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25 전쟁 당시 꽃다운 나이에 자유 대한민국을 수호하기 위해 교복과 책가방을 땅에 묻고 펜 대신 총을 들고 낙동강 전선을 사수하다가 전사한 2명의 학도병이 73년 만에 가족 품에 안겼습니다.

◦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 단장 이근원)은 지난 2005년 경북 포항에서 발굴한 6·25전쟁 전사자 유해의 신원을 국군 3사단 소속 고(故) 한철수 일병과 최학기 일병으로 확인했습니다.

◦ 이로써, 2000년 4월 유해발굴이 시작된 이래 신원이 확인된 전사자는 총 221명으로 늘었습니다.

□ 고(故) 한철수 일병은 1933년 3월 전북 익산에서 7남 4녀 중 넷째로 태어나 1950년 7월 함열중학교 재학 당시 나라를 지키겠다며 학업을 뒤로한 채 자진하여 학도병으로 6·25 전쟁터에 뛰어들었습니다.

◦ 이후 한 일병은 낙동강 방어선이 구축되어 격전을 벌이던 국군 3사단에 배치됐고, ‘포항전투(1950. 8. 18. ~ 9. 22.)’에 참전해 북한군 남하를 저지하던 중 1950년 8월 24일 17세의 어린 나이에 산화했습니다.

◦ ‘포항전투’는 국군의 동부전선을 돌파하여 부산으로 조기에 진출하려던 북한군의 계획을 국군이 포항 도음산 일대에서 저지함으로써 낙동강 동부지역 작전을 수세에서 공세로 전환하는 계기를 마련한 전투입니다.

◦ 국유단은 전쟁 당시 부역으로 동원됐던 지역주민들이 ‘흩어져 있던 전사자 유해를 포항 도음산 정상 부근에 매장했다’는 증언을 토대로 2005년 3월 전문 발굴 병력을 투입해 유해발굴에 나선 결과, 고인의 유해를 발견하였습니다.

◦ 신원확인 과정에서 국유단은 한 일병의 병적자료에서 익산이 본적지임을 파악한 뒤, 지역의 제적등본과 비교해 2017년 고인의 남동생과 조카를 찾아 유전자 시료 채취 및 정밀 분석을 거쳐 가족 관계임을 확인했습니다. 안타깝게도 남동생 한건수 씨는 형의 유해를 보지 못한 채 2019년 향년 84세에 세상을 떠나셨습니다.

□ 다른 한 분인 고(故) 최학기 일병은 1931년 4월 경남 김해에서 5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나 결혼을 하고 김해공립농업학교(현재 김해생명과학고) 다녔습니다. 전쟁이 발발하자 최 일병은 조국 수호의 일념으로 신혼생활과 학업을 뒤로한 채 자진하여 1950년 8월 학도병으로 입대하였습니다.

◦ 이후 최 일병은 한 일병과 같은 소속인 국군 3사단에 배치되어 ‘포항전투’ 에 참전하여 입대한 지 한 달 만에 1950년 9월 6일, 19세 나이로 전사했습니다.

◦ 한 일병과 마찬가지로 고인의 유해도 2005년 3월 도음산 일대에서 발굴하였으며, 도음산 일대에서 수습된 총 400여 구의 유해 중 총 14명의 신원을 확인하였습니다.

◦ 신원확인 과정에선 이후 2021년 부산·경남지역에서 실시한 ‘민·관·군 협업 유가족 집중 찾기’ 기간 중 육군 제39보병사단 소속 경남 김해시 활천 2동대의 예비군 지휘관이 국유단에서 받은 지역별 전사자 명부를 통해 고인의 조카 최용준 씨를 찾아냈고, 유전자 시료채취 및 분석을 통해 고인과의 가족 관계임을 최종적으로 확인하였습니다.

□ 두 전사자에 대한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는 어제(19일) 전북 익산과 오늘(20일) 경남 김해에 있는 유가족 자택에서 열렸습니다.

◦ 고인의 신원이 확인되었다는 소식에 고 한철수 일병의 조카 한상덕 씨(62세)는 “세월이 오래 지나서 ‘사막에서 바늘 찾기’나 다름없는데 그 어려운 과정을 거쳐 삼촌의 유해를 찾아준 국가에 정말 감사합니다.”라고 소감을 전했습니다.

◦ 고 최학기 일병의 동생 최삼식 씨(83세)는 “이번 현충일에도 TV를 보면서 유해라도 찾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큰 형님을 찾았다고 하니 마치 살아서 돌아오신 것 같은 기분이 들며 마음이 찡합니다. 국가가 참 좋은 일 하십니다.”라며 감사를 표했습니다.

□ 6·25 전사자 신원확인을 위해 국민 여러분의 동참이 절실합니다.

◦ 전국 어디에서나 가능한 유전자 시료 채취는 6·25 전사자의 유가족으로서, 전사자의 친·외가를 포함해 8촌까지 신청 가능하며, 제공하신 유전자 정보를 통해 전사자의 신원이 확인될 경우 1,000만 원의 포상금이 지급됩니다.

◦ 발굴된 유해의 신원확인을 위한 ‘시간과의 전쟁’을 벌이고 있는 만큼,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관심과 동참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 국유단 탐문관들은 각지에 계신 유가족을 먼저 찾아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으며 유전자 시료 채취를 희망하고 계시지만 거동 불편, 생계 등으로 방문이 어려우신 유가족께서는 대표번호 1577-5625 (오! 6·25)로 언제든 연락 주시면 직접 찾아뵙고 유전자 시료를 채취해 드립니다. 여러분도 ‘유(YOU)가족’일 수 있습니다. <끝>



  1. 국군포로대책위원회, 북한에 국군포로 존재 인정 및 진상규명 촉구

    김선호 국방부차관은 국군포로 관련 당면 현안에 대한 추진사항을 점검하고, 논의하기 위한 제23차 범정부 「국군포로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원회)를 12월 6일 개최하였다. 대책위원회는 관련 규정(총리 훈령)에 따라...
    Date2023.12.06 Views9462
    Read More
  2. ‘초급간부의 중추’ 학군장교 지원율 제고 위해 현장의 목소리 듣다 - 국방부 보도자료

    □ 김선호 국방부차관은 12월 6일(수) 오후, 국방부 관계자*와 함께 중앙대학교 학군단을 방문하여, 서울권역 5개 대학**의 학군단장 및 후보생들과 학군장교 지원율 제고를 위한 간담회를 실시하였습니다. * 오영대 ...
    Date2023.12.06 Views9466
    Read More
  3. 2023년 12월의 6·25전쟁영웅, '국군 선봉부대로 압록강변 진격' <이대용 대한민국 육군 준장> 선정

    국가보훈부(장관 박민식)는 “6·25전쟁 당시 춘천 전투, 낙동강 전투 등 수많은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국군의 선봉 부대로 압록강변 초산까지 진격했던 이대용 대한민국 육군 준장(당시 계급 중위)을 2023년 12월의 6...
    Date2023.12.05 Views9520
    Read More
  4. 고체추진 우주발사체 기술을 활용한 민간 상용 위성 발사 성공

    2023년 12월 4일 제주도 인근 해상에서 국방과학연구소의 고체추진 우주발사체 기술을 활용한 민간 상용 위성 발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 이번 발사는 민간기업(한화시스템) 주관 하에 이루어진 발사로, 국방과학...
    Date2023.12.05 Views8647
    Read More
  5. 김명수 합참의장, 동부전선 GP 방문해 적 활동 확인

    - 첫 현장 점검에서 ‘조건반사적 대응과 현장에서 상황종결’ 당부 - 김명수 합동참모의장은 취임 후 첫 방문지로 11월 30일(목) 동부전선 최전방에 위치한 GOP·GP 경계작전부대를 찾아 ‘적에 의한 9·19 군사합의 파기...
    Date2023.12.01 Views11147
    Read More
  6. 최초 군사정찰위성 1호기 탑재 팰콘(Falcon)-9 발사체 기립 완료

    현지시각 11월 30일,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우주군기지에서 발사 예정일을 하루 앞두고 우리 군 최초 군사정찰위성 1호기를 탑재한 팰콘(Falcon)-9 발사체가 기립 완료한 모습. <사진 = SpaceX>
    Date2023.12.01 Views11099
    Read More
  7. 국방홍보원, 전문가 자문 통해 국방 전문 미디어 기관 경쟁력 확보한다

    국방홍보원(원장 채일)은 11월 30일(10:00~14:00) 김정기 전 방송통신위원회 미디어다양성위원회 위원장 등 11명을 초청하여 홍보정책자문위원 위촉식 및 자문회의를 개최한다. 이날 회의는 미디어, 국방정책, 홍보PR...
    Date2023.12.01 Views10279
    Read More
  8. 신원식 국방부장관, 전군 주요지휘관회의 주관 “‘망동은 파멸의 시작’임을 인식토록 강력 대응”

    신원식 국방부장관은 11월 27일 한미연합군사령부를 방문해북한의 도발에 대비한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당부한 데 이어, 28일 전군 주요지휘관 회의를 주관해 현 상황 관련 군사적 조치사항들을 점검하고 우리 ...
    Date2023.11.29 Views11650
    Read More
  9. 마지막 한 분을 찾는 그 날까지! 6·25 전사자 유해발굴사업 설명회 개최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 단장 이근원)은 28일,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호텔리츠 컨벤션에서 서울․경기 남부 지역 6·25 전사자 유가족과 행정기관, 보건소, 군 관계자 등 120여 명을 초청해 ‘6·25 전사자 ...
    Date2023.11.29 Views11037
    Read More
  10. 한국-영국 방산 공동수출에 관한 양해각서 체결

    방위사업청(청장 엄동환)은 영국 런던 시장 관저(맨션하우스)에서 엄동환 방위사업청장과 케미 베이드녹 영국 산업무역부 장관이 방산 공동수출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11월23일(목) 밝혔다. 영국은 주요 G20(...
    Date2023.11.27 Views11828
    Read More
  11. 국방기술품질원, 국가품질혁신상 대통령 표창 수상

    국방기술품질원(원장 허건영)은 11월 22일 오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49회 국가품질경영대회’에서 국방품질 혁신과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정부로부터 국방품질혁신상 대통령 표창을 수상하였다. 국가품...
    Date2023.11.27 Views8894
    Read More
  12. 신원식 국방부장관, 한미연합사 방문해 北의 접적지역 군사적 복원조치 엄중 경고

    신원식 국방부장관은 11월 27일(월), 한미연합군사령부를 방문해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점검하고, 한미 장병들을 격려했다. 신원식 장관은 브리핑룸에서 폴 라카메라(Paul LaCamera) 사령관의 임무 브리핑을 받...
    Date2023.11.27 Views8309
    Read More
  13. 軍, 나토 「사이버 코얼리션 2023」 훈련 최초 참가

    국방부는 우리 군이 나토(NATO, 북대서양 조약기구) 주관으로 11월 27일부터 12월 1일까지 에스토니아 탈린에서 개최하는 「사이버 코얼리션(Cyber Coalition) 2023」 훈련에 최초로 참가한다고 27일 밝혔다. 「사이버 ...
    Date2023.11.27 Views7868
    Read More
  14. 보훈부·포스코 1% 나눔재단, 첨단보철구 전달식 개최

    몸이 불편한 상이 국가유공자 등에게 첨단보철구를 지원해드립니다. - 보훈부·포스코 1% 나눔재단, 23일(목) 오후 3시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첨단보철구 전달식 개최 - 국가유공자 27명, 현역 군인 1명, 소방공무원 22...
    Date2023.11.24 Views9993
    Read More
  15. 73년이 지나 넋으로 만난 6·25전쟁 '호국의 형제'… 대전현충원에 함께 잠들다

    6·25전쟁에 함께 참전해 적군과 싸우다 전사한 ‘호국의 형제’ 고 최상락(형) 하사·최임락(동생) 일병이 73년 만에 넋으로 만나 국립대전현충원에 나란히 잠들었다. 23일 오전 국립대전현충원에서 박안수 육군참모총장...
    Date2023.11.23 Views924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201 Next
/ 20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