. 항만운영단 제공 국군수송사령부 항만운영단이 해병대·해군·국군지휘통신사령...
    Date2018.05.16 Views2255
    Read More
  4. 해군 두 번째 대형수송함 ‘마라도함’ 진수

    14일 부산 영도구 한진중공업 영도조선소에서 열린 대형수송함 2번함 ‘마라도함’ 진수식에서 진수줄 절단 의식 후 기념 축포가 터지고 있다. 사진=국방일보 양동욱 기자 대한민국 해군의 두 번째 대형수송함(LPH: Lan...
    Date2018.05.16 Views451
    Read More
  5. 국방부, 육군·산업인력공단과 ‘국방분야 NCS 추진 대토론회’ 개최

    국방부, 육군, 한국산업인력공단이 공동 주관한 국방분야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추진 대토론회에 참석한 민·관·군 관계자들이 발표를 들은 뒤 박수를 치고 있다. 육군 제공 장병들이 군에서 쌓은 경력을 사회에서 인...
    Date2018.05.09 Views433
    Read More
  6. 30개월 복무 상병 만기전역자’ 병장 특별진급

    국방부가 베트남전 참전을 포함, 30개월 이상 의무복무에도 불구하고 상병으로 전역해야 했던 만기전역자들의 명예회복에 나선다. 국방부는 9일 “30개월 이상 의무복무자 병장 특별진급 등의 내용을 담은 특별법 제정...
    Date2018.05.09 Views629
    Read More
  7. 제8회 대한민국 호국미술대전

    육군은 대표적인 문화사업 ‘대한민국 호국미술대전’의 최우수상 훈격을 국무총리상으로 격상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날 육군은 ‘제8회 대한민국 호국미술대전 조직·운영위원 위촉식’을 열고, 올해 행사 준비에 본격적...
    Date2018.05.08 Views642
    Read More
  8. 국방·외교·통일·해수부 장관, 5일 연평도 백령도 찾아 '서해 평화수역' 주민 의견 청취

    송영무 국방부 장관(왼쪽부터)과 강경화 외교부 장관, 조명균 통일부 장관,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이 5일 백령도 해병6여단을 방문해 간담회를 갖고 있다. 백령도·연평도=국방일보 조용학 기자 송영무 국방부 장관, ...
    Date2018.05.06 Views493
    Read More
  9. 해병대사령부 의무근무대 김성준·현동엽 상병 경기도 심폐소생술 경연대회 우수상

    해병대사령부 의무근무대 현동엽(왼쪽)·김성준 상병이 경기도 일반인 심폐소생술 경연대회에서 받은 우수상장을 들어 보이고 있다. 부대 제공 해병대는 해병대사령부 의무근무대 김성준·현동엽 상병이 최근 경기도 재...
    Date2018.04.24 Views725
    Read More
  10. 엄현성 해참총장, 포항지역 해군6항공전단·해병대1사단 방문

    엄현성(오른쪽 첫째) 해군참모총장이 17일 경북 포항시 해병대 항공단 창설 부지 현장을 찾아 준비 현황을 보고받고 있다. 사진=박용진 중사 엄현성 해군참모총장이 17일 경북 포항시 해병대1사단과 해군6항공전단을 ...
    Date2018.04.17 Views791
    Read More
  11. ‘2018 현충원, 호국의 봄을 열다’행사 개최

    국립서울현충원(원장안수현)은 수양벚꽃이 만개하는 4월 9일부터 15일까지(7일간)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위훈을 기리고 나라사랑 정신을 계승하기 위하여『2018 현충원, 호국의 봄을 열다』행사를 개최한다. □ 국립...
    Date2018.04.03 Views564
    Read More
  12. 차기 상륙함 ‘일출봉함’ 해군 인도, 하반기 실전배치

    ▲ 2016년 10월 25일에 진수한 일출봉함<사진 임영식기자> 우리 군의 상륙작전을 수행할 차기 상륙함 3번함인 ‘일출봉함’이 해군에 인도된다. 방위사업청은 2일 오후 4시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차기 상륙함 일출봉함을 ...
    Date2018.04.02 Views509
    Read More
  13. 송영무 국방부장관, 동계올림픽·패럴림픽 지원 장병 격려 및 국방개혁 2.0 설명

    송영무 국방부 장관이 27일 강원도 원주시 육군1야전군사령부를 방문해 평창동계올림픽 지원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육·해·공군과 해병대 장병들을 격려하고 복지 및 병영문화 분야 개혁과제 등 국방개혁 2.0에 관...
    Date2018.03.28 Views592
    Read More
  14. 국방부, 6·25전쟁 중국군 유해 20구 입관식

    지난해인천국제공항에서 열린 중국군 유해 인도식에서 추궈홍 주한중국대사가 유해 봉안함에 오성홍기를 감싸고 있는 모습. 국방일보 DB 6·25전쟁에 참전했다 사망해 최근 발굴된 중국군 유해 20구에 대한 입관식이 2...
    Date2018.03.27 Views425
    Read More
  15. 국군장병들의 각종 재해재난 지원활동도 ‘군 경력증명서’에 기록된다

    평창동계올림픽과 패럴림픽 지원에 나섰던 군 장병이 전역할 때 받는 ‘군 경력증명서’에 표기할 수 있게 됐다. 군 경력증명서란 전역 장병의 복무 경력, 상훈, 공적 등을 기록한 것으로, 취업 등을 할 때 전역을 증명...
    Date2018.03.20 Views41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201 Next
/ 20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