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58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첨부
사막의 여우(Der Wütenfuchs)라 불리워 졌던 로멜은 1891. 11. 15 독일 뷔르템베르크 하이덴하임안데어브렌츠에서 태어나 1944. 10. 14 울름 근처 헤를링겐에서 사망했다.

제2차 세계대전중 아프리카 군단 사령관으로 있었을 때의 극적인 승전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irommel001p1.jpg

로멜 (출처 Ullstein Bilderdienst, Berlin)

초년과 경력
로멜의 할아버지와 아버지는 교사였으며 어머니는 고위 관리의 딸이었다. 1871년 독일 제국이 수립된 이후에는 독일 남부의 중산층에서도 직업장교가 인기직종이 되기 시작했다. 따라서 집안에 군인 출신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1910년 제124 뷔르템베르크 보병사단에 사관후보생으로 들어갔다.
제1차 세계대전 때는 중위로 프랑스·루마니아·이탈리아에서 싸웠다. 부하들에 대한 깊은 이해, 남다른 용기, 천부적인 리더십은 아주 일찍부터 대성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프로이센-독일군에서는 일반참모로 복무하는 것이 진급의 정상 코스였지만 그는 그 길을 택하길 거부했다. 바이마르 공화국의 국방군과 히틀러의 국방군에 있을 때에 그는 한결같이 일선 보병장교로 근무했다. 많은 위대한 장군들과 마찬가지로 가르치는 데 각별한 재능이 있어 각종 군사학교의 교직에 임명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에서 얻은 전투경험이 젊은 병사들에게 군인정신을 강조한 그의 사상과 결합하여 그가 지은 군사교본 〈보병 공전술 Infanterie greift an〉의 핵심적인 내용이 되었다. 이 교본은 1937년 처음 출판되어 높은 평가를 받았다.
1938년 오스트리아가 독일에 병합된 후 로멜 대령은 빈 근처의 비너노이슈타트에 있는 장교학교의 교장으로 임명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총통 사령부 경호대장으로 임명되었지만 그것은 일선에서 싸우길 열망하는 군인에게는 별로 만족스러운 직책이 아니었다. 로멜이 실력을 발휘할 기회가 왔다. 1940년 2월에 제7기갑사단의 사단장직을 맡은 것이다. 그는 기갑부대를 지휘한 경험이 전혀 없었지만 공격임무에서 기계화된 기갑부대의 엄청난 가능성을 재빨리 파악했다. 프랑스 해협 연안에서의 기습공격은 그의 대담성과 창의력을 알려주는 최초의 증거가 되었다.
아프리카 군단 사령관
1년 후인 1941년 2월 로멜은 리비아에서 패배 일보 직전에 처한 이탈리아군을 지원하기 위해 파견된 독일군 부대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북아프리카의 사막은 그가 가장 큰 전공을 세운 무대가 되었으며 동시에 월등히 우세한 적에게 패하는 무대가 되기도 했다(→ 북아프리카 작전). 북아프리카의 전쟁터에서 대담무쌍한 기습공격을 감행한 그는 아군과 적군으로부터 '사막의 여우'로 불렸으며 굉장한 명성을 얻었다. 그러한 성공에 감동한 히틀러는 즉시 그를 육군 원수로 승진시켰다. 그러나 그는 이탈리아 동맹군과 사이좋게 지내기가 어려웠다. 기본적으로 영국군에게 더 호감이 갔다. 그는 초대 중동지역 연합군 총사령관이며 북아프리카에서 그의 적수가 된 아치볼드 웨이벨 경이 저술한 전투책자의 애독자였다.
그는 이탈리아 동맹군뿐만 아니라 직속 최고사령부와도 의견이 맞지 않았다. 히틀러의 견해로는 북아프리카는 지엽적인 문제에 지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중되는 보급의 어려움으로 지친 부대를 철수하게 해달라는 로멜의 요청을 무시하고 1942년 여름 히틀러는 카이로와 수에즈 운하에 대한 공격명령을 내렸다. 로멜이 이끈 독일-이탈리아군은 알렉산드리아에서 96㎞ 떨어진 이집트의 엘알라메인(알알라마인)에서 영국군에 의해 저지되었다. 그무렵 그는 아랍 세계에서 대단한 인기를 얻고 있었다. 아랍 세계에서 영국의 지배로부터의 '해방자'로 비쳤기 때문이다. 고국에서는 선전성을 통해 그를 무적의 '국민의 원수(元帥)'라고 찬양했다.
그러나 대(對)이집트 공격은 그의 재능으로서도 역부족이었다. 1942년 10월말 그는 엘알라메인의 제2차 전투에서 패하여 튀니스의 독일군 교두보로 퇴각하였다. 1943년 3월 히틀러는 그를 본국으로 송환했다. 1944년 로멜은 연합군의 침공 가능성에 대비하여 프랑스 해협의 해안방위 책임을 맡았다. 이때 이동전(移動戰)의 대가인 로멜은 해안 방어시설들을 건설하는 데 비상한 창의력을 발휘했다. 그는 적이 대규모의 교두보를 설치하는 것을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서 저지해야 하고 반격에 대비하여 해안의 방어선 뒤에 강력한 예비대를 배치해 두어야 하며 적군을 바다로 퇴각시키는 데 성공하지 못하면 침공전의 운명은 첫날에 결정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히틀러는 그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히틀러 제거 음모
일찍이 1943년 가을에 정치적 욕망에 의해 좌우되지 않는 순수한 직업군인이었던 로멜은 전쟁을 도저히 승리로 이끌 수 없다는 것을 확신했다. 또한 그는 히틀러가 그 사실을 직시할 자세도, 연합국들과 강화를 맺어야 한다는 불가피한 결론을 내릴 준비도 갖추고 있지 않다는 것을 분명히 느끼고 있었다. 1944년 봄 비밀리에 결성된 히틀러 반대파에 가입한 로멜의 친구 몇 명이 그에게 접근하여 히틀러가 축출된 뒤에는 로멜이 국가 원수직을 맡아야 한다고 제의했다. 그는 그 제의를 거절하지 않았지만, 독일을 전쟁으로부터 구출하려는 공모자들은 히틀러 암살계획을 로멜에게 알려주지 않았다. 그들은 로멜이 정치적인 목적의 살인을 옳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는 히틀러가 내리는 일체의 처형명령을 한결같이 무시했던 것이다. 연합군의 침공이 시작되었을 때 그는 몇 번이나 히틀러에게 전쟁은 패했다는 것과 연합국들과 강화를 맺어야한다는 것을 지적하려고 했다. 1944년 7월 17일 전투가 한참 치열할 때 로멜의 차가 영국의 폭격전투기들의 공격을 받아 길에서 탈선했다. 차는 공중으로 튀어올랐고 그는 머리에 중상을 입고 병원으로 후송되었다. 그후 8월에 집으로 돌아가 요양할 수 있을 만큼 회복되었다. 그 사이 1944년 7월 20일에 있었던 히틀러 암살음모는 실패하고 로멜이 음모자들과 접촉한 사실이 밝혀졌다. 히틀러는 '국민의 원수'가 자신의 적으로 법정에 출두하고 법정에서 교수대로 보내지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그는 2명의 장군을 로멜에게 보내 그가 재판을 받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그와 그의 가족의 이름을 욕되게 하지 않겠다는 약속과 함께 자살을 권유했다. 10월 14일 로멜은 음독자살하여 일생을 마쳤다. 그의 장례는 최고의 예우로 치러졌다.

TAG •

  1. 포클랜드 전쟁과 저격수

    포클랜드 전쟁에서 아르헨티나군 스나이퍼의 공격은 의외로 강력했다. 영국군들은 많은 전사자를 발생시킨 아르헨티나 저격수의 반격에 충격을 받았다. 롱던(Longdon)산 전투에서는 영국군 1개 중대의 공격을 한 명의...
    Date2010.12.21 By운영자 Views11735
    Read More
  2. 이스라엘의 저격전

    이스라엘군의 전략은 공세적이고 파괴적이며 가공할 핵무기 위력을 등에 업은 결사대가 보복공격을 행사하는 것이다. 이미 수십 년간 계속된 이스라엘의 방위전쟁에서 이러한 전략이 입증됐다. 따라서 이스라엘 방위...
    Date2010.12.21 By운영자 Views6685
    Read More
  3. 그레나다의 저격전

    미 해병대가 레바논의 베이루트에서 전투를 개시하고 있을 때인 1983년, 미군 특수부대가 카리브해의 그레나다(Grenada) 섬에서 벌어진 소규모 분쟁에 긴급 투입됐다. 그레나다 좌익정부는 장갑차와 대공포로 무장한 ...
    Date2010.12.21 By운영자 Views8193
    Read More
  4. F-117 스텔스기

    <레이저 유도폭탄을 투하하는 F-117 스텔스기> 1991년 걸프전을 통해 세상에 널리 알려진 F-117 스텔스기는 1970년대부터 개발이 시작됐다. 미국이 스텔스기 개발의 필요성을 느낀 계기는 베트남 전쟁에서 북베트남군...
    Date2010.12.10 By관리자 Views6441
    Read More
  5. 왓슨호 - 광양호입항

    미 해상 수송선 왓슨 호는 축구장 5개 규모의 수송 공간을 갖춘 바다에 떠다니는 거대한 군수기지다. 지난 3일 광양항에 들어온 미 해상 수송사령부 왓슨(USNS Watson) 호는 그야말로 바다에 떠다니는 거대한 ‘미 군...
    Date2010.12.08 By관리자 Views5380
    Read More
  6. 라이트닝 볼트, 제우스 신의 무기 `번개'를 만든다고?

    장갑차를 공격하는 인공번개의 상상도. 그리스 신화에서 모든 신과 인간의 아버지로 등장하는 제우스는 ‘이지스(aegis)’라는 방패와 함께 번개를 무기로 사용한다. 자연 현상에서 구름 하부의 양전하는 지표면의 음전...
    Date2010.12.05 By관리자 Views9205
    Read More
  7. 미육군 신형 저격총 XM2010

    미 육군의 신형 저격총인 XM2010. 미 육군은 9월, 약 3600정의 XM2010 저격총을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안에 약 250정의 XM2010을 아프가니스탄 등에 우선적으로 배치한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이 새로운 저격총인 ...
    Date2010.12.05 By관리자 Views10089
    Read More
  8. 미군 차기 유탄발사기 XM25

    미 육군의 차기 유탄발사기인 XM25 전 세계적으로 지능형 차세대 유탄발사기 개발의 붐이 한때 불었고, 그 선두에 선 나라는 단연 미국이었다. 1990년대 후반, 미 육군은 차세대 개인화기인 OICW(Objective Infantry ...
    Date2010.12.05 By관리자 Views8419
    Read More
  9. '조인트스타즈' 9∼12㎞ 상공서 30㎝ 크기 물체까지 식별

    한미연합훈련 2일차인 29일 한미 양국군은 항공모함 강습훈련과 해상자유공방전 등 고강도 훈련을 이어갔다. 양국 군은 이날 이지스함이 수백 개의 공중 목표물을 동시에 탐지ㆍ방어하는 대공방어훈련, 항공모함에 탑...
    Date2010.11.30 By관리자 Views4490
    Read More
  10. 차세대 분대지원화기 `XM-25'

    K-11과 XM-25는 은폐·엄폐한 적의 머리 위에서 공중폭발탄 을 터트려 적을 살상시킬 수 있다. 미군의 차세대 분대지원화기 XM-25. 국방과학연구소(ADD)가 개발한 K-11. K-11은 K-2소총에 쓰이는 5.56㎜탄과 20㎜ 공중...
    Date2010.11.22 By운영자 Views10548
    Read More
  11. 미 해군, 86번째 이지스함 취역

    [서울신문 M&M] 미 해군 신형 이지스함인 ‘제이슨 던햄’이 취역식을 갖고 전력화에 들어간다. 미 해군은 오는 13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에버글레이즈항에서 신형 이지스 구축함, ‘제이슨 던햄’(DDG-109 USS Jason D...
    Date2010.11.16 By운영자 Views7457
    Read More
  12. 수중 돌격소총, 러시아 수륙양용 ASM-DT소총 개발 실전 배치

    <러시아의 ASM-DT. 위쪽은 유탄발사기와 대검을 장착하고 수중용 탄창을 삽탄한 상태며, 아래 쪽은 지상용 탄창을 삽탄한 상태다.> 구소련은 SPP-1M이라는 수중 권총을 성공적으로 개발, 운용했으나 곧 이것의 문제점...
    Date2010.11.08 By운영자 Views887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