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땅에 해병대여

                       시인 / 박광남 (해간60기)

             한반도의 한라에서 백두까지
             혹은 포항의 해안방어부터 김포의 철책선
             그리고 백령도의 시퍼런 심해 속까지
             해병은 들여다보고 있다.

             한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이기에
             우리들 가슴 속 깊은 곳에서
             뜨거운 그 무엇이 용솟음 침을 안다.

            우리는 지나간 날이나 지금 이나
            이 산하 한 줌 흙으로 돌아가더라도
            이 땅 어딘가에 혼백으로 떠돌지라도
            조국을 사랑하는 아비의 심정으로
            나의 사랑하는 아들과 딸
            그리고 나의 전우의 가슴으로
            한 시절 해병의 비망록을 쓴다.

            해병대는
            서기 1949년 4월 15일
            이 땅에 태어나
            바람 앞에 등불처럼
            꺼져 가는 조국의 발치에서
            고지 하나를 두고 불켠 병사가 달려 갈 때
            강 이쪽에서 이슬 머금어
            승전의 아침 !!

            아아, 「돌아오지 않는 해병이여」
            이름 모를 비목이여

           켠켠이 세월의 비듬만큼 물 여울에 잠겨
           총성이 멈추어 선 자리에 새들은 날아
           이 땅에 꽃을 피우지만
           산천에 핏빛 가득 향기로운
           들풀의 노래를 부르지만
           해병의 원혼을 씻어버릴 수 없는 바다는
           밤낮없이 출렁인다.

          우리 철석이는 바닷가에 귀 열어놓고
          저 선연한 운무의 바다 속
          찬란히 떠오르는 태양이 눈부시면,
          아름다운 사람들이
          사는 이 땅에 해병은
          높고 낮은 산들 가슴으로 안고
          우리가 태어나 살아갈 강토에 더 많은
          사랑과 정성을 바쳐야 함을 안다.

          해병대가 좋아
          해병으로 태어나
          팔각모와 빨간명찰이 달린 군복이
          피와 땀으로 얼룩져도
          이 땅의 해병대, 국민의 해병으로
          일상의 시름 분연히 떨치고
          몇 달, 몇 날을 기다리는 통일의 반석이
          나라 위한 설레임으로 고동칠 때
          우린 신명나게 춤을 추고,
          우리의 깃발 가슴 깊이 새겨
          문득 날아 오르는 새들의 행진으로
          계절의 아득한 기억 속 해병대를 그리워하고
          푸른 창공에 해병의 새가되어
          한반도의 끝까지 날아 가고파
          여기 이 자리에,
          해병대원이 있나니
          이 땅 위에 있나니
          칡흙같이 어두운 바다에서 해안으로
          오, 다시 그대들이 돌진이다.

          식어지지 않은 붉은 피,
          살갗을 뚫고 터져나오는 젊음의 해병이여,
          이 땅에 햇살 눈부실 때까지
          앞으로 나아가자.

          누가 해병이더냐.
          누구나 선택할 수 있는 해병대라면
          나는 해병대를 선택하지 않았을 것이다.
          언젠가는 이 땅에 흙으로 돌아가더라도
          너희는 이 땅에 영원한 해병이었다고 할 때
          우리는 영혼불멸로 살아있다.

          오늘의 축제가 내일의 큰 희망,
          이 땅 위에 표상으로 남는다면
          우리 한 시절 불 태워 보람되고 멋진 날
          해병대의 이름으로 살아가자.



* 위의 詩『이 땅에 해병대여』는 옥고의 작품으로 해병대가 나라와 민족을 위하여 무엇을 할 것인가를 대변한 시 입니다.
박시인 1997년 헌충일 추모시 『조국의 이름으로』가 전국 공모 3천명 중에서 최고작으로 선정되어 동작동 국립현충원에서 한국시낭송회(김문중)회장이 낭송하였으며 TV로 방영되어 문학에도 해병대의 우수성을 인정받게 되었습니다.
시인은 또 창원시 용지공원내 '상남훈련대가 있던 곳' 기념탑건립 시, 「영광의 문」이라는 시를 직접 낭송하였으며 대리석에 각인되어 있음으로 그곳을 찾는 해병과 민간인으로부터 뜨거운 찬사와 감동을 주고 있습니다.

TAG •

  1. No Image

    천안함 피격사건, 연평도 포격 도발과 국방개혁

    '서북도서와 NLL 어떻게 지킬 것인가?'... "작전중심의 군으로 변화시켜야 한다는 대의에 관해서는 이견이 있을 수 없다" * 아래 칼럼(세미나 발제안)은 지난 4일 전쟁기념관에서 한국해양전략연구소(소장 송근호)와 ...
    Date2011.05.16 Views3810
    Read More
  2. No Image

    북한이 오늘 연평도에 포격을 가한다면

    '서북도서와 NLL 어떻게 지킬 것인가?'... 서북도서의 전력증강과 전투수행 개념의 발전은 남북통일될 때까지 영원한 진행형의 과제 * 다음은 4일 전쟁기념관에서 한국해양전략연구소(소장 송근호)와 해병대전략연구...
    Date2011.05.16 Views5829
    Read More
  3. No Image

    해병대 ‘현빈 홍보’ 과유불급 뜻 새겨라 - 서울신문 사설

    해병대가 톱스타인 현빈을 활용한 홍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지난 3월 해병대에 입대한 현빈은 신문과 방송을 통해 사격하는 모습, 다른 훈련병과의 일상생활 등이 자주 보도됐다. 하지만 해병대는 더 나아가 ...
    Date2011.05.13 Views3671
    Read More
  4. 한번 해병이면 영원한 해병이다.

    <강원일보 사상길 취재본부장> 국가와 민족의 생존권을 지켜온 해병대는 국민에게는 사랑과 신뢰를, 적에게는 전율과 공포의 대상이 돼 오 며, 귀신 잡는 해병으로 군림해 왔다. 그런데도 현재의 해병대는 해군소속이...
    Date2011.05.09 Views3677
    Read More
  5. 연예인 한명 군대 왔다고 서해5도 지켜지나

    <칼럼>김정일 ´대도박´ 서해 5도 점령 위한 준비 마무리 단계 총-대선 겨냥 국지전 벌일 태세…즉각 반격할 만반 준비 갖춰야 신성대 도서출판 동문선 대표 (2011.05.07 17:43:04) 옛말에 열사람이 손가락질하면 없는 ...
    Date2011.05.09 Views2480
    Read More
  6. No Image

    '국방개혁(307계획)'의 부작용 우려해야

    대규모 군 지휘구조 개편과 감군은 적에게 헛점 준다 / 김성만 전 해군작전사령관 이명박 정부의 국방개혁으로 알려진 307계획에는 총 73개 개혁과제(단기, 중기, 장기)가 포함되어 있다. 핵심과제는‘軍 상부지휘구조...
    Date2011.05.07 Views3021
    Read More
  7. No Image

    미래를 향한 한국군의 균형발전과 해병대독립 및 4성 장군의 부활

    1957년 초겨울, 해군사관학교, 세브란스 의과대학, 서울공대기계공학과 . 3군데모두 합격소식에 어듸로 갈까 망서리고있는터에, 집안과 동네어른들께서는 의사가되라고 야단이었다. 나는 엔지니어가 되고싶었다. 그런...
    Date2011.05.02 Views4467
    Read More
  8. 해병대는 군화 끈을 다시 조여맬 때

    안희경 해병대전우회 사무총장, 예비역 해병준장 지난 22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해병대사령관에게 합동참모회의 위원 자격, 인사권과 군수품 관리권한 등을 부여하는 관련 법안을 의결했다. 해병대가 조직관리와 주...
    Date2011.04.29 Views3785
    Read More
  9. 월남 패망을 타산지석의 교훈으로 삼자

    신원배 (예)해병대 소장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사무총장 - 국방일보 / 2011.04.29 1975년 4월 30일, 20년에 걸친 전쟁 끝에 월남이 패망했다. 패망 당시 월남은 60만 명의 병력과 최첨단무기로 무장한 세계 4위 의 군...
    Date2011.04.29 Views4082
    Read More
  10. 전쟁은 없어야 될 일

    전쟁은 있어서는 안될 일 입니다, 그러나 꼭 치루어야 한다면 2 등이 없는 오직 승자만이 있는 것입니다, 전쟁의 참혹상을 나와 함께 많은 전투를 했던 전우 권동일 해병 작전하사관은 "스콜 "이라는 책자에 월남전 ...
    Date2011.04.28 Views2664
    Read More
  11. 대한민국 해병대는 해군에서 독립해야 한다

    `해병대 독립법안'이 지난 22일 국회 국방위 전체회의를 통과했다는 소식이다. 개정안은 연평도 포격 이후 해병대의 전력증강과 업무효율 차원에서 해병대의 임무를 해상상륙작전으로 명시하고, 해병대사령관에게 독...
    Date2011.04.27 Views3514
    Read More
  12. 해병대와 함께 춤을 - 박성진

    해병대와 함께 춤을 / 박성진의 군이야기 http://mustory.khan.kr/391
    Date2011.04.27 Views3207
    Read More
  13. 일개 사병 놓고 여론에 굴복한 軍

    문제 제기자들, 현빈은 이제 ‘해병’이라는 점 기억해야 결론 여론에 굴복한 국방부·해병대도 문제 인기 배우 현빈이 백령도 6여단 전투병으로 보직이 변경됐다. 이 일은 당연한 일로 보이지만 실상은 해병대는 물론 ...
    Date2011.04.21 Views3804
    Read More
  14. No Image

    이제 현빈을 풀어주자!

    해병대사령부가 15일 창설 62주년을 맞았다. 지난해 11월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 첫 창설 기념 행사를 연 이날은 여러모로 해병대에 의미가 깊은 날이었다. 북한군의 포격에 맞서 용감하게 응전한 해병대에 대...
    Date2011.04.16 Views3319
    Read More
  15. 노병은 살아 있다

    글 : 송석구 / 대통령 소속 사회통합위원회 위원장, 가천의과학대학 총장 지금도 군대 얘기를 하면 재미있다. 남자들이 하는 얘기 중에 제일 재미없는 것이 군대 얘기라는데, 여전히 신명이 난다. 많은 연륜을 거쳤어...
    Date2011.04.03 Views408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