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30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공정부대를 최초로 활용한 나라는 러시아일 것이다. 1931년 레닌그라드 군관구에서 최초의 공수부대(PDO : parashyutnodesantniyotryad )가 공수 훈련을 시작했다. 그러나 사실 첫 실전은 적군(Red Army)이 타지크(Tadzhik)에서 포위된 우군을 구출하기 위하여 15명의 부대원을 공수한 것이 최초로 그 때가 1929년이였다.

 

 
1930년에는 모스크바 군관구의 보르네즈에서 실험적 훈련이 수행되었는데 이 훈련의 책임자들은 M. N. Tukhachevsky (레닌그라드 군관구 사령관), A. N. Lapchinsky (적군 공군의 책임자), N. P. Ivanov 였다. 실험 훈련 결과, 항공기(이 시절에는 민간용 항공기)를 이용하여 아군을 적군의 배후에 침투시켜 적군을 혼란시키고 이군의 작전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는 이론이 만들어졌다. 소련에서는 1933년까지 5만명으로 구성된 공정 부대가 만들어진다.

1934년 벨루루시 군관구에서는 비교적 큰 규모의 공수 훈련이 실시되었고, 1935년 우크라이나의 키에프 교외에서 행해진 군사훈련에 많은 외국 군사 사절이 초청되어 2,500명이 참가한 공수 훈련 시범을 참관할 수 있었다. 이것을 계기로 유럽과 미국에서 공정부대의 대한 관심이 일어나는 계기가 되었다. 독일에서는 1935년에 공정부대를 편성했고, 1937년에는 프랑스에서, 그리고 영국에서도 부대 편성을 하였다. 여기에 러시아 교관들이 직간접적으로 관여를 하였다.

공군소속임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212 공정여단은 극동지역에 배치되어 1939년 7월과 8월에 일본군과 칼킨골 전투에 지상부대와 같이 지상전에 참가하고, 같은 해 9월에는 201, 204, 214 공정여단이 폴란드 점령에 동원된다. 최초의 대규모 실전 부대의 공수 낙하는 1939년 핀란드전으로 핀란드의 Petsamo근처에서 이루어졌고, 이어서 루마니아 Bessarabia의 점령에 공정부대의 낙하가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실전 경험을 통해 5개의 공정여단이 군단급으로 확장되어 유럽쪽에, 1개의 공정 여단은 극동지역에 배치되었다.

1941년 갑작스러운 독일군의 소련침공으로 많은 공정부대 지원용 장비, 즉 항공기들이 파괴되어 공정작전을 제대로 펼칠 기회가 없어진 소련의 공정부대는 일반 소총부대로서 작전을 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던 중, 1942년말에서 1943년초 겨울 기간동안 201공정 여단이 Medzyn 근교와 Vyazma에서 비로서 공정 작전을 실행 했고, 2월 14일부터 2월 22일까지 Rzhev 지역에서는 204공정 여단이 공정 작전을 실행했다. 같은 해 2월, Vyazma 부근의 독일군 전선 후방에 제4공정군단 전체를 공수 낙하시키는 야심찬 계획이 수립되었으나 작전을 수행할 항공기의 부족(22대의 TB-3, 40대의 PS-84가 1주에 2-3번의 소티만 가능)으로 겨우 부대 전체의 1/4만이 공수되었고, 또한 나빠진 기상 조건으로 작전은 수렁에 빠져버렸다. 몇 달 후의 Yukhnov에서의 공정작전도 실패로 돌아갔다.

이러한 작전의 실패는 소련 최고 지휘부로 하여금 공정부대를 일반 소총부대로 전환시키는 계기가 되었는데, 주로 코커서스지역과 스탈린그라드지역의 전투에 참가하게 된다. 그러나 결국, 공군은 또다시 근위공정사단을 창설하게 되고 1943년 9월, 제1, 3, 5공정 여단으로부터 10,000명의 공정부대원을 동원하여 드네프르 강 교두보 확보 작전을 위해 공정작전을 펼치게 된다. 그러나 이 작전도 값비싼 대가를 지불하면서 실패로 끝난다. 단지 유일한 성공은 크림지역에서의 소규모의 특수 해병 공수부대원들이 참가한 작전과 1945년 만주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한 소규모의 작전 뿐이였다.

 

 

 

 

[자료출처] 야후 바람의소년 블로그


TAG •

  1. 포클랜드 전쟁과 저격수

    포클랜드 전쟁에서 아르헨티나군 스나이퍼의 공격은 의외로 강력했다. 영국군들은 많은 전사자를 발생시킨 아르헨티나 저격수의 반격에 충격을 받았다. 롱던(Longdon)산 전투에서는 영국군 1개 중대의 공격을 한 명의...
    Date2010.12.21 By운영자 Views11735
    Read More
  2. 이스라엘의 저격전

    이스라엘군의 전략은 공세적이고 파괴적이며 가공할 핵무기 위력을 등에 업은 결사대가 보복공격을 행사하는 것이다. 이미 수십 년간 계속된 이스라엘의 방위전쟁에서 이러한 전략이 입증됐다. 따라서 이스라엘 방위...
    Date2010.12.21 By운영자 Views6685
    Read More
  3. 그레나다의 저격전

    미 해병대가 레바논의 베이루트에서 전투를 개시하고 있을 때인 1983년, 미군 특수부대가 카리브해의 그레나다(Grenada) 섬에서 벌어진 소규모 분쟁에 긴급 투입됐다. 그레나다 좌익정부는 장갑차와 대공포로 무장한 ...
    Date2010.12.21 By운영자 Views8193
    Read More
  4. F-117 스텔스기

    <레이저 유도폭탄을 투하하는 F-117 스텔스기> 1991년 걸프전을 통해 세상에 널리 알려진 F-117 스텔스기는 1970년대부터 개발이 시작됐다. 미국이 스텔스기 개발의 필요성을 느낀 계기는 베트남 전쟁에서 북베트남군...
    Date2010.12.10 By관리자 Views6441
    Read More
  5. 왓슨호 - 광양호입항

    미 해상 수송선 왓슨 호는 축구장 5개 규모의 수송 공간을 갖춘 바다에 떠다니는 거대한 군수기지다. 지난 3일 광양항에 들어온 미 해상 수송사령부 왓슨(USNS Watson) 호는 그야말로 바다에 떠다니는 거대한 ‘미 군...
    Date2010.12.08 By관리자 Views5380
    Read More
  6. 라이트닝 볼트, 제우스 신의 무기 `번개'를 만든다고?

    장갑차를 공격하는 인공번개의 상상도. 그리스 신화에서 모든 신과 인간의 아버지로 등장하는 제우스는 ‘이지스(aegis)’라는 방패와 함께 번개를 무기로 사용한다. 자연 현상에서 구름 하부의 양전하는 지표면의 음전...
    Date2010.12.05 By관리자 Views9205
    Read More
  7. 미육군 신형 저격총 XM2010

    미 육군의 신형 저격총인 XM2010. 미 육군은 9월, 약 3600정의 XM2010 저격총을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안에 약 250정의 XM2010을 아프가니스탄 등에 우선적으로 배치한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이 새로운 저격총인 ...
    Date2010.12.05 By관리자 Views10089
    Read More
  8. 미군 차기 유탄발사기 XM25

    미 육군의 차기 유탄발사기인 XM25 전 세계적으로 지능형 차세대 유탄발사기 개발의 붐이 한때 불었고, 그 선두에 선 나라는 단연 미국이었다. 1990년대 후반, 미 육군은 차세대 개인화기인 OICW(Objective Infantry ...
    Date2010.12.05 By관리자 Views8419
    Read More
  9. '조인트스타즈' 9∼12㎞ 상공서 30㎝ 크기 물체까지 식별

    한미연합훈련 2일차인 29일 한미 양국군은 항공모함 강습훈련과 해상자유공방전 등 고강도 훈련을 이어갔다. 양국 군은 이날 이지스함이 수백 개의 공중 목표물을 동시에 탐지ㆍ방어하는 대공방어훈련, 항공모함에 탑...
    Date2010.11.30 By관리자 Views4490
    Read More
  10. 차세대 분대지원화기 `XM-25'

    K-11과 XM-25는 은폐·엄폐한 적의 머리 위에서 공중폭발탄 을 터트려 적을 살상시킬 수 있다. 미군의 차세대 분대지원화기 XM-25. 국방과학연구소(ADD)가 개발한 K-11. K-11은 K-2소총에 쓰이는 5.56㎜탄과 20㎜ 공중...
    Date2010.11.22 By운영자 Views10548
    Read More
  11. 미 해군, 86번째 이지스함 취역

    [서울신문 M&M] 미 해군 신형 이지스함인 ‘제이슨 던햄’이 취역식을 갖고 전력화에 들어간다. 미 해군은 오는 13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에버글레이즈항에서 신형 이지스 구축함, ‘제이슨 던햄’(DDG-109 USS Jason D...
    Date2010.11.16 By운영자 Views7457
    Read More
  12. 수중 돌격소총, 러시아 수륙양용 ASM-DT소총 개발 실전 배치

    <러시아의 ASM-DT. 위쪽은 유탄발사기와 대검을 장착하고 수중용 탄창을 삽탄한 상태며, 아래 쪽은 지상용 탄창을 삽탄한 상태다.> 구소련은 SPP-1M이라는 수중 권총을 성공적으로 개발, 운용했으나 곧 이것의 문제점...
    Date2010.11.08 By운영자 Views887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