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04.jpg

신일환  중위(진) 해병대 흑룡부대

 

소위로 임관한 후 14주간의 보병 초군반을 수료한 뒤 짧은 휴가를 받고, 2011년 10월 10일 백령도에 입도했다.

장교라는 신분으로 나는 62대대 6중대 1소대장이라는 직책을 맡아 씩씩하고 멋진 소대원들과 함께 해안경계를 지원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실무에 투입돼 한동안은 뭘 해야 하는지도 모르고 멀뚱멀뚱 자리만 지키고 있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고 실무에 적응하면서 일상이 익숙해질 때쯤 여유를 알게 됐다.

실무 생활이 그리 길지는 않지만 중대장님, 그리고 선배님들의 도움으로 빨리 적응할 수 있었던 것 같다. 나름 적응이 되고 나니 실무에서 지낸 두 달을 뒤돌아볼 수 있었다. 실무에 오자마자 처음으로 경험한 민·관·군 체육대회, 6중대 간부로는 혼자 참가했던 그리고 대원들과 함께 훈련받으면서 서로 가까워지고 의지하게 됐던 유격훈련, 쌀쌀한 날씨에 매일 오전부터 오후까지 고생했던 진지 정비, 갑작스럽게 준비하고 시행했던 신축 생활관으로 부대이동 등 두 달이라는 시간을 정신없이 지내온 것 같다.

 그렇게 두 달이 지났고, 입대도 벌써 9개월이 지났다. 사관후보생 때에는 올 것 같지 않았던 2012년이 다가왔다. 새해가 다가오니 문득, 실무에 오기 전 계획한 일들이 떠올랐다. 두 달이 지난 지금 생각해 보면 바쁘다는, 적응해야 한다는 핑계로 계획대로 지킨 것이 거의 없다. 열심히 운동하기·영어 공부하기·교범 읽기 등 조금만 신경 쓰고 행동하면 어렵지 않은 일인데, 다짐만 해 놓고 나 자신이 피곤하다고 조금 멀리한 것 같다.

 새해에는 거창하게 다짐할 것이 아니라 평소와 같이 원래 그랬던 것처럼 티 내지 말고, 바른 행동으로 소대원들에게 모범이 되는 소대장이 될 것이다.

때가 되면 밥을 먹는 것처럼, 때가 되면 잠을 자는 것처럼, 습관처럼 말이다. 상관의 눈에도, 동료의 눈에도, 부하들의 눈에도 한결같은 바른 행동으로 신뢰받는 ‘나’가 될 것이다.

새해를 아무렇지 않게 그냥 다른 날과 똑같이 늘 하던 것을 하는 것이 바로 작심삼일을 피하는 길이라 생각되고, 지금의 부족한 나를 발전시킬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 생각한다.

 새해는 용의 해다. 우연하게 지금 나는 해병대 장교로서 흑룡부대에 근무하고 있으며, 88년에 태어난 용띠다.

새해에는 모든 일에 최선을 다하고,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서 조국을 위해 힘쓰고 있는 나 자신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나의 임무를 완벽하게 수행하겠다고 다짐해 본다.


TAG •

  1. 대한민국 해병대는 해군에서 독립해야 한다

    `해병대 독립법안'이 지난 22일 국회 국방위 전체회의를 통과했다는 소식이다. 개정안은 연평도 포격 이후 해병대의 전력증강과 업무효율 차원에서 해병대의 임무를 해상상륙작전으로 명시하고, 해병대사령관에게 독...
    Date2011.04.27 Views3514
    Read More
  2. 해병대와 함께 춤을 - 박성진

    해병대와 함께 춤을 / 박성진의 군이야기 http://mustory.khan.kr/391
    Date2011.04.27 Views3207
    Read More
  3. 일개 사병 놓고 여론에 굴복한 軍

    문제 제기자들, 현빈은 이제 ‘해병’이라는 점 기억해야 결론 여론에 굴복한 국방부·해병대도 문제 인기 배우 현빈이 백령도 6여단 전투병으로 보직이 변경됐다. 이 일은 당연한 일로 보이지만 실상은 해병대는 물론 ...
    Date2011.04.21 Views3804
    Read More
  4. No Image

    이제 현빈을 풀어주자!

    해병대사령부가 15일 창설 62주년을 맞았다. 지난해 11월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 첫 창설 기념 행사를 연 이날은 여러모로 해병대에 의미가 깊은 날이었다. 북한군의 포격에 맞서 용감하게 응전한 해병대에 대...
    Date2011.04.16 Views3319
    Read More
  5. 노병은 살아 있다

    글 : 송석구 / 대통령 소속 사회통합위원회 위원장, 가천의과학대학 총장 지금도 군대 얘기를 하면 재미있다. 남자들이 하는 얘기 중에 제일 재미없는 것이 군대 얘기라는데, 여전히 신명이 난다. 많은 연륜을 거쳤어...
    Date2011.04.03 Views4089
    Read More
  6. No Image

    국방개혁 놓고 고민 쌓인 김관진 국방장관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김관진 국방장관이 작년 천안함 피격사건 이후 심층 검토해 발표했던 '국방개혁 307계획'을 놓고 곤혹을 치르고 있다. 청와대는 국방개혁에 반기를 드는 사람은 항명행위로 간주하겠다고 나...
    Date2011.04.01 Views2930
    Read More
  7. 젊은 그들이 있어 든든하고 행복하다 - 김주영

    연평도 억센 바람 맞으며 조국을 가슴에 안고 젊음을 바쳤다는 그들, 난 그처럼 감동적인 글을 써 본 적이 없어 눈물이 났다. 사나이가 보이지 않는다. 대로 한가운데를 어깨를 쭉 펴고 담대하게 걸어가는 사내다운 ...
    Date2011.03.29 Views5383
    Read More
  8. 전투형군대를 넘어 이겨놓고 싸우는 군대를 향해

    전투지휘자 점검 및 경연대회 참가기 - 전투형군대를 넘어 이겨놓고 싸우는 군대를 향해 대령(진)조순근 예년에 비해 유난히도 추웠던 올해 겨울, 그 중에서도 가장 추웠다 는 지난 1월 15일 사단 연병장에서는 해병...
    Date2011.03.29 Views5088
    Read More
  9. No Image

    해병대, 진정한 소수정예군 되려면

    해병대는 흔히 ‘소수정예(A Few Good Men)’라는 말로 표현된다. 타군에 비해 인원은 적더라도, 아니 적은 만큼 오히려 더욱 강한 체력과 정신력으로 발군의 전투력을 과시해 왔기 때문이다. 이는 일찍이 6·25와 베트...
    Date2011.03.25 Views3366
    Read More
  10. 천안함 피격 1주기, 참전용사를 생각한다

    신원배 (예)해병대 소장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사무총장 지난달 27일, 미국에서 제1차 세계대전 참전용사 중 마지막 생존자 프랭크 버클스 씨가 세상을 떠났다. 오바마 대통령은 계획된 일정을 모두 취소하고 장례식에...
    Date2011.03.23 Views3424
    Read More
  11. 미군 ‘군살빼기’ 효율이 우선

    중동 소요사태 美 전략목표에 큰 영향 中·이란 대함탄도미사일 위협 대비를 [세계일보] 현재의 정부 재정 풍토 속에서 미 국방부가 더욱 효율적이고 책임 있는 부서가 되는 것이 중요하다. 국방부는 국민의 세금을 항...
    Date2011.03.19 Views5835
    Read More
  12. 전투형 군대로 도약을 위한 학교교육체계 개선

    이상화 해병대 대령 국방부 교육훈련정책과장 올해 국방업무 최우선 과제는 적과 싸워 이길 수 있는 전투형 군대 육성이다. ‘아덴만 여명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청해부대가 전투형 군대의 전형이며, 이는 평시 부...
    Date2011.03.12 Views4122
    Read More
  13. No Image

    양질의 해병대 장교 양성 방안 -이선호

    양질의 해병대 장교 양성 방안 - 해병학교 부활의 당위성에 대한 연구 - 1. 문제의 제기 오늘의 해병대는 제도적으로 1973년 해병대 사령부 해체 이전과 같이 사령부가 해군의 외청 개념으로 운영토록 행정권이 위임...
    Date2011.02.28 Views7677
    Read More
  14. 군개혁과 해병대

    <한국일보 기고> 김일수 전 합참 전비태세검열실장 ·예비역 해병소장 관련기사 우리 사회의 과제로 떠오른 군 개혁의 핵심은 육해공 3군의 불균형 해소이다. 이 명제에 가려져 잘 알려지지 않은 게 해병대 문제이다. ...
    Date2011.02.24 Views3106
    Read More
  15. 대한민국해병대의 국위선양

    조정구 육군대령·주태국 국방무관 2010 코브라 골드 훈련에 참가한 해병대 장병 여러분은 대한민국 국가대표였다. 무더위와 싸우며 힘든 훈련과정을 소화해 최고의 전투 기량을 뽐낸 우리 해병대원들에게 박수를 보낸...
    Date2011.02.21 Views2493
    Read More
  16. 해병대 독립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연평도 사태 이후 해병대는 젊은이들에게 가장 각광받는 경쟁률 높은 군대가 되었다. 우리 군의 자존심을 찾아가는 한 사례라 본다. 때를 맞춰 국방부도 해병대 병력을 최소 1천200명, 최대 2천여명 수준에서 증강하...
    Date2011.02.17 Views2623
    Read More
  17. 아태 안보연구소(APCSS) 연수를 마치고

    Date2011.02.13 Views2687
    Read More
  18. 2006-1 한미연합 대대급 전술훈련을 마치고

    Date2011.02.13 Views3442
    Read More
  19. 전투임무위주의 실질적인 훈련 어떻게 할것인가?

    - 육군 과학화 전투훈련장을 다녀와서 - <자료출처 : 2006 해병대지 27호>
    Date2011.02.13 Views2276
    Read More
  20. 해병대 도시지역작전 발전방향

    - 주요장비/물자 및 교육훈련을 중심으로 - 소령 전황기 (2006년 해병대사령부 편제편성장교) <자료출처 : 2006 해병대지 27호>
    Date2011.02.13 Views391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 28 Next
/ 2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