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급 대부분을 적금에 써요. 이병 때부터 매달 ‘장병내일준비적금’에 40만 원씩 넣어왔고, 일병인 지금은 여윳돈이 조금 더 생겨 월 10만 원씩 더 모으는 중입니다. 전역 후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서죠.” 육군12보병사단 김○○ 일병의 말이다.

올해 병 월급은 125만 원(병장 기준)까지 올랐다. 병역의무 이행에 대한 합당한 예우와 보상을 위해 앞으로도 단계적인 인상이 추진될 예정이다. 과거에 비해 크게 오른 병 봉급, 어떻게 쓰이고 있을까?

국방홍보원(원장 채일) 국방일보는 8월 12일부터 18일까지 병 855명을 대상으로 ‘봉급을 가장 많이 쓰는 사용처’와 ‘월평균 사용액’에 대한 병영차트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집계 결과, 병사들의 봉급 사용처 1위는 ‘적금(저축)’이었다. 전체 응답자의 절반이 훌쩍 넘는 60.9%(521명)가 봉급을 적금(저축)에 가장 많이 쓴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목돈 마련(미래 대비)’라는 응답이 66%(344명)로 가장 많았다. 이밖에도 ‘장병내일준비적금 제도의 혜택이 좋아서(11.7%)’ ‘딱히 쓸 곳이 없어서(7.1%)’ ‘생활비, 학자금 마련(5.8%)’ ‘여행 자금 마련(2.3%)’ 등의 이유가 나왔다.

매월 적금(저축)에 사용하는 평균적인 금액으로는 ‘40만 원 이상~70만 원 미만’이란 응답이 62.8%(327명)로 가장 많았다. 이어 ‘70만 원 이상~100만 원 미만(16.1%)’, ‘10만 원 이상~40만 원 미만(12.5%)’ 순으로 집계됐다. 상대적으로 봉급이 많은 병장 계급 중에서는 ‘100만 원 이상(2.1%)’이란 응답도 있었다.

결과적으로 적금(저축) 액수가 ‘월 40만 원 이상’인 응답자의 비율을 합산하면 81%를 기록했다. 왜 하필 ‘40만 원’일까? 이는 복무 기간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장병내일준비적금’ 제도의 개인별 월 최대 납입 금액이 40만 원인 것과 무관하지 않다.

 ‘장병내일준비적금’은 병사들 사이에서 일명 ‘군 적금’으로 통한다. 이번 설문에서 대다수의 병사들이 군 적금에 월 최대 금액을 납입 한다고 밝혔다. 육군수도기계화보병사단 김○○ 일병은 “군 적금 혜택이 좋아서 매월 최대 금액을 꼭 넣고 있다”고 설명했다. 육군22보병사단 박○○ 일병도 “군 적금은 병사로서 누릴 수 있는 정말 좋은 혜택”이라고 호평했다.

 ‘장병내일준비적금 100% 활용, 여윳돈 추가 저축’ 방식은 목돈을 모으기 위한 병 봉급 사용법의 ‘대세’이자 ‘공식’처럼 자리 잡아가고 있다. 이병 때부터 군 적금에 ‘풀’로 가입하고, 점점 계급이 올라 봉급이 늘어나면 여윳돈만큼 별도의 저축을 늘리는 형태다.

육군5포병여단 김○○ 일병은 “매월 봉급 80만 원에서 40만 원은 군 적금으로 공제, 20만 원은 따로 저축하고 남은 돈만 쓴다”고 자신의 봉급 사용법을 소개했다. 육군9보병사단 어○○ 상병도 “매달 군 적금에 40만 원을 납입 중이며, 남은 봉급으로 다른 적금 상품에도 가입했다”고 전했다.

육군을 기준으로 복무 기간 18개월 동안 장병내일준비적금에 개인별 월 최대 금액인 40만 원을 납입하면, 전역 때 원금과 이자, 정부 재정지원금을 합쳐 1,400만 원 수준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다. 내년부터 월 납입 한도가 55만 원으로 확대됨에 따라 장병들에게 돌아갈 혜택도 더 커질 전망이다.

그렇다면 ‘적금(저축)’을 하고 남은 봉급은 어떻게 사용되고 있을까? 병사들이 봉급을 많이 지출하는 사용처 2위는 ‘군마트(PX) 이용(10.8%)’으로 조사됐다. 이유로는 ‘힘든 훈련과 일과를 끝내고 PX를 가는 게 군 생활의 큰 즐거움(육군5보병사단 박○○ 상병)’ ‘사회보다 가격이 엄청 저렴해 맘 편히 이용할 수 있어서(육군2신속대응사단 홍○○ 일병)’ ‘군 생활의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육군50보병사단 김○○ 이병)’ 등이 있었다.

이어서 병 봉급 사용처 3~8위는 ‘출타 비용(10.6%)’, ‘문화·취미생활(6.1%)’, ‘재테크(5.3%)’, ‘자기계발(2.3%)’, ‘부모님 등 가족 용돈(1.8%)’, ‘선물 구입(1.1%)’ 순으로 집계됐다.

국방일보 병영차트는 매월 흥미로운 주제를 선정해 장병들의 의견을 듣고 순위를 매겨보는 소통·참여형 열린 국방 콘텐츠다.병영차트 설문은 매월 대국민 국군 소통 서비스 ‘더캠프’ 앱에서 진행된다. 설문 결과는 국방일보 신문 지면과 온라인 홈페이지, 공식 뉴미디어 채널 등에서 다양한 콘텐츠로 만나볼 수 있다. 



  1. 김명수 합참의장, UFS 전 전방 대비태세 현장지도

    김명수 합참의장은 8월 12일(월), GOP경계작전을 담당하는 1사단 예하부대를 방문하여 적 도발위협에 대한 실질적인 대응계획과 현장·행동 위주 대비태세를 점검하고, 폭염속에서 임무수행에 매진하고 있는 장병들을 ...
    Date2024.08.12 Views16322
    Read More
  2. 2024 UFS 을지 자유의 방패 연습 실시

    한미는 연합방위태세 확립을 위해 8월 19일(월)부터 29일(목)까지 UFS(Ulchi Freedom Shield, 을지 자유의 방패) 연습을 시행하기로 하였다고 합참은 12일 밝혔다. 이번 UFS 연습은 점증하는 북한의 미사일 위협, GPS...
    Date2024.08.12 Views14164
    Read More
  3. 국방부, 「병 휴대전화 사용 정책」 보완 시행

    국방부는 현행「일과 후 병 휴대전화 사용 정책」을 일부 보완하여 9월 1일부로 시행한다고 밝혔다. 병사들의 휴대전화 소지 시간을 ‘일과 후’로 현행과 같이 유지하되, 훈련병과 군병원 입원환자 등에 대한 휴대전화...
    Date2024.08.08 Views17432
    Read More
  4.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 ‘큰별쌤’ 최태성 역사 커뮤니케이터를 홍보대사로 위촉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 단장 이근원)은 5일 오후 2024년 후반기 유해발굴 출정식에 맞춰 ‘큰별쌤’으로 유명한 최태성 역사 커뮤니케이터를 홍보대사로 위촉한다. 먼저 식전행사로 최태성 씨는 6·25 전사...
    Date2024.08.05 Views19276
    Read More
  5. KFN스페셜 위문열차 강릉 경포 썸머 페스티벌

    국방홍보원 KFN(Korean Forces Network/舊 국방TV)은 KBS와 공동기획으로 2024 강릉 경포 썸머 페스티벌 특별공연을 8월 4일과 5일 이틀간 녹화·방송한다. 2024 강릉 경포 썸머 페스티벌은 7월30일~8월5일(7일간) 강...
    Date2024.08.05 Views17344
    Read More
  6. 국방부, 실미도 사건 53년 만에 사과한다.

    국방부가 ‘실미도 사건’에 대해 53년 만에 처음으로 사과할 에정이다. 4일 국방부는 오는 9월 또는 10월 예정된 실미도 부대원 4명의 유해 발굴 개토제에서 국방부 군인권개선추진단장이 신원식 장관의 사과문을 대독...
    Date2024.08.05 Views15775
    Read More
  7. 2024년 8월 6‧25전쟁영웅, <박두원 대한민국 공군 대위> 선정

    2024년 8월의 이달의 6‧25전쟁영웅, ‘대한해협을 건너와 용맹하게 싸우다 하늘의 별이 된 파일럿’ <박두원 대한민국 공군 대위> 선정 국가보훈부(장관 강정애)는 6‧25전쟁 당시 재일학도의용군 출신으로 자원입대하여...
    Date2024.08.02 Views10605
    Read More
  8. 방위사업청, 「제8회 국방과학기술 대제전」 개최

    “상상실현, 미래를 만드는 아이디어” 온 가족이 함께하는 국방과학기술 체험마당 방위사업청(청장 석종건)은 “상상실현, 미래를 만드는 아이디어”를 주제로 8월 1일부터 3일까지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제8회 국방과...
    Date2024.08.02 Views10463
    Read More
  9. 국방 증명서 통합발급체계」를 정식 개시

    □ 국방부(장관 신원식)는 2024년 8월 1일부터 국민들이 인터넷 으로 국방 분야 증명서를 편리하게 발급받을 수 있도록「국방 증명서 통합발급체계」를 정식으로 개시합니다. ※ (누리집 주소) https://dcis.mnd.go.kr □ ...
    Date2024.08.02 Views7116
    Read More
  10. 2024년 한미 대량살상무기대응위원회(CWMDC) 결과

    □ 대한민국 국방부와 미합중국 국방부는 2024년 7월 30일 서울에서 ’24년 한미 대량살상무기대응위원회(CWMDC:Counter WMD Committee)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회의는 대한민국 국방부 윤봉희 정책기획관, 미합중국 국...
    Date2024.08.02 Views5578
    Read More
  11. 전략사령부 창설 법적 토대 마련

    「전략사령부령」 제정안이 7월 30일(화) 국무회의에서 의결되었습니다. 이로써 지난 6월 21일 입법예고 이후 관계기관 협의 및 관련 절차를 모두 마쳤으며, 오는 8월 6일에 공포되면 전략사령부 창설의 법적 토대가 ...
    Date2024.08.02 Views4993
    Read More
  12. 병사의 포상휴가 등 취소·철회 근거, 합리적으로 정비된다.

    병사의 포상휴가 등 취소 · 철회 근거, 합리적으로 정비된다. - 국민권익위, 병사에 대한 불합리한 특별휴가 제한 관행 개선 권고 - 특별휴가 제한 근거 마련, 특별휴가 취소․철회 사유 정비 등 앞으로 병사들에게 특...
    Date2024.07.25 Views9920
    Read More
  13. 유엔군 참전의 날 맞아 19개국 유엔참전용사와 유·가족 67명 대한민국 찾는다

    - 보훈부, 유엔참전용사 재방한 초청행사 진행... 19개 유엔 참전국 참전용사 16명과 유·가족 51명 방한 - 25일(목)∼30일(화)까지 5박 6일간 일정... 판문점 방문, 유엔군 참전의 날 기념식, 유엔기념공원 참배, 감사...
    Date2024.07.25 Views8629
    Read More
  14. 국방부, 「GP/GOP 경계작전 혁신 대토론회」 개최

    국방부는 7월 24일(수) 신원식 국방부장관 주관으로 「GP/GOP 경계작전 혁신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는 김명수 합동참모의장을 비롯하여 육군참모총장 및 연합사부사령관, 육군 제2작전사령관, 지상작전...
    Date2024.07.25 Views8458
    Read More
  15. 국립서울현충원 개원 70년 만에 국가보훈부로 이관

    - 서울현충원, 국방부에서 국가보훈부로 이관하는 국립묘지법 개정안 24일 시행 - 보훈부, 올해 연구용역 통해 ‘추모·힐링·접근성 개선’ 등 재창조 기본구상안 및 국립묘지 의전·참배·안장 등 통합 표준 매뉴얼 마련 ...
    Date2024.07.23 Views9747
    Read More
  16. 제복근무자에 대한 감사·존중 ‘일상 속 문화’로 바뀐다

    - ‘또 하나의 국가대표, 제복근무자’ 감사캠페인 온·오프라인에서 큰 호응... 캠페인 방송 및 유튜브 영상·인플루언서 챌린지 조회 수, 응원 댓글 등 빠르게 확산 - 보훈부, ‘제복근무자 감사’ 국민 참여 행사 등 다...
    Date2024.07.22 Views10085
    Read More
  17. 2024년 국방홍보영상공모전 개최 안내

    2024년 국방 홍보 영상 공모전 국방홍보원은 국방홍보 매체를 통해 장병과 국민의 안보의식 제고 및 국방정책과 군 활동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국방홍보 기관으로, 새롭고 다양한 홍보 영상콘텐츠 발굴을 위해 「2024 ...
    Date2024.07.22 Views4923
    Read More
  18. 국가보훈부, 2024년 제대군인 창업 경진대회 개최

    국가보훈부, 2024년 제대군인 창업 경진대회 개최 국가보훈부(장관 강정애)는 제대군인의 우수한 창업 계획을 발굴하고 창업 역량을 강화하여 성공적인 사회 복귀와 창업 지원을 위해 '2024년 제대군인 창업 경진대회...
    Date2024.07.19 Views657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3 4 5 6 7 ... 168 Next
/ 16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