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7.23 17:48

부니 햇

조회 수 513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첨부

오스트레일리아 軍이 고안 첫 사용 / 국방일보 2012.07.23

 

44230.jpg

미 육군이 현재 사용 중인 ACU위장무늬 부니 햇. 특이하게도 부니 햇은 오스트레일리아 군이 처음 사용하다 다른 나
라들에 널리 보급됐다. 필자제공


 

오스트레일리아가 군사 복장 분야에 남긴 영향은 그리 크지 않지만, 한 가지만큼은 상당한 영향을 남겼다. 바로 부니 햇(Boonie Hat)으로 불리는 정글·열대지역용 전투모다.

 부니 햇은 모자 둘레에 비교적 넓은 챙을 가진 부드러운 모자로 착용감이 편하고 햇볕 등의 외부 환경에서 착용자를 다른 모자들보다 잘 보호해준다. 특히 열대 우림·사막 등의 환경에 적합해 오늘날 세계 각국의 특수부대들이 애용하고 있다.

 미국 특수부대도 파편이나 충격 방어가 필요 없는 상황에는 헬멧보다 부니 햇을 더 애용한다. 특수부대가 아닌 정규군 사용자는 결코 적지 않다. 참고로 ‘부니’라는 이름은 필리핀의 타갈로그 어로 정글을 일컫는 ‘분닥스(Boondocks)’란 단어를 일종의 애칭으로 바꾼 것이다.

 부니 햇을 처음 고안해 사용한 곳은 오스트레일리아 군이다. 원래 민간의 정글·열대지역 활동용으로 만들어진 이 모자는 이런 환경에서 활동할 일이 다른 나라 군대보다 많은 오스트레일리아 군이 사용하기 시작해 이미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사용한 흔적이 있다.

 때마침 오스트레일리아 군은 1차 대전부터 중동 지역에 주로 배치돼 열대지역에서 편리한 부니 햇이 사용되기 좋았다. 다만 2차 대전까지 오스트레일리아 군은 부니 햇보다 슬라우치 햇(Slouch Hat)이라 불리는, 챙이 더 넓고 단단한 모자를 선호했고 부니 햇 사용은 소수에 머물렀다. 이 과정에서 2차 대전까지 야전에서도 애용되던 슬라우치 햇은 빠르게 예식용 모자의 지위로 물러섰다.

 부니 햇 사용은 1950년대부터 본격화됐다. 말레이시아 분쟁에 오스트레일리아 군이 영연방 군의 일원으로 개입하면서 정글에서 활동성이 좋은 부니 햇의 인기가 높아진 것이다. 이미 2차 대전에서 일본군과의 정글전을 겪으며 보다 활동성 좋은 정글용 전투모의 필요를 절감했던 오스트레일리아 군은 전투복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 착용감과 활동성이 좋은 부니 햇을 현지 파병군에 표준으로 지급했다. 곧 부니 햇은 오스트레일리아 군 표준 야전장비의 하나로 보급된다.

 부니 햇이 미군에 보급된 것은 베트남 전쟁부터다. 미 육군 특수부대가 자주 공동작전을 펼쳤던 오스트레일리아 군·남베트남 정부군의 부니 햇에 영향을 받아 착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초기 미군용 부니 햇은 군 지급품이 아니라 특수부대원들이 사비를 털어 베트남 현지 재단사들에게 주문 제작한 것으로 재질도 위장복 일부를 재활용했다.

 이것은 엄밀히 따지면 복장 규정 위반이었으나 곧 정글에서의 실용성이 폭넓게 인정돼 베트남에 주둔한 미 정규군 야전부대 병사들도 사비로 부니 햇을 현지 구매해 착용하는 사례가 많이 늘어났다. 이렇게 되자 1967년 아예 미 육군은 부니 햇을 제식으로 채택, 2종류의 위장 색과 1종류의 단색(녹색)을 현지 부대 상황에 맞춰 정식 지급하기 시작했다.

 이렇게 해서 미군에서의 ‘시민권’을 획득한 부니 햇은 베트남전 이후 다른 나라들에도 보급됐고 미군과 오스트레일리아 군은 오늘날에도 현용 위장무늬에 맞는 부니 햇을 아프가니스탄 등의 지역에서 대량으로 사용하고 있다.

<홍희범 월간 ‘플래툰’ 편집장>



  1. 부니 햇

    오스트레일리아 軍이 고안 첫 사용 / 국방일보 2012.07.23 미 육군이 현재 사용 중인 ACU위장무늬 부니 햇. 특이하게도 부니 햇은 오스트레일리아 군이 처음 사용하다 다른 나 라들에 널리 보급됐다. 필자제공 오스트...
    Date2012.07.23 By배나온슈퍼맨 Views5131
    Read More
  2. 밀리터리 스토리-군과 문화재

    軍, 보물 8점 포함 총 886점 문화재 보유 / 국방일보 2012.07.20 서울시 지정문화재인 삼군부 청헌당(위 육사 소재)과 등록문화재인 공사의부활 호 모습. 육·공군 제공 등록문화재인 해사의 백두산함 돛대. 해군 제공...
    Date2012.07.19 By배나온슈퍼맨 Views2906
    Read More
  3. 미군참전비와 미육군 제187 공수전투단 참전비

    미군참전비와 미육군 제187 공수전투단(US Army 187 Airborne Regimental Combat Team) 참전비
    Date2012.07.19 By배나온슈퍼맨 Views4115
    Read More
  4. 내가 죽어서 네가 산다면 무엇이 두려우랴

    부사관, 전투형 강군 중심에 서다 (18)죽음으로 완수한 임무, 하늘에 핀 꽃 이원등 상사 / 국방일보 2012.07.18 강하 교육생 주 낙하산 개방시켜 주고 얼음 위로 추락 고 이원등 상사 한강 노들섬 중앙에 서 있는 고 ...
    Date2012.07.17 By배나온슈퍼맨 Views4547
    Read More
  5. 美해군이 '떠다니는 기지'용 함정을 건조하는 이유

    [아시아경제 박희준 기자]미 해군이 분쟁지역에 배치해 작전,보급,의료기지로 사용하는 해상전진대기지(AFSB)용 함정을 건조하고 있다. 1966년 기골을 설치해 55살이 된 수송선을 이동식 전투 플랫폼으로 개조한 폰스...
    Date2012.07.14 By배나온슈퍼맨 Views3796
    Read More
  6. 밀리터리 스토리-군과 포상(褒賞)제도

    국방일보 - 밀리터리 스토리-군과 포상(褒賞)제도 전시·전투 참여 유공자→무공훈장 국가안전보장 기여 군인→보국훈장 / 국방일보 2012.07.13 “귀하는 평소 투철한 책임감으로 맡은 바 업무에 정려하여 … 이에 표창함....
    Date2012.07.13 By배나온슈퍼맨 Views3645
    Read More
  7. 美 합참 ‘합동 작전적 접근 개념’ <상>

    전투 영역 간 시너지 효과 극대화 창출 / 국방일보 2012.7.12 미국은 세계 군사작전에서 새로운 위협인 ‘반접근’ ‘지역 거부’를 극복하고자 새로운 작전 개념을 구체화하는 데 비상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의 ...
    Date2012.07.11 By배나온슈퍼맨 Views5323
    Read More
  8. No Image

    中, 남중국해 긴장 속 해병대 실탄훈련 공개

    베트남, 필리핀 겨냥 경고 메시지 해석 (베이징=연합뉴스) 차대운 특파원 = 남중국해 도서 영유권 갈등으로 중국과 베트남, 필리핀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중국이 해군육전대(해병대) 실탄 훈련 사진을 공...
    Date2012.07.07 By배나온슈퍼맨 Views4529
    Read More
  9. 일본 육상자위대 특수부대 42년만에 도쿄시내훈련

    일본 육상자위대 특수부대가 6월 12일 42년만에 도쿄시내에서 훈련을 벌여 일본내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육상자위대 한부재는 이날 오전 8시부터 도쿄 이타바시구와 네리마구에서 시가지훈련을 벌였다. 15명이 총을 ...
    Date2012.07.03 By배나온슈퍼맨 Views10716
    Read More
  10. 화염방사기 - 인천상륙작전 사용

    화염방사기 - 인천상륙작전 사용
    Date2012.06.30 By배나온슈퍼맨 Views7366
    Read More
  11. 구경 30 M-1 소총 및 보통탄

    구경 30 M-1 소총 및 보통탄
    Date2012.06.30 By배나온슈퍼맨 Views5719
    Read More
  12. 세계 각국의 예비군 제도

    미국 112만 병력 연방예비군-주방위군 구분 독일 예비역 복무기간 장교는 대령까지 진급 / 국방일보 2012.04.06 독일 예비군들이 동원훈련에 입소해 실전적 훈련을 앞두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이스라엘을 비롯해 스...
    Date2012.04.07 By배나온슈퍼맨 Views512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