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기고> 김일수 전 합참 전비태세검열실장 ·예비역 해병소장 
 


김일수.jpg

관련기사 우리 사회의 과제로 떠오른 군 개혁의 핵심은 육해공 3군의 불균형 해소이다. 이 명제에 가려져 잘 알려지지 않은 게 해병대 문제이다. 해병대는 6ㆍ25전쟁과 베트남전에서 빛나는 전공을 거두면서 나라 안팎에 용맹을 떨쳤다. 그러나 군 이기주의와 정치적 덫에 걸려 1973년 군기(軍旗)를 내렸다. 당시 병력이 해병대보다 적었던 해군의 한 병과(兵科)로 통폐합되는 유례없는 조치였다.

 

이에 따라 해병대에서 복무하고 전역하는 병사들은 인사명령서와 전역증서에 '해병대 병장'이 아닌 '해군 병장'으로 표기되고 있다. 정체성을 상실한 장병들의 전투 사기도 문제이지만, 창설 이후 형제와 같았던 해군과 해병은 이런저런 갈등을 겪는 사이로 바뀌었다. 국방조직의 효율화를 꾀한다는 통폐합 명분과 어긋나는 부작용을 낳은 것이다.

 

이에 따라 역대 군 수뇌부는 해병대의 위상 회복과 해군과의 관계 정상화를 군 개혁의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그러나 각군의 이기주의로 인해 해군 내부문제로 치부해 왔다. 역대 정권도 이 문제를 국가안보 차원에서 심각하게 다루기보다는 해병대의 위상과 타군과의 갈등 차원으로 접근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해병대는 그 기능과 역할의 특성상 전력 보유 자체만으로도 전략적 효과를 발휘한다. 미국을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가 해병 전력 유지와 관리에 유별난 관심과 힘을 기울이는 것은 그 때문이다. 이에 반해 우리는 해병대를 불합리한 법령으로 묶어둔 채 비효율적으로 운영해 왔다. 그런 가운데 지난해 발생한 연평도 피격 사건은 해병대의 열악한 현실과 전력 개선 필요성을 극적으로 드러냈다.


이명박 대통령은 연평도 사건 직후 군 개혁 필요성을 거듭 강조하며 "조직 이기주의를 타파하고 육해공군과 해병대의 협력과 양보"를 주문했다. 그러나 국방부는 고질적인 기득권 의식을 벗어나지 못한 채 군통수권자의 개혁 의지를 충실히 따르지 못하고 있다. 군 개혁은 통수권자의 강력한 의지와 더불어 국회의 입법 의지가 있어야 가능하다. 이에 비춰 국회 국방위원회의 여야 의원들이 해병대 전력 강화에 관심을 갖고 해병대가 본래의 기능과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국군조직법 등 관련법 개정안을 발의한 것은 국가 안보와 군 선진화를 위해 실로 뜻 깊는 일이다.

 

본래 국가 전략기동군 기능을 수행하는 해병대를 40여 년 간 병종(兵種)간 이해관계로 인해 무기력하게 운영해 온 것은 국가 안보전략 차원에서 큰 잘못이다. 세계 최강을 자랑하는 미 해병대가 첨단 전력을 갖추고 지구촌 곳곳의 분쟁지역에서 평화 유지에 앞장서며 신뢰를 받고 있는 것은 국가와 사회의 든든한 뒷받침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미 의회는 1947년과 1952년 국가안전보장법 제정과 개정을 통해 해병대를 국가안보의 핵심 역량으로 확고하게 자리 매김 했다. 해병대가 정치적 논란의 희생양이 되지 않도록 법제화 한 것이다.

 

'3군 불균형발전 해소'와 병행하여 해병대 문제를 이번에도 해결하지 않는다면 군 개혁은 이번에도 미완의 개혁이 되고 말 것이다. 관련법 개정으로 해병대의 정체성이 회복된다면 '귀신 잡는 해병'의 막강한 위용이 되살아나 국군의 전투력은 배가될 것이다. 군 안팎의 뜻과 의지를 모아 선진형 개혁을 해야만, 우리 군은 진실로 적이 감히 넘볼 수 없는 강군의 면모를 갖추게 될 것이다.

 

 <출처 : 한국일보>



  1. 인생 최고의 순간 공유한 멋진 동기

    보고싶다 동기들아 / 국방일보 2012.04.18 이동후 일병 해병대교육훈련단 본부대대 누구나 살면서 한 번쯤은 눈을 감고 인생의 가장 아름다웠던 장면을 떠올려 본 기억이 있을 것이다. 어떤 이는 동네 친구들과 함께 ...
    Date2012.04.17 Views4689
    Read More
  2. 체력에 대한 군인의 자세

    강병택해병대 / 원사·국방부 운영지원과 봄기운이 완연하다. 이맘때가 되면 군인과 군무원들은 바빠진다. 바로 체력검정이 코앞이기 때문이다. 특히, 군무원과 달리 체력검정이 진급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군인들은 엄...
    Date2012.04.02 Views4208
    Read More
  3. 즐거운 군 생활에 필요한 ‘소통’

    배민성 해병 상병 / 국군8614부대 / 국방일보 2012.3.29 현대사회의 성공 키워드 중 하나로 소통을 꼽는다. 소통의 사전적 의미는 ‘생각하는 바가 서로 통함’이다. 개인의 능력이 아닌 자신이 속해 있는 그룹의 능력...
    Date2012.03.29 Views2537
    Read More
  4. 추워지면 더 생각나는 1133기 동기

    최형민 상병 / 해병대1사단 1133기 동기들아, 잘 지내니? 교육훈련단 수료하고 뿔뿔이 흩어진 동기들이 잘 지내고 있는지 궁금하다. 1월 3일, 이날이 무슨 날인지 잘 알고 있지? 바로 우리 1133기가 해병대에 입대한 ...
    Date2012.03.28 Views4352
    Read More
  5. 영국과 프랑스 그리고 해병

    특파원리포트 / 국방일보 2012.03.07 전광호 영국 센트럴 랑카셔 대학교 교수·아태지역학 대학원장 우리 군은 분명히 강군이다. 규모로 보나 훈련 내용으로 보나 세계적 강군이라 자부해도 손색이 없다. 물론 세계에...
    Date2012.03.07 Views2473
    Read More
  6. No Image

    해병대가치를 품은 나의 혁신의지

    글 / 상병 이강덕 해병대지 41호 나라 전체가 전쟁과 가난에 허덕이던 시절, 현실은 비참했지만 해병대의 병영문화만은 참으로 멋있었다는 것을 익히 들어왔다. 전쟁 속 나를 지켜주던 선임, 또 나를 지켜주던 후임. ...
    Date2012.02.27 Views4014
    Read More
  7. No Image

    혹한의 겨울에도 해병대의 가슴은 누구보다 따뜻하다!

    대위(진)허태진 / 해병대지 41호 “해병대 아저씨, 감사합니다.” 지난 12월 15일부터 16일까지 우리는 부대 인근에 있는 복지시설을 찾았다. 도솔산에서 제주도에 이르기까지 몹시 바쁘게 지나갔던 해병대사령부 군악...
    Date2012.02.27 Views2743
    Read More
  8. 절치부심의 각오로 해병대 발전방향을 말한다!

    &lt;글 대령 조강래 / 해병대지 41호&gt; 1. 개 요 1949년 4월 15일. 380명의 병력으로 창설된 해병대는 6·25전쟁, 베트남 전쟁 등을 통하여 정예군으로 성장하였으며, 현재에도 실 전장과 가장 유사한 훈련인 과학화전투훈...
    Date2012.01.24 Views4568
    Read More
  9. 어머니께 띄우는 편지 - 권오갑

    &lt; 권오갑 현대오일뱅크 사장&gt; 지금으로부터 83년 전인 1929년 일입니다. 경기도 시흥이 고향인 어머니는 열일곱 살 꽃보다 아름다운 나이에 청계산을 넘어 안동 권씨가 모여 사는 판교 금토마을로 시집을 오셨습니다....
    Date2012.01.23 Views3905
    Read More
  10. 교육훈련 개혁과 병영문화 혁신 - 차동길 해병대교육훈련단장

    차동길 준장 해병대교육훈련단장 해병대는 지난 7·4 총기 사건으로 불거진 후진적 병영문화를 혁신하기 위해 지난 6개월 동안 뼈를 깎는 심정으로 노력해 왔다. 특히 해병이 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이곳, 해병...
    Date2012.01.18 Views5836
    Read More
  11. 2012년 우리는 준비됐다.

    2012년 우리는 준비됐다. / 글 중령 서봉수 전사불망 후사지사(前事不忘 後事之事)란 말이 있다. 이는 “과거의 일을 잊지 않는다면, 이후의 일도 잘 이루어질 것이다”라는 말이다. 벌써 적이 연평도 포격도발을 자행...
    Date2012.01.17 Views3592
    Read More
  12. 편지 한 통과 과자 한 봉지의 비밀

    이동후 이병 / 해병대교육훈련단 상대적으로 늦은 나이에 입대한 해병대. 해병대 특유의 남성스러움과 거친 면을 견딜 수 있을까 하는 부모님의 걱정에도 힘들고 고단했던 훈련 기간을 무사히 마치고 부푼 기대감을 ...
    Date2012.01.09 Views3647
    Read More
  13. 패러다임 전환으로 세상과 소통하다

    신홍규 대령 / 해병대 리더십센터장 지난 2010년 11월 23일은 해병대가 주둔하는 연평도에 북한군이 기습 포격도발을 해 무고한 주민들에게 큰 피해를 준 가슴 아픈 날이다. 그 아수라장의 현장에서 지휘자들은 전장 ...
    Date2012.01.03 Views3664
    Read More
  14. 2012년 새해 평소와 같은 날

    신일환 중위(진) 해병대 흑룡부대 소위로 임관한 후 14주간의 보병 초군반을 수료한 뒤 짧은 휴가를 받고, 2011년 10월 10일 백령도에 입도했다. 장교라는 신분으로 나는 62대대 6중대 1소대장이라는 직책을 맡아 씩...
    Date2012.01.01 Views3886
    Read More
  15. [김정원이 만난 사람]이호연 해병대 사령관

    “진짜 해병은 적과 싸워 이기는 것” / 충청매일 2011년 12월 25일 이호연 해병대사령관(53·해사 34기)은 유사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강인한 전투체력을 강조한다. 그래서 그는 스포츠선수들도 하기 어렵다는 철인...
    Date2011.12.27 Views436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