交戰守則강화만으론 NLL이 수호되는 것은 아니다.

konas.net / written by 김성만(재향군인회 자문위원, 前 해군작전사령관)

  김태영 국방장관은 24일 국회 국방위 답변에서 “북한이 북방한계선(NLL) 너머로 포사격을 가해올 경우, 지상에서 하는 것과 동일하게 2~3배의 화력으로 대응할 것”이라면서, 최근 이러한 내용으로 해상 교전수칙을 개정했다고 밝혔다. 9일 북한군이 백령도 인근 NLL 남쪽 해역에 해안포 사격을 가해 왔는데도 제대로 대응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자 교전수칙을 수정한 것이다. 이로써 향후 해상 교전수칙은 ‘비례성의 원칙’을 적용하게 됐다.

김 장관은 “적이 NLL 이남 해상으로 포를 쏘면 ‘비례성 원칙’에 따라 적이 도발한 거리만큼 NLL 북방 바다에 쏠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만약 북한군의 포격으로 아군이 피해를 본다면 자위권 차원에서 즉각 응징 사격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군의 교전수칙 개정은 당연한 조치다. 그러나 교전수칙 강화만으로 NLL이 수호되는 것은 아니다.

100129_32866.jpg
 ▲ 서해5도에서 대공방어 중인 해병 장병ⓒkonas.net

  서해 5도와 NLL 주변 해역에 배치된 한국군은 북한의 해안포 포격을 탐지할 수단이 없다. 국방부가 서해 5도에 배치한 대(對)포병 레이더(AN/TPQ-36)는 해안포 포탄을 추적할 능력이 제한된다고 확인해 주었다. 해안포는 평사포라 포탄 비행고도가 낮아서 그렇다고 한다. 따라서 앞으로 북한이 해안포를 추가로 발사해도 이전처럼 사격진지와 포탄의 착탄 위치를 확인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주간에는 이번처럼 해안 경계초병의 육안 관측으로 포탄이 떨어지는 것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야간이나 저시계(안개, 비)에서는 그것도 어렵다. 김 장관은 이런 문제점을 알고 신형 대포병레이더(AN/TPQ-37)가 서해 5도에 알맞은지와 음향탐지 레이더 도입의 필요성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결국 국방장관이 강조한 새로운 해상 교전수칙도 실제 적용에서 문제가 많다. 만약 포탄이 남측 육지에 떨어져 응징 사격을 하기 위해서는 실시간에 사격진지를 확인하고 바로 타격해야 한다. 그러나 9일 착탄 위치 판단에만 5시간 이상이 소요됐다.

그러면 한국군이 왜 이렇게 됐는가. 지난 수년간 북한은 서해 5도에 대한 공격 전력을 증강한 반면 한국은 투자를 소홀한 탓이다. 오히려 2006년에는 ‘국방개혁 2020’에 따라 서해 5도 해병부대를 대폭 감군키로 계획했다. 남북한 전력에 불균형이 발생한 것이다. 그래서 북한은 무력도발을 계속하고 있는 것이다.

북한은 2005~2007년 해안포를 대구경포(122㎜, 130㎜)로 교체했다. 서해 5도 주변에 총 1000여문을 배치하고 2008~2009년에는 포격훈련을 대대적으로 했다. 그리고 지난해 12월 불법적으로 NLL 해역을 ‘평시 해안포 사격구역’으로 지정했다. 하지만 한국은 적절히 대응하지 못했다.

그러자 북한은 김정일 국방위원장 지휘 아래 올 1월15일 평양 인근 서해안에서 육·해·공군 합동훈련을 했다. 해상 사격에 장사정포(54~60㎞)와 공군 전투기까지 동원됐다. 이 훈련은 서해 5도에 대한 공격훈련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북한은 1월27~29일 백령도~ 연평도 간 NLL상에 해안포와 장사정포 400여발을 발사했다. 한국은 아무런 대응도 하지 못했다. 당시 서해 5도에는 대포병레이더가 없었다. 이후 대포병레이더를 급히 배치했으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국방부는 모두 고장이었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설사 가동이 됐다손 치더라도 결과는 달라지지 않는다. 성능 때문이다.

서해 5도와 NLL을 방어하는 해군·해병대 전력을 시급히 증강해야 한다. 북한의 3·26 천안함 폭침과 해안포 사격은 서해 5도에 대한 침탈 야욕으로 보고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해상 교전수칙을 강화했다고 서해 5도를 포함한 NLL 수호에 빈틈이 없을 것이라고 자만해서는 결코 안된다. 유비무환(有備無患)이다.(konas)



  1. No Image

    ‘해병대 정신’ 다시 세우라 - 문화일보 사설

    강화도 해병대 해안 소초에서 4일 발생한 총기난사 사건은 국민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김정일의 잦은 도발에 맞서며 서해영토를 지켜온 해병대에서 병사 4명이 동료 사병의 총기난사로 숨진 사건은 1990년대 ...
    Date2011.07.05 Views2511
    Read More
  2. 7연대 장병문예공모전 우수작

    7연대 장병문예공모전 우수작 출처 : 7연대 카페 멧돼지동산
    Date2011.07.03 Views3966
    Read More
  3. ‘싸우면 이기는’ 해병대, 날개 달다

    전황기 해병대사령부 중령 [6월, 당신을 기억하겠습니다] ⑤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창설 배경과 의미 과거부터 서북도서와 NLL 부근에서는 크고 작은 북한의 도발 위협이 지속되었고, 그때마다 우리 해병대는 이를 지키...
    Date2011.06.30 Views2437
    Read More
  4. No Image

    해병대 독자성 강화 기대된다

    <기호일보 사설 2011.6.28>마침내 해병대조직법, 군인사법, 군수품관리법 등 3개 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되면서 해병대는 명실상부한 법적 지위 및 독자성이 대폭 강화됐다고 한다. 작년 북한의 천안함 폭침 사건...
    Date2011.06.30 Views1973
    Read More
  5. No Image

    조용하지만 강한 ‘제주도 해병대’

    서인직 해군제주방어사령부 본부대 상병 / 제주일보 대부분의 사람들은 제주도에 해병대가 있다는 사실을 잘 모른다. 그리고 전투와는 한참 먼 후방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제주도는 도민들의 10분의 1이 해병대 출...
    Date2011.06.25 Views4620
    Read More
  6. 해병대 쌍룡합동상륙훈련

    박세봉 상병 해병대1사단 / 국방일보 2011.6.22 여명을 가르는 장갑차와 전차 소리에 훈련이 시작됐음을 깨달았고 바다를 가르는 독도함의 뱃고동 소리에 이 훈련의 웅장함을 새기게 됐다. 이렇게 2011년도 ‘쌍룡 1-1...
    Date2011.06.22 Views3424
    Read More
  7. 서북도서방위사령부에 거는 기대 - 동아일보 시론 김태현

    15일 해병대를 모체로 하고 육해공군을 망라한 합동참모부를 갖춘 서북도서방위사령부(서방사)가 창설됐다. 이 조치는 군사적 전략적으로 중대한 의미가 있다. 첫째, 당연한 말이지만 서해5도 지역의 방위전력을 크게...
    Date2011.06.16 Views2644
    Read More
  8. 서북도서 방위사령부 창설 이후 과제

    문화일보 / 이갑진 전 해병대사령관 게재 일자 : 2011-06-14 14:00 지난해 11월23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이 일어난 지 7개월 만에 서북도서방위사령부(서방사)가 15일 창설된다. 해병대 사령관이 지휘하는 서방사...
    Date2011.06.14 Views2619
    Read More
  9. 6월을 맞아 동작동 국립 현충원을 찾았다 - 임종린

    임종린(시인, 전 해병대사령관) 우리국민 그 누구도 죽음 앞에서는 자신을 통제하기 쉽지 않을 것이다. 특히 푸른 유니폼을 입고 있거나 입었던 사람들에게는 헌신해 왔던 천직의식이 값어치를 샘할 수 없을 정도로 ...
    Date2011.06.05 Views2932
    Read More
  10. 현빈 출연금지령 - 박성진

    <박성진의 군이야기> ‘한류 스타’ 김태평 이병(29·현빈)을 보기가 무척이나 힘이 듭니다. 현빈은 5월26일 열린 제47회 백상예술대상에서 ‘시크릿가든’으로 TV부문 대상을 수상했지만 영상으로만 인사를 대신했습니다....
    Date2011.06.01 Views3830
    Read More
  11. 손원일 제독이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 - 임성채

    임성채 - 해군역사기록관리단 편찬과장 지난 28일은 해군을 창설한 고(故) 손원일 제독 탄생 102주년이 되는 날이다. ‘우리 민족이 번영할 수 있는 지름길은 바다에 있 다’고 예지한 손 제독은 해방 직후인 1945년 11...
    Date2011.05.30 Views3660
    Read More
  12. No Image

    조선일보 사설 - 해병대 수뇌 5명 중 3명 관련된 음해사건의 충격

    조선닷컴 입력 : 2011.05.29 23:40 군 검찰은 유낙준 해병대 사령관(중장)을 음해한 혐의로 해병대 박모·홍모 소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해병대 소장 4명 중 2명이 형사처벌 대상으로 떠오른 것은 충격적이다...
    Date2011.05.30 Views2313
    Read More
  13. 미국의 비밀무기

    <유용원 / 조선일보 군사전문기자 ·한국국방안보 포럼 기조실장> 지난 5월 초 미국의 빈 라덴 사살작전 때 몇 장의 헬기 잔해 사진이 전세계 군사전문가들의 주목을 받았다. 미군은 이번 작전에 그동안 존재가 알려지...
    Date2011.05.24 Views14511
    Read More
  14. 천안함 장병은 영웅이었는데 연평도 해병들은…”

    북한에 의한 연평도 포격 사건이 있던 지난해 11월 23일, 연평도에서 근무하던 최주호 예비역 해병병장은 세가지 소중한 것들을 잃었다. 하나는 함께 생활해온 전우이자 해병 1088기 故 서정우 하사. 그리고 다른 하...
    Date2011.05.24 Views2463
    Read More
  15. 해병대 장륜식준전차의 도입필요

    <자주국방네트워크 독야청청님 게시글> 며칠 전 해군과 해병대의 연대급 상륙훈련이 있었습니다. 함정과 항공기, 그리고 전차와 상륙장갑차 등이 동원되었는데요. 많은 사람들이 아쉬워 하는 것 중 하나는 상륙작전 ...
    Date2011.05.23 Views352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