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지무공훈장 강복구 대령 1.jpg

강복구 옹이 성남시 외곽에 위치한 호국무공수훈자 공적비 앞에서 지난날 해병대의 투혼을 떠올리며 상념에 젖고 있다. 



[국방일보 스페셜리포트] 2020년 올해는 6·25전쟁이 발발한 지 70주년이 되는 해다. 이에 국방저널(국방일보)은 대한민국 무공수훈자회와 공동으로 매달 6·25 전쟁영웅을 찾아 나라를 지키기 위해 앞장서서 싸운 이들의 애국심과 투혼을 기리고자 한다. 12월호의 주인공은 해병대 창설 요원으로서, 6·25 전쟁 당시 해병대의 모든 전투에 참가해 전공을 세우며 불패의 해병대 신화를 만들었던 전설적인 투사인 강복구 대령이다. 글·사진=국방저널 정호영 기자    


을지무공훈장 강복구 대령 2.jpg

강복구 옹을 비롯해 무공수훈자회 관계자들이 무공수훈공적비 앞에서 거수 경례를 하고 있다.


대한민국 해병대는 오늘날 작지만 강한 군대로 명성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해병대는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았다. 무에서 유를 창조하듯 한 걸음 한 걸음 피와 땀으로 신화를 쌓았다.

해병대는 1949년 4월 15일 경상남도 진해의 덕산비행장에서 해군 출신 장병 380명(장교 26명, 하사관 54명, 사병 300명)을 기간으로 창설됐다. 비록 장비와 인원 면에서 빈약한 소규모의 부대(대대급)로 출범했지만, 6·25 전쟁이 벌어지자 인천상륙작전을 비롯한 수많은 전투에서 혁혁한 전과를 올렸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해병대는 휴전 직후인 1954년 2월 1일 여단으로, 그 이듬해인 1955년 1월에는 상륙사단으로 증편됐다. 이후 베트남전이 발발하자 1965년 1개 여단이 파견돼 엄청난 전과를 올린 뒤 오늘날에는 군단급 규모의 국가전략기동부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귀신 잡는 해병’, ‘무적해병’ 등 숱한 무용담과 일화를 남긴 해병대에는 수많은 전쟁영웅이 있다. 그중에서도 강복구 대령은 전설 중의 전설로 불린다. 6·25 전쟁 발발 70주년을 맞아 국방저널이 연재하고 있는 ‘6·25 전쟁영웅’의 대미(12월)를 장식할 주인공으로 그를 선정한 이유다.

처음 무공수훈자회로부터 강복구 대령 이야기를 들었을 때 기자는 고개를 갸우뚱거렸다. 해병대의 전설로 불리는 그가 아직도 생존해 있다는 것이 믿어지지 않았고, 과연 인터뷰를 할 수 있을 만큼 건강할지도 의문이 들었다. 그러나 그것은 기우였다.

무공수훈자회 성남시지회(지회장 김용기) 사정상 강복구 대령 자택에서 만난 그는 이전의 다른 전쟁영웅과 마찬가지로 건강하면서도 위풍당당했다. 조만간 100세를 바라보는 고령(1924년생)임에도 불구하고 귀가 다소 어두운 것을 빼고는 젊은이 못지않은 열정과 기개가 살아있었다. 전형적인 군인(노병)의 풍모는 변함이 없었다.    

을지무공훈장 강복구 대령 3.jpg

강복구 옹이 6·25전쟁에서 받은 각종 무공훈장을 손바닥에 펼쳐 보이고 있다


강복구 옹의 삶은 해병대 역사 그 자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장수’로 유명한 함경남도 북청 출신인 그는 1945년 3월 일본 해군에 강제 징집돼 진해에서 근무했다. 그러다 그해 8월 15일 해방을 맞자 다음 해인 1946년 5월 미군정청 소속의 해군으로 재입대했다.

“해방 이후, 우리 사회는 이념 갈등으로 혼란스러웠어요. 군대에서도 공산주의자가 우글거렸어요. 사실 북한 공산군의 남침은 충분히 예상되는 일이었어요. 해병대는 이런 혼란기 속에서 창설돼 6·25 전쟁 당시 크게 용맹을 떨치며 발전한 군대입니다.”

당시 일등병조(상사)였던 강복구 옹은 해군훈련소에서 소대장을 하다가 1949년 4월 해병대를 모집하자 곧바로 지원해 창설요원이 됐다. 그는 막 출범한 해병대 훈련소 소대장이자 모병관이기도 했다. 해병 1기와 2기 상당수는 그에게 훈련을 받았다. 작지만 강한 해병대의 전통은 이때부터 시작됐다.

“‘군대는 평시 피와 땀을 많이 흘려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강한 훈련을 해야 한다’고 당시 신현준 해병대 사령관님이 말씀하셨어요. 이에 따라 우리 훈련소 소대장 중대장들은 실제로 그렇게 모범을 보였고 혹독하게 훈련을 시켰습니다. 강철은 달구어야만 더 강해진다는 말이 있듯이 그렇게 강한 해병대가 만들어진 겁니다.”

강복구 옹은 해병대가 창설된 뒤 해병 간부 2기생으로 뒤늦게 장교가 됐다. 그리고 교육 기간 중인 1950년 6월 25일 전쟁이 발발하자 한 달 뒤인 7월 27일 정식으로 소위로 임관했다. 그는 인천상륙작전과 경인지구작전 때는 2대대 5중대 1소대장으로, 1951년 6월의 도솔산지구 전투 당시에는 3대대 9중대장으로 활약하면서 불패의 해병대 신화 창조에 앞장섰다.

기자는 6·25전쟁 당시 해병대의 모든 전투에 참가한 강복구 옹에게 가장 기억에 남는 전투가 무엇이냐고 물었다. 그는 주저 없이 “도솔산전투”라고 대답했다. ‘무적해병’이라는 명성을 국내외에 널리 알린 전투였다.

전사에 의하면 한국해병대 제1연대(연대장 김대식 대령)는 미 해병 1사단의 반격계획에 따라 1951년 6월 3일 미 해병 5연대가 맡고 있던 도솔산의 작전구역을 인수하고, 곧바로 6월 4일부터 전투에 들어갔다. 도솔산은 강원도 양구와 인제 사이에 있는 험준한 암석산(해발 1178m)으로, 주변에 가칠봉(1142m)·대암산(1314m) 등이 연결된 요충지였다. 북한군 12사단과 32사단이 이곳을 방어했다.

한국해병대의 최종 목표(도솔산 정상 1148m)에 대한 공격은 6월 18일 3대대가 감행했다. 3대대는 항공지원과 포사격 지원하에 오전 9시 공격을 시작해 11시 30분에 중간목표인 목표21을 먼저 점령했다. 19일 자정부터는 동측 능선을 따라 야간공격도 실시해 오전 5시 30분 도솔산 정상을 점령했다. 이어 1대대는 3대대가 이미 점령한 도솔산 정상에 집결한 후 오전 8시경 목표 23과 24를 향해 추월 공격함으로써 대단원의 전투를 마무리 지었다.

17일간의 전투에서 한국해병대 1연대는 적 2263명을 사살하고 44명을 포로로 잡았으며 기관총 24정, 따발총 63정, 장총 14정, 자동소총 2정, 박격포 44문, 대전차포 1문 등을 노획하는 대전과를 올렸다. 아군 피해는 전사 123명, 부상 582명, 행방불명 11명 등이었다.

“한국해병대 1연대는 미 해병대가 고전하던 작전지역을 인수해 성공적으로 임무를 완수했습니다. 특히 누구도 엄두 내지 못한 야간작전을 과감히 감행하는 뛰어난 작전능력도 보여줬습니다. 저는 해병대원이었다는 게 그 어떤 무공훈장보다 자랑스럽습니다.”

강복구 옹은 그러나 서부전선의 장단 사천지구전투는 끔찍했다고 고개를 저었다. 당시 중화기 중대장이었던 그는 전투환경과 병력 면에서 압도적으로 불리했던 해병대원들이 조국을 위해 싸우다가 약 8백여 명이 전사했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전쟁은 불합리합니다. 전장에서 병사는 총알받이로 싸우다 죽지만 이름은 장군이 남깁니다. 무명용사들의 숭고한 희생이 오늘날 번영된 대한민국과 해병대의 밀알이 됐음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됩니다.”

강복구 옹은 6·25전쟁에서 뛰어난 군인이자 지휘관이었지만 전쟁이 끝난 뒤에는 해병대의 정신과 전통을 세운 조련사로도 유명하다. ‘강복구 기합 빠지면 해병대 전체가 기합 빠진다’라는 해병대의 전설과도 같은 말이 나돌 정도였다. 1960년대 중반부터 2차례나 해병학교장으로 재직하면서 혹독한 훈련과 기합으로 악명(?)을 떨쳤다. 소위로 임관하는 해병 간부 후보생(34기)을 수료식 날 완전군장 구보로 기합을 준 일은 유명한 일화다. 이렇게 혹독히 단련된 해병 장교들은 월남으로 파병해 중·소대장으로 맹활약하면서 해병의 신화를 남겼다.

“해병대는 스스로를 희생할 수 있는 용기를 가져야 합니다. 그것이 국가에 대한 충성이고 국민에 대한 봉사입니다. 그리고 강한 훈련을 통해 해병대의 전통과 명예를 계승 발전시켜야 합니다. 6·25전쟁과 월남전에서 우리 해병은 이런 정신력으로 싸웠습니다.”

강복구 옹은 1971년 3월 26일 대령으로 명예롭게 군문을 나선 뒤 2002년에는 예비역 대령 출신으로는 최초로 해병대전우회 중앙회 총재에 선출되기도 했다. 그는 을지무공훈장 2개, 충무무공훈장 3개, 화랑무공훈장 2개 등 수많은 무공훈장을 받은 살아있는 전설적인 해병대 전사였다. 



  1. 해병대지 93호

    해병대지 93호 연간 6회 발행되는 해병대지는 해병대 홍보지로서 다양한 독자층을 대상으로 제작, 배포하고 있으며 해병대지 주요 내용은 LIVE해병대, STORY해병대, SMART해병대, 포토뉴스, 병영탐방 등 해병대관련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집니다. <해병대사령부 정훈공보실 문화홍보과 기획취재>
    Date2021.05.13 By관리자 Views30486
    Read More
  2. 국가보훈처, 4월의 6·25전쟁영웅에 김용호 해병대 중위

    국가보훈처 4월의 6·25전쟁영웅에 김용호 해병대 중위 국가보훈처는 6·25전쟁 당시 경기도 장단지구 전투에서 중공군에 맞서 백병전을 벌였던 김용호(1929~1952) 해병대 중위를 '2021년 4월의 6·25전쟁영웅으로 선정했다고 31일 밝혔다. 김 중위는 1952년 3월 해병도 소위로 임관해 장당지구를 방어하던 해병대 제1연대 11중...
    Date2021.04.01 By관리자 Views14730
    Read More
  3. 해병대 기수 연도별 입대일자 1000기 이후 2009 - 2021년

    해병대 기수별 연도별 입대일자 2009년 - 2022년 해병대는 현재 매월 1개 기수를 선발하여 양성하고 있다. 해병대는 교육단에서 신병교육을 실시한 1975년부터 2011년까지는 매월 2개 기수가 입대하였으나 해병대 2사단 총기사건 이후 병영문화 개선의 일환으로 2012년부터 월 2개 기수를 통합 1개 기수로 선발하여 양성하기...
    Date2021.01.24 By관리자 Views468904
    Read More
  4. 을지무공훈장 강복구 대령, 해병대였다는 것… 그 어떤 무공훈장보다 자랑스러워

    강복구 옹이 성남시 외곽에 위치한 호국무공수훈자 공적비 앞에서 지난날 해병대의 투혼을 떠올리며 상념에 젖고 있다. [국방일보 스페셜리포트] 2020년 올해는 6·25전쟁이 발발한 지 70주년이 되는 해다. 이에 국방저널(국방일보)은 대한민국 무공수훈자회와 공동으로 매달 6·25 전쟁영웅을 찾아 나라를 지키기 위해 앞장서...
    Date2020.12.01 By운영자 Views8324
    Read More
  5. 프로복서가 된 해병대 장교 '최시혁 대위'

    프로복서가 된 해병대 장교 '최시혁 대위' / 해병대지 90호
    Date2020.10.25 By운영자 Views5870
    Read More
  6. 해병대 유실지뢰 탐색작전 펼치다!

    해병대 유실지뢰 탐색작전 펼치다! / 해병대지 90호
    Date2020.10.25 By운영자 Views990
    Read More
  7. 진동리지구전투 및 통영상륙작전 전승기념행사

    진동리지구전투 및 통영상륙작전 전승기념행사 / 해병대지 90호
    Date2020.10.25 By운영자 Views921
    Read More
  8. 위기의 순간, 언제나 함께하는 해병대 신속기동부대

    위기의 순간, 언제나 함께하는 해병대 신속기동부대 / 해병대지 90호
    Date2020.10.25 By운영자 Views952
    Read More
  9. 해병이 되는 과정을 사진으로 담는 임영식 사진작가

    해병이 되는 과정을 사진으로 담는 임영식 사진작가 - 해병대지 90호 그의 사진에는 훈련병들의 땀과 노력과 열정이 담겨져 있다. 카메라 셔터를 누를 때 살아있음을 느낀다는 해병대 블로그 <날아라마린보이> 임영식 사진작가를 만나봤다. <글/사진 해병대지 편집팀> <해병대지 날아라마린보이 임영식 사진작가 캡춰>
    Date2020.10.21 By운영자 Views1635
    Read More
  10. “해병 군복 입으면 두려울 것 없었다… 전쟁 다신 일어나선 안돼”

    [6.25전쟁영웅을 찾아] 을지무공훈장 신현우 중사 국방일보 기획연재 스페셜리포트 글=정호영/사진=양동욱 기자 신현우 옹이 인천상륙작전 기념관 마당에서 인천 시내를 바라보며 지난날을 회상하고 있다.사진=양동욱 기자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있는 인천상륙작전 기념관 마당에서 신현우 옹과 무공수훈자회 인천지부장이 상...
    Date2020.09.14 By운영자 Views2506
    Read More
  11. 해병대 병역명문가 고 노준옥 씨 가문

    매년 해병대에서는 3대 이상 해병대 출신으로 군 복무를 마쳤거나 복무하고 있는 가문을 대상으로 해병대 병역명문가를 선발한다. 이는 해병대 병역명문가의 명예를 선양하고 희생과 헌신에 대한 존경과 감사의 뜻을 전하기 위해서다. 가정의 달을 맞아 2019년도에 '해병대 병역명문가'로 선정된 고 노준옥씨 가문을 만나보...
    Date2020.07.07 By운영자 Views8500
    Read More
  12. 전쟁기념관 7월의 호국인물 고길훈 해병 소장

    전쟁기념관 7월의 호국인물 선정된 고길훈 해병 소장. 사진 전쟁기념관 고(故) 고길훈 해병 소장은 1922년 7월 10일 함경남도 영흥군에서 태어났다. 1944년 도쿄 메이지[明治]대학 문과를 졸업하고 광복 이후 귀국하여 1946년 5월 11일 해군에 입대하였다. 1949년 4월 15일 해병대 창설에 참여하여 초기 해병대의 체제정립에...
    Date2020.07.02 By운영자 Views7838
    Read More
  13. 국가보훈처 선정 4월의 6․25전쟁영웅 성관식 해병대 소령

    국가보훈처는 ‘성관식’ 해병대 소령을 4월의 6․25전쟁영웅으로 선정하였다. 성관식 소령은 중공군의 대규모 인해전술에 대항해 사천강가 36전진진지를 성공적으로 방어하여 임진강 일대 핵심 요충지를 확보하는 큰 전공을 세웠다. 성관식 소령은 1928년 광주(光州)에서 태어나 1951년 3월 수원농과대학을 졸업한 후6·25전쟁...
    Date2020.06.30 By운영자 Views6667
    Read More
  14. 2020년 2월 호국인물 천춘식 이등병조

    전쟁기념관은 6·25전쟁 당시 안동지구 전투에서 큰 전공을 세운 천춘식 해병 이등병조( 현 하사)를 2020년‘2월의 호국인물’로 선정, 발표했다. 천춘식 해병 이등병조는 1929년 서울시 용산구 효창동에서 태어났다. 1949년 7월 해군 14기로 입대하여 해군에서 교육을 받았으나, 도중에 새롭게 창설된 해병대로 편입되어 해병...
    Date2020.02.23 By운영자 Views2082
    Read More
  15. 광복군 송윤화 선생 외손자 해병대1사단 박성욱 중사

    국방일보 독립유공자 후손 장병 릴레이 인터뷰 <5> 광복군 송윤화 선생 외손자 해병대1사단 박성욱 중사 지난 14일 해병대1사단 박성욱 중사가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 잠들어 계신 외할아버지와 외할머니의 묘를 찾아 참배하고 있다. 박 중사의 외할아버지는 1940년대 중국에서 광복군의 일원으로 독립운동을 펼쳤...
    Date2019.03.24 By운영자 Views3602
    Read More
  16. 1966년 지덕칠 해군중사 산화

    고(故) 지덕칠 중사(추서계급)의 무훈을 기리는 동상. 상자 안의 흑백사진은 고 지 중사의 모습이다. 베트남에 파병된 청룡부대의 1대대는 1966년 2월 1일 꽝웅아이 성 바딴간 반도 지역을 흐르는 강 하구에서 수로를 탐색하는 미 해병대 수중폭파반 (UDT) 활동을 보호하는 ‘강구(江口) 작전’에 투입되었다. 대대는 헬기로 ...
    Date2019.01.31 By운영자 Views2666
    Read More
  17. 해병대서 트럭 운전하며 꿈 확실해져… 구교민 선진버스 사원

    해병대2사단 운전병 출신으로 군 복무 중 미래를 준비해 전역 직후 선진버스 입사에 성공한 구교민 사원이 운전석에 앉아 환하게 웃고 있다. 사진 국방일보 이경원 기자 “해병대 덕분에 제 꿈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군 복무는 저에게 인생의 공백기가 아닌 미래를 준비하는 시간이 됐습니다. 결과는 희망 기업 취업 성공으...
    Date2019.01.14 By운영자 Views1900
    Read More
  18. 혹독한 해병대 훈련 견딘 힘, 우리의 특별한 경쟁력!

    해병대 여군장교 출신 세븐일레븐 박지나 사원. 김포=국방일보 양동욱 기자 해병대사관후보생(OCS) 출신 박지나 사원 “취업을 준비하는 장병 여러분, 자신감을 가지세요. 군에서 힘든 훈련을 이겨내며 기른 인내심과 조직을 이끌며 쌓은 리더십은 우리의 특별한 경쟁력입니다.” 해병대사관후보생(OCS) 110기로 2014년 해병대...
    Date2018.11.29 By운영자 Views872
    Read More
  19. 강원도 화천의 해병대 화천지구전투전적비

    자유수호탑에서 바라본 파로호 전경. 파로호는 중공군을 격파한 호수란 뜻으로, 6·25전쟁 당시 이승만 대통령이 지었다. 사진=국방일보 이헌구 기자 화천군은 강원도 북서부에 있는 산수가 뛰어난 청정고장이다. 북쪽의 군사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서쪽에는 철원군, 동쪽으로는 양구군, 남쪽으로는 춘천과 경계하고 있다. 면...
    Date2018.04.17 By운영자 Views1845
    Read More
  20. 전진구 해병대사령관『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

    전진구 해병대사령관이 병영생활에서 독서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국방일보 이경원 기자 지휘관이 갖춰야 할 조건 ‘통찰력’ 통찰력은 전투를 승리로 이끌고 부하를 살리는 지름길 ‘집단지성’으로 시너지 창출해야 발전 4차 산업혁명시대 ‘감성 리더십’도 당부 전진구(중장) 해병대사령관은 장병들에게 ‘꿈과 희망’을 강...
    Date2018.02.25 By운영자 Views132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 16 Next
/ 1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