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특수전사령부 독수리부대, 설한지 극복훈련 1.jpg

육군특수전사령부 독수리부대 악돌이대대 특전요원이 11일 강원도 평창군 황병산 일대에서 ‘설한지 극복훈련’의 하나인 저격 훈련을 하고 있다.

 

 

육군특수전사령부 독수리부대, 설한지 극복훈련 2.jpg

 

특전요원들이 설한지 극복훈련의 일환으로 특공무술을 하고 있다. ‘일격필살’이라는 말에 맞게 요원들의 공격은 빠르고 정확했다.

 

육군특수전사령부 독수리부대, 설한지 극복훈련 3.jpg

육군특전사 최재만 상사(진)가 포승줄을 들고 상대 경계병을 제압하기 위해 다가가고 있다.

 

 

육군특수전사령부 독수리부대, 설한지 극복훈련 4.jpg

 

특공무술에서 특전요원들은 보이지 않을 만큼 빠르게 대검을 휘둘렀다.

 

육군특수전사령부 독수리부대, 설한지 극복훈련 5.jpg

특공무술 훈련 중인 특전요원이 준비자세를 취하며 교관의 지시를 기다리고 있다.

 

 

육군특수전사령부 독수리부대, 설한지 극복훈련 6.jpg

 

특전요원들이 수풀이 우거진 눈길을 헤치며 이동하고 있다.

 

육군특수전사령부 독수리부대, 설한지 극복훈련 7.jpg

설상복 위에 길리슈트를 입은 특전요원이 다기능관측경으로 저격 임무에 필요한 수치를 확인하고 있다.

 

 

극복(克服). 국어사전은 이 단어의 뜻을 두 가지로 설명한다. ‘악조건이나 고생 따위를 이겨냄’이 첫 번째, ‘적을 이기어 굴복시킴’이 두 번째다. 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 독수리부대가 지난 8일부터 오는 17일까지 강원도 평창군 황병산 훈련장에서 진행하고 있는 설한지 극복훈련은 기자에게 ‘극복’의 두 가지 뜻 모두를 떠올리게 했다. 특전요원들은 혹한·강풍·강설 등의 악조건을 뚫고, 특전사 본연의 역할에 맞는 어떠한 임무도 완수하기 위한 훈련에 매진하고 있었다.


정찰감시·목표 타격 등 특수작전 능력 배양

특전사는 지난 1963년 1월부터 특전요원들의 동계작전 수행 능력을 높이기 위한 설한지 극복훈련을 이어오고 있다. 올해 훈련에서도 특전요원들은 체감온도 영하 30도의 혹한을 뚫고 실전에 적용할 수 있는 전투기술을 연마하고 있다. 모든 훈련은 코로나19·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대책을 준수한 가운데 이뤄지고 있다.

훈련장소인 황병산 일대는 해발 1407m의 고지대로, 6·25전쟁 당시 혹한의 추위로 국군과 미군에게 큰 피해를 안겨준 장진호 지역과 비슷한 지형조건을 갖췄다. 특전요원들은 이곳에서 은거지 활동과 정찰감시, 목표 타격 등 다양한 특수작전 및 전술훈련 능력을 배양하고 있다.

부대는 본격적인 훈련에 앞서 지형정찰과 사전 간부교육, 팀·지역대별 훈련 등 성과를 높이기 위한 사전준비도 철저하게 했다. 훈련에 돌입해서는 공중침투훈련과 적 후방지역 침투, 전술스키훈련, 팀 단위 전술훈련 등을 실전같이 하고 있다. 훈련이 끝난 후에는 각 특전요원들이 작성한 작전일지를 바탕으로 사후강평을 하고 발견한 미비점을 평가·보완할 예정이다.


“전우들과 함께하며 어려움 이겨내”

훈련장에서 만난 특전요원들은 남은 기간 동안 실전과 같은 전투기술을 연마하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요원들의 입에서 ‘전우’ ‘전우애’라는 단어가 심심치 않게 나온 점도 인상적이었다.

최재만 상사(진)는 “남은 훈련들이 쉽지 않기에, 선배들이 더욱 전우애를 발휘하고 솔선수범하며 후배들을 이끌어주려는 분위기다”고 말했다.

윤해준 하사도 “전우들이 있기에 한계를 시험하는 듯한 추위를 이겨내며 훈련할 수 있었다”며 “강한 전투력은 사람에게서 나온다는 생각으로 앞으로도 전우들과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nrqkddlfqh 극복(克服). 국어사전은 이 단어의 뜻을 두 가지로 설명한다. ‘악조건이나 고생 따위를 이겨냄’이 첫 번째, ‘적을 이기어 굴복시킴’이 두 번째다. 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 독수리부대가 지난 8일부터 오는 17일까지 강원도 평창군 황병산 훈련장에서 진행하고 있는 설한지 극복훈련은 기자에게 ‘극복’의 두 가지 뜻 모두를 떠올리게 했다. 특전요원들은 혹한·강풍·강설 등의 악조건을 뚫고, 특전사 본연의 역할에 맞는 어떠한 임무도 완수하기 위한 훈련에 매진하고 있었다.


정찰감시·목표 타격 등 특수작전 능력 배양

특전사는 지난 1963년 1월부터 특전요원들의 동계작전 수행 능력을 높이기 위한 설한지 극복훈련을 이어오고 있다. 올해 훈련에서도 특전요원들은 체감온도 영하 30도의 혹한을 뚫고 실전에 적용할 수 있는 전투기술을 연마하고 있다. 모든 훈련은 코로나19·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대책을 준수한 가운데 이뤄지고 있다.

훈련장소인 황병산 일대는 해발 1407m의 고지대로, 6·25전쟁 당시 혹한의 추위로 국군과 미군에게 큰 피해를 안겨준 장진호 지역과 비슷한 지형조건을 갖췄다. 특전요원들은 이곳에서 은거지 활동과 정찰감시, 목표 타격 등 다양한 특수작전 및 전술훈련 능력을 배양하고 있다.

부대는 본격적인 훈련에 앞서 지형정찰과 사전 간부교육, 팀·지역대별 훈련 등 성과를 높이기 위한 사전준비도 철저하게 했다. 훈련에 돌입해서는 공중침투훈련과 적 후방지역 침투, 전술스키훈련, 팀 단위 전술훈련 등을 실전같이 하고 있다. 훈련이 끝난 후에는 각 특전요원들이 작성한 작전일지를 바탕으로 사후강평을 하고 발견한 미비점을 평가·보완할 예정이다.


“전우들과 함께하며 어려움 이겨내”

훈련장에서 만난 특전요원들은 남은 기간 동안 실전과 같은 전투기술을 연마하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요원들의 입에서 ‘전우’ ‘전우애’라는 단어가 심심치 않게 나온 점도 인상적이었다.

최재만 상사(진)는 “남은 훈련들이 쉽지 않기에, 선배들이 더욱 전우애를 발휘하고 솔선수범하며 후배들을 이끌어주려는 분위기다”고 말했다.

윤해준 하사도 “전우들이 있기에 한계를 시험하는 듯한 추위를 이겨내며 훈련할 수 있었다”며 “강한 전투력은 사람에게서 나온다는 생각으로 앞으로도 전우들과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국방일보 글=최한영/사진=조종원 기자>

글=최한영/사진=조종원 기자



  1. 사관학교 교육 발전을 위한 교육부장관 초청 간담회 개최

    국방부는 2월 10일(목) 육군사관학교에서 사관학교 교육 발전을 위한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초청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이 자리에는 서욱 국방부장관과 육·해·공군사관학교, 국군간호 사관학교, 육군3사관학교...
    Date2022.02.17 Views79
    Read More
  2. 국방부, 공군 ‘미사일방어사령부’ 개편 입법예고

    [국방일보 2022.02.17] 우리 군이 오는 4월 중 공군작전사령부 예하 방공유도탄사령부를 ‘미사일방어사령부’로 개편한다. 국방부는 17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공군방공유도탄사령부령 일부개정령(안)을 입법 예...
    Date2022.02.17 Views87
    Read More
  3. 강원 양구에서 발굴된 6·25전사자 유해 신원확인

    2010년 강원도 양구에서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과 육군 21사단 장병들의 노력으로 발굴되었던 6·25전사자의 유해가 고(故) 이우서 하사(현재 계급 상병)로 확인되었다. 이번 신원확인은 국유단이 고인의...
    Date2022.02.17 Views137
    Read More
  4. 국방부 일반직공무원 승진 인사

    국방부 일반직공무원 승진 인사 2022. 2. 16. 부 < 부이사관 승진 > ◦ 계획예산관실 인력운영예산담당관 신 재 연 ◦ 군수관리관실 물자관리과장 김 경 욱 ◦ 국방부(국가안보실 파견) 김 종 덕 < 서기관 승진 > ◦ 감사...
    Date2022.02.17 Views168
    Read More
  5. 국립서울현충원 유품전시관 재개관

    ▲ 국립서울현충원 유품전시관 재개관 기념식 포스터 국립서울현충원(원장 김수삼)은 지난 2년간 유품전시관 개선사업을 마무리하고 2월 17일 국립서울현충원 유품전시관을 재개관했다고 밝혔다. 국립서울현충원 유품...
    Date2022.02.17 Views95
    Read More
  6. 해군6항공전단 615비행대대 40년 무사고 비행기록 달성

    해군6항공전단 615비행대대 장병·군무원들이 40년 무사고 비행기록 달성을 자축하며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해군 제공 [국방일보] 하늘에서 해양주권 수호 임무를 수행하는 해군6항공전단 615비행대대가 40년 무사고...
    Date2022.02.17 Views224
    Read More
  7. 국가보훈처, 국립묘지 안장자 정보에 참전.훈장 추가

    <국립대전현충원> 국립묘지 안장자의 공적을 널리 알리기 위해 안장자 정보에 참전 사실과 훈장 수여 내용이 추가된다. 또 11개 국립묘지별로 다른 업무방식을 국립대전현충원 중심으로 표준화해 안장 서비스 품격을 ...
    Date2022.02.12 Views211
    Read More
  8. 군 코로나19 확진자 401명 늘어....

    국방부는 11일 0시 기준으로 군 내 코로나19 확진자가 401명 늘었으며, 이는 육군에서 247명, 해군 17명, 해병대 51명, 공군 74명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10명 이상 확진자가 나온 부대는 경남 진주 공군 교육사령부 ...
    Date2022.02.11 Views72
    Read More
  9. 국가보훈처, 국립묘지 관리운영 종합대책 마련 안장서비스 품격 높인다

    국립묘지 배수시설·유골함 등 개선하고 안장방식에 친환경 ‘자연장’ 추가 조성하여 유족의 선택권 확대 ‘안장자 위치 찾기’ 시스템 마련 및 ‘안장자 공적 정보’에 참전·훈장 내용 등 추가로 대국민 선양 추진 국가보...
    Date2022.02.10 Views129
    Read More
  10. 대통령선거 이전 입영 대상자에 사전투표·선거공보 신청 방법 안내

    병무청이 제20대 대통령선거일인 오는 3월 9일 이전에 군에 입영하는 대상자들의 참정권을 보장하기 위해 사전투표 관련 정보를 안내했다고 9일 밝혔다. 먼저 2월 14일부터 3월 3일 기간 중 입영하는 대상자 1만8000...
    Date2022.02.10 Views178
    Read More
  11. 서욱 국방부장관, 주한 캐나다 대사 접견

    서욱 국방부 장관은 2월 9일 오전 새로 부임한 마크 플레처 (Mark Fletcher) 주한 캐나다 대사를 접견하고 한 - 캐나다 국방협력 강화 방안과 한반도를 포함한 지역 안보 정세에 대하여 의견을 교환했다. 서 장관은 “...
    Date2022.02.10 Views444
    Read More
  12. 2022년 국방대학교 안보과정 입교식

    ▲ 2022년 국방대학교 안보과정 입교식<사진 국방대학교 제공> 국방대학교는 2월 7일 정해일 국방대총장(육군소장) 주관으로 2022년 안보과정 입교식을 실시했다. 방역지침을 준수하는 가운데 논산 국방대학교 컨벤션...
    Date2022.02.08 Views710
    Read More
  13. 제20대 대통령선거 ’선거공보 발송신청’ 및 ‘사전투표‘ 안내

    병무청 홈페이지에 공지된 입영(소집)대상자 제20대 대통령선거 ’선거공보 발송신청’ 및 ‘사전투표‘ 안내 공지사항입니다. 제20대 대통령선거 ’선거공보 발송신청’ 및 ‘사전투표‘ 안내 제20대 대통령선거(‘22. 3. 9.)...
    Date2022.02.08 Views678
    Read More
  14. 충성! 로봇 조리병 육군훈련소 배치, 신고합니다!

    서욱 국방부장관 장관과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월 7일(월) 군 조리로봇을 시범 운영 중인 육군훈련소 28연대 식당을 찾아 운영현황을 확인하고 관계자들을 격려하였다. 이번 현장방문 행사는 산업부가 작년 ...
    Date2022.02.07 Views859
    Read More
  15. 육군 특전사, 제주도 순직 장병 추모행사 거행

    5일 제주도 특전사 충혼비에서 열린 제40주기 제주도 순직 장병 추모행사에서 특전사 장병들이 헌화 뒤 거수경례를 하며 순직자 넋을 기리고 있다. 부대 제공 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는 지난 5일 제주특별자치도 특...
    Date2022.02.07 Views109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201 Next
/ 20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