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폭탄 삐라.jpg

오른쪽부터 차례로 한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미얀마어로 각각 작성된 선전물로써 조선동포들에게는 3・1혁명정신을 부활시켜 조직적 대혁명을 일으킬 것, 일본군 병사들에게는 일본군벌을 타도하고 진실로 일본민중을 사랑할 것, 베트남과 미얀마 동지들에게는 인류와 세계의 평화를 위해 연합하여 항일전선을 구축할 것을 촉구하고 있음(출처: 하와이대학교 한국학연구소(Center for Korean Studies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사진 국가보훈처

 

국가보훈처(처장 황기철)는 1942년 10월 중국 쿤밍(昆明)에서 활동했던 젊은 독립운동가들이 미국 연방정부에 전달하기 위해 작성한 ‘대일 심리전 제안문건(제목 : 한국인은 추축국과 싸우는 연합국에게 종이폭탄*을 제공합니다(KOREAN CONTRIBUTES PAPER BOMBS TO ALLIES AGAINST THE AXIS)’을 공개한다고 29일 밝혔다. 

‘종이폭탄(Paper Bombs)’은 총칼로 싸우는 전쟁이 아니라 적군의 마음을 동요케 하여 전쟁능력을 떨어뜨리고 심리적 타격을 주는 종이 전단(일명 ‘삐라’)이다.

해당 문건은 국가보훈처가 작년 12월 미국 하와이대학교 한국학연구소에서 수집한 조지 맥아피 맥큔(George McAfee McCune) 문서 군에서 발굴한 것으로 ‘한국광복군의 대미 군사연대 제안 공식문서’에 이어 두 번째로 공개되는 희귀 독립운동 사료이다. 

조지 맥아피 맥큔(1908~1948)은 미국 출신 선교사이자 독립운동가로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은 조지 새넌 맥큔(George Shannon McCune)의 아들이며, 태평양전쟁 발발 후 미국 전략정보국(OSS), 국무부 등에서 한국 전문가로 활동하면서 독립운동 관련 문서를 다수 소장하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독립당의 소장파 인사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한국혁명통일촉진회(이하 ‘촉진회’)는 미국 연방정부에 그들의 제안을 전달하기 위해 당시 임시정부 주미외교위원부의 위원장을 맡고 있던 ‘이승만 박사’에게 이 문건을 보냈다. 

한국혁명통일촉진회는 1942년 6월 중국 쿤밍에서 강창제, 조중철, 김우경 등 한국독립당 소장파 인사들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독립운동단체로, 태평양전쟁 이후 독립운동 단체 간의 통합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였다.

미국 국무부의 한국 전문가였던 맥큔의 문서 군에서 이 문건이 발견된 사실로 볼 때 촉진회의 의도대로 문건이 연방정부에 전달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총 5쪽 분량의 문건은 종이폭탄의 제작 이유와 예상 효과 등을 설명하며 연합국이 이를 효과적으로 사용해 줄 것을 요청하는 편지 형식의 자료와 한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미얀마어로 각각 작성된 선전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자료는 태평양전쟁 발발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한 대일 공세가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는 가운데 독립운동가들이 구상한 심리전의 구체적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각각의 선전물에서 촉진회는 △ 한국동포들에게는 3.1혁명정신을 부활시켜 조직적 대혁명을 일으킬 것 △일본군 병사들에게는 일본군벌을 타도하고 진실로 일본민중을 사랑할 것 △베트남과 미얀마인들에게는 인류와 세계의 평화를 위해 연합하여 항일전선을 구축할 것을 촉구하였다. 

 촉진회는 이러한 심리전이 한국과 우방국의 시민들을 더욱 단결하게 하고, 일본 군인들에게 군국주의의 참혹성을 깨닫고 봉기하도록 하여 군사적 수단만큼이나 큰 효과를 가져다 줄 것이라 예상하였다.

한편, 의열단을 연구한 김영범 교수(대구대학교)는“독립운동가들이 심리전을 위해 만든 선전물의 실체가 드러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평가하며, “이 선전물이 1943년 8월 이후 미얀마 접경지역인 인도 임팔 지역에서 활동한 한국광복군 인면전구공작대에서 실제로 활용됐을 가능성이 농후하다”라고 언급했다. 

오영섭 교수(연세대학교 이승만연구원)는 해당 문건이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되는 자료로, 태평양전쟁 발발 이후 독립운동가들의 선전 활동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라고 평가했다. 

국가보훈처는 보도자료를 통해 앞으로도 “국외 독립운동 사료수집을 통해 역사적 의미가 큰 독립운동 관련 문건을 지속 발굴하고, 국내에 알려지지 않은 자료를 공개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1. 국방일보 전우마라톤 4년만에 개최

    지난 2018년 9월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강공원 너른들판에서 건군 제70주년 국군의 날을 기념해 열린 ‘제15회 국방일보 전우마라톤 대회’에서 참가자들이 힘차게 출발하고 있다. 국방일보DB [국방일보 2022.09.22 ...
    Date2022.09.22 Views3365
    Read More
  2. 제74주년 국군의 날 행사 10월 1일 계룡대에서 개최

    제74주년 국군의 날 기념행사가 10월 1일(토) 오전, 계룡대 대연병장에서 개최된다. 국방부는 22일 올해 국군의 날은 육ㆍ해ㆍ공군 3군 본부가 위치해 강력한 국방태세를 선보일 수 있고, ‘국방수도’이자 ‘민군화합도...
    Date2022.09.22 Views3320
    Read More
  3. 국가보훈처 · 소방청 '소방관 국가유공자 등록, 예우지원' 협력 나선다

    국가보훈처와 소방청이 소방공무원의 국가유공자 등록과 예우, 국립묘지 안장 등을 위해 협력에 나선다. 국가보훈처는 21일 “박민식 국가보훈처장과 이흥교 소방청장이 이날 오후 2시 50분, 충남 천안시 중앙소방학교...
    Date2022.09.21 Views3460
    Read More
  4. 국가보훈처, 2022년 국군 모범용사 초청 격려행사 개최

    - 국가보훈처 20일(화) 18시 시그니엘 서울에서 격려행사 개최 - 국가보훈처(처장 박민식)는 20일 "제74주년 국군의 날을 앞둔 이날 오후 6시 시그니엘 서울(서울 송파구)에서 국가안보의 최일선에서 헌신한 국군 모...
    Date2022.09.20 Views3353
    Read More
  5. 방위사업청, 대한민국 기동군단의 신속한 기동 지원의 핵심, 한국형 자주도하장비 첫 삽을 뜨다.

    기동부대가 하천을 신속히 건너기 위해 필요한 한국형 자주도하장비의 첫 생산이 시작됐다. 올해 9월 20일 1호기의 생산을 시작으로 방위사업청과 육군은 2027년까지 5,300여억원을 투자하여 한국형 자주도하장비를 ...
    Date2022.09.20 Views3056
    Read More
  6. 방위사업청, 국산 항공기의 안전과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비상(飛上)의 발판을 마련한다!

    방위사업청(청장 엄동환)은 9월 20일 더 플라자 서울 호텔에서 국내외 정부기관 및 산학연 관계관 등을 초청하여 ‘2022 군용항공기 감항인증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감항인증은 항공기가 비행안전성에 문제가 없...
    Date2022.09.20 Views3018
    Read More
  7. 제74주년 국군의 날 기념 ‘K-밀리터리 페스티벌’ 개최

    국방부는 제 74주년 국군의 날(10월 1일)을 맞아 9월 19일부터 10월 23일까지 ‘국민과 함께 하는 K-밀리터리 페스티벌(Military Festival)’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국군의 날의 숭고한 의미를 상기하는 동시에 국군...
    Date2022.09.19 Views3434
    Read More
  8. 군 수사업무종사자 대상 집중 인권교육 실시

    국방부(군인권개선추진단)는 군검사, 수사관, 군사경찰 등 각 군의 수사업무종사자 60여명을 대상으로 9.1.∼9.2., 9.15.∼9.16. 두 차례에 걸친 특별 인권교육을 1박 2일 과정으로 실시하였다.고 16일 밝혔다. 특히 금...
    Date2022.09.16 Views3600
    Read More
  9. 국방부, 병 휴가 시 고속버스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개시

    「청년DREAM, 국군드림」앱 모바일 고속버스 승차권 서비스 개시 -병사 휴가 시 '종이 승차권'이 아닌 '모바일 승차권'으로 고속버스 탑승 가능- 국방부는 병 휴가시 고속버스 이용 편의를 높이기 위해 9월 20일(화)...
    Date2022.09.16 Views3436
    Read More
  10. 제18회 지상군페스티발

    2022 계룡세계군문화엑스포와 함께하는 제18회 지상군페스티발이 10월 7일부터 23일까지 육군본부가 위치한 지상군계룡대 활주로에서 실시된다.
    Date2022.09.15 Views3642
    Read More
  11. 2022년 중국군 유해 입관식 진행

    국방부는 한‧중 양측은 9월 15일(목) 10시, 인천시 소재 ‘중국군 유해 임시안치소’에서 그간 6.25 전사자 발굴과정에서 발굴된 중국군 유해 88구에 대한 「유해 입관식」을 실시하였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입관식은 ...
    Date2022.09.15 Views3319
    Read More
  12. 해군, 제72주년 인천상륙작전 전승 행사 - 국방일보

    15일 인천시 연수구 인천상륙작전기념관에서 열린 제72주년 인천상륙작전 전승 기념식 참석자들이 호국영령 및 순국선열에 대한 묵념을 하고 있다. 6·25전쟁 22개 참전국 국기가 도열한 모습. 이종호(오른쪽) 해군참...
    Date2022.09.15 Views3430
    Read More
  13. 국가보훈처, 2022년 9월의 6.25 전쟁영웅 전차상륙함(LST) 문산호 선정

    국가보훈처, 2022년 9월의 6.25 전쟁영웅 전차상륙함(LST) 문산호 선정 - 장사상륙작전 임무 수행의 주역 - 국가보훈처(처장 박민식)는 “6·25전쟁 당시 육군 독립 제1유격대대가 인천상륙작전의 기만책으로 경북 영덕...
    Date2022.09.13 Views3233
    Read More
  14. 국방부 단기복무간부 취업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이종섭 국방부장관(왼쪽)이 13일 서울 용산 국방부에서 대한민국 ROTC 중앙회 박식순 회장(오른쪽)과 '전역예정 단기복무간부 취업지원 및 인식개선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국방부 ...
    Date2022.09.13 Views3174
    Read More
  15. 국방부장관, 태풍 ‘힌남노’ 피해복구 지원 현장 방문 및 장병 격려

    이종섭 국방부장관은 9월 9일(금) 오전, 태풍 ‘힌남노’로 피해를 입은 경북 포항을 방문하여, 대민지원을 위해 헌신하고 있는 해병대 1사단과 특전사를 비롯한 육군의 다수 부대 장병들을 격려하였다. 군은 태풍 ‘힌...
    Date2022.09.10 Views357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201 Next
/ 20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