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55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합동성 강화·동원전력 운용 능력 검증 구슬땀

실제 상황 가정…해상전환·해안양륙절차 ‘척척’

BBS_201409020532180720.jpg

2일 경북 포항시 도구 해안에서 열린 ‘2014 합동 해안양륙군수지원’ 훈련에서 해상전환 절차를 마친 K-55 자주포가 상륙주교를 건너고 있다. 포항=정의훈 기자

BBS_201409020532527460.jpg

합동훈련 현장을 방문한 최윤희 합참의장이 우리 군 단독으로 수행한 해안양륙군수지원 절차를 점검하고 있다. 포항=정의훈 기자


 

   합동참모본부는 1일부터 3일까지 경북 포항시 도구 해안에서 ‘2014 합동 해안양륙군수지원’(JLOTS : Joint Logistics Over The Shore) 훈련을 전개했다. 해안양륙군수지원은 항만시설이 없거나 기존 시설이 파괴된 지역에서 전투부대에 연료·탄약 등을 지원하는 해상 군수지원 작전이다. 간이 부두 및 대량 유류분배 등을 포함한 임시 항만시설을 신속히 설치해 작전부대가 요구하는 병력·장비를 이송하는 개념이다. 거친 파도와 맞서 싸우며 전투부대 작전지속 능력 보장에 구슬땀을 흘린 훈련 현장을 소개한다.

 

 # 상륙주교 설치…해상군수지원 ‘완벽’

 가을이 성큼 다가온 2일 오전 경북 포항시 도구 해안. 수평선 부근 해상에 수 척의 선박이 모습을 나타냈다. 합동군은 가상의 적 공습 등으로 접안 시설 기능이 마비되자 바다와 해안을 연결하는 상륙주교를 설치하고, 전투장비 기동을 위한 평탄화 작업 및 비트 매치 설치를 완료했다.

 목표 해안 1마일(1.852㎞)로 접근한 민간 동원선박에서 다목적 상륙주정(LCU)으로 탑재 화물을 옮기고, 크레인 바지선이 상륙주교에 화물을 사뿐히 내려놓았다. 야지형 지게차는 기다렸다는 듯 화물을 해안가로 이송했으며, 콘테이너 작업용 중장비 리치스태커가 화물을 들어올려 지정 장소에 차곡차곡 쌓았다.

 전투장비 이송은 차량운반선이 맡았다. K-55 자주포와 상륙돌격장갑차(KAAV) 등을 옮겨 실은 바지선이 상륙주교에 접안했고, 전투장비들은 굉음을 내며 상륙주교를 통과했다.

 각종 장비와 화물은 종별로 나뉘어 임시 숙영지에 적재, 전투부대 배치를 기다렸다. 파도가 넘실대는 바다 위에서의 해상전환 과정, 바지선과 상륙주교를 접안해 장비·물자를 육상으로 이동시키는 해안양륙 절차는 물 흐르듯 매끄러웠다.

 이번 합동 해안양륙군수지원 훈련은 각군의 합동성을 강화하고, 군 전력과 민간 동원전력의 운용 능력을 검증·숙달하는 데 중점을 뒀다. 더불어 전력 소요 및 교리발전 과제 도출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훈련에는 해군5성분전단, 해병대 군수지원단, 육군군수사령부, 국군수송사령부 등이 참가했다. 함정(선박) 20여 척, 차량 110여 대, 병력 1000여 명을 투입했으며 천정수(준장) 5성분전단장이 지휘관 임무를 수행했다. 포항해양경찰과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훈련을 물밑 지원했다.

 훈련은 진해·부산항에서 차량과 물자를 탑재한 동원선박(차량운반선·화물선)이 목표지점을 향해 출항하는 것으로 문을 열었다.

 포항 인근 해상에 도착한 동원선박은 항만시설 사용이 불가능하자 장비와 물자를 바지선으로 옮기는 해상전환 절차에 돌입했다. 이어 바지선과 상륙주교를 접안한 후 장비·물자를 육상으로 이동시키는 해안양륙 절차를 수행했다. 대량 유류 분배는 해상 오염을 고려, 청수로 대체해 훈련을 진행했다.

 특히 해군 초계함(PCC) 3척과 구조함(ATS) 1척이 경계진을 형성해 호송작전을 펼치고, 고속정(PKM) 2척이 적 해군을 가장해 위협 기동을 벌이는 등 실전을 방불케 했다.

 최윤희 합참의장은 이날 훈련 현장을 방문해 우리 군의 해안양륙군수지원 능력을 점검하고, 훈련에 전념하는 장병들을 격려했다.

 

 # 단독작전능력↑, 교리발전 전력투구

 한반도 전구(戰區 : 독자적으로 맡아서 전투를 수행하는 구역) 내에서 최초의 해안양륙군수지원 훈련은 2001년 포항 칠포 해안에서 미군 단독으로 열렸다.

 우리 군은 독자적인 해안양륙군수지원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2011년 3월 충남 태안 안면도 해안에서 한미연합사령부가 주관하고, 한국 해군 장성이 지휘하는 연합·합동 해안양륙 군수지원(CJLOTS: Combined Joint Logistics Over The Shore) 훈련을 벌였다.

 이후 짝수 해에는 한국군 단독으로 합동 해안양륙 군수지원 훈련을, 홀수 해에는 미군을 포함한 연합·합동 훈련을 전개하고 있다.

 특히 2012년에는 해병대 상륙지원단 해군5성분전단, 해군진해기지사령부, 국군수송사령부, 육군군수사령부 등 순수 우리 자산을 투입한 최초의 한국적 해안양륙군수지원 훈련으로 지휘 구조와 작전수행 능력을 검증했다. 지난해에는 사상 최대 규모의 연합·합동 해안양륙군수지원 훈련으로 작전수행 능력을 대폭 끌어올리는 성과를 거뒀다.

 해안양륙군수지원은 전·평시 군사작전 외에도 인도적 지원 작전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는 등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해군은 이에 따라 해군본부 주관으로 태스크포스(TF) 팀을 편성·운용해 한국군 해안양륙군수지원 교범을 발간했다. 이와 함께 전담 조직을 신편하고, 교육훈련 기반을 구축하는 등 한국군 해안양륙군수지원체계 정립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우리 군은 앞으로도 한반도 전구 내에서 독자 작전이 가능한 능력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해안양륙 군수지원체계를 발전시키는 데 전력투구할 방침이다.

 이번 훈련을 진두지휘한 해군5성분전단 천정수 전단장은 “해안양륙군수지원은 단순 군수지원이 아닌 적 후방지역을 장악하기 위한 전승의 핵심 작전”이라며 “고강도 합동훈련을 밑거름 삼아 한국군의 단독작전 능력을 향상시키고 전력과 교리발전을 체계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1. 작전 펼치듯…해병대 신속 기동

    작전 펼치듯…해병대 신속 기동 - 해병대 신속기동부대 장병들이 9일 울산 태화공원 십리대밭길 인근 산책로와 축구장 에 쌓인 토사를 제거하고 있다. 국방일보 조종원 기자
    Date2016.10.10 By운영자 Views1412
    Read More
  2. 백혈병투병 여고생에 조혈모세포 기증한 김재형병장

    대한민국 서해 최북단 소청도에서 복무중인 김재형 병장. 평소 휴가때마다 꾸준하게 헌혈을 해온 김병장은 작년 11월 휴가 중 헌혈의 집에서 조혈모세포 기증안내 팜플렛을 보고 기증희망자로 등록합니다. 이 후 올해...
    Date2016.10.06 By운영자 Views1214
    Read More
  3. 해병대 동원지원단, 주기적인 상담으로 소통

    해병대 동원지원단 멘토-멘티 프로그램에 참가한 간부(오른쪽)와 대원이 함께 산책을 하며 병영생활에 대해 대화를 나누고 있다. 부대 제공 해병대 교육훈련단 예하 동원지원단이 ‘소통’을 통해 병영문화혁신에 활력...
    Date2016.09.28 By운영자 Views1066
    Read More
  4. 제66주년 서울수복 기념행사 24일 서울광장에서 열려

    서울수복 66주년을 맞아 역사적 의미를 상기하고, 국가안보의 소중함을 재인식시키기 위한 서울수복기념행사가 9월 24일(토) 서울광장에서 개최됩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부탁드립니다!
    Date2016.09.20 By운영자 Views1558
    Read More
  5. 한민구 국방부 장관, 백령도 해병부대 순시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추석 연휴 첫날인 14일 서해 최북단 백령도 해병 부대를 순시해 군사 대비태세를 점검한 후 장병들과 기념촬영을 하며 파이팅을 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Date2016.09.19 By운영자 Views1635
    Read More
  6. 해병대 덕산장학회, 우수 장병 20명에 장학금

    덕산장학회 장학증서를 받은 해병대1사단 장병들과 해병대1사단장이 지난 12일 행사 후 기념 촬영하고 있다. 해병대 제공 해병대 덕산장학회는 지난 12일 한가위 명절을 앞두고 복무 태도와 학업성적이 우수한 장병 2...
    Date2016.09.18 By운영자 Views1577
    Read More
  7. 인천상륙작전 월미도서 전승 기념식

    6·25 전쟁의 판세를 뒤집은 인천상륙작전을 기념하는 행사가 9일 인천 월미도에서 열렸다. 이날 66주년 인천상륙작전 전승기념식에는 정호섭 해군참모총장, 유정복 인천광역시장, 이상훈 해병대사령관 등이 참석했다....
    Date2016.09.12 By운영자 Views983
    Read More
  8. 해병대전략연구소 세미나 열어, 제주도 전략도서화 전망·과제 논의

    해병대전략연구소가 7일 전쟁기념관에서 ‘제주도 전략도서화 전망과 과제’를 주제로 주최한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열띤 토론을 하고 있다. 해병대 제공 해병대전략연구소는 7일 서울 전쟁기념관 뮤지엄웨딩홀에서 ‘...
    Date2016.09.09 By운영자 Views1095
    Read More
  9. 6·25전쟁 통영상륙작전 전승 66주년 기념행사

    ‘귀신 잡는 해병’의 신화가 탄생한 6·25전쟁 통영상륙작전 전승 66주년 기념행사가 지난 14일 경남 통영시 무전동 원문공원 일대에서 열렸다. 해병대사령부·통영시·해병대 전우회 공동 주관으로 열린 이날 행사에는 6...
    Date2016.08.18 By운영자 Views1197
    Read More
  10. 병영문화혁신에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겠습니다

    Date2016.07.22 By운영자 Views1023
    Read More
  11. 해병대사령부 찾은 6ㆍ25전쟁 참전 미군용사

    호국보훈의 달 6월을 맞아 6ㆍ25전쟁 참전 미군용사와 새에덴교회 일행이 해병대사령부를 방문했습니다. 인천상륙작전, 장진호 전투 등을 경험한 리처드 캐리 미 해병대 예비역 중장과 월턴 워커 사령관의 손자 샘 워...
    Date2016.06.27 By운영자 Views1161
    Read More
  12. 6·25 전쟁 숨은 영웅 여성해병대

    6·25 전쟁 숨은 영웅 여성해병대 / 여성신문 카드뉴스
    Date2016.06.27 By운영자 Views1228
    Read More
  13. 포항시, 해병대 동문 연결도로 개통

    포항시는 지난 10일 해병대 군장병 면회객의 편의를 위한 남구 동해면 해병대 동문 연결도로 확장공사를 완료하고 개통식을 가졌다. 포항시는 이번 공사에 2014년부터 총사업비 4억원을 투입해 동해면 도구리 포항공...
    Date2016.06.14 By운영자 Views1686
    Read More
  14. 해군·해병대 신속기동부대’ 평택LNG기지서 첫 훈련

    “거리 64, 방위각 111.” “확인!” 나지막한 목소리로 답한 저격수는 망설임 없이 방아쇠를 당겼다. 이어진 관측수의 보고. “사살 완료!” 로비를 지키던 적 테러부대원이 저격으로 쓰러지자 지상과 공중에서 순식간에 ...
    Date2016.06.08 By운영자 Views1507
    Read More
  15. 2016_RIMPAC(림팩)훈련 참가하는 해병대원들

    다국적 연합작전 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오는 6월 30일부터 8월 4일까지 하와이 근해에서 열리는「2016년 환태평양훈련(RIMPAC)」참가하는 해군 환태평양훈련전대(전대장 대령 이상갑, 해사 43기)가 6월 2일 오전, 해...
    Date2016.06.03 By운영자 Views137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55 Next
/ 5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