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린(시인, 전 해병대사령관) 

임종린.jpg   우리국민 그 누구도 죽음 앞에서는 자신을 통제하기 쉽지 않을 것이다. 특히 푸른 유니폼을 입고 있거나 입었던 사람들에게는 헌신해 왔던 천직의식이 값어치를 샘할 수 없을 정도로 영광의 길임을 알고 있다.

  애국, 충성, 의무, 책임, 명예, 용기! 이 같은 단어들은 조국을 지키는 책무의 밑거름이 되어 왔으며 군인의 성스러운 길을 밝혀 주고 있다. 안타깝게도 조국을 지키는 숭고한 사명을 시적 미사어구로나 걸출한 단어를 써서 표현하기 어렵고 그렇게 해서도 안될 것이다.

  그러나 이 가치들이 이룩한 결과는 전투에서 승리 함으로서 형성되고 국방의 수호신으로서의 기틀을 짜준다.

  3년 동안 동족상잔의 피비린내 나는 6.25전쟁을 치르며 수많은 싸움터에서 따가운 뙤약볕아래서, 살을 애는 추위 속에서, 야영지의 모닥불 옆에서, 강인한 불굴의 감투정신, 애국심으로 불타는 희생정신, 꺾일 줄 모르는 인내심과 결단력을 키워왔다. 젊은 전후 세대들은 그러한 군인상을 마음 속에 깊이 새겨야 할 것이다.

  조국의 산야를 누비며 용맹스럽게 전승의 기세를 유지하며 땀과 눈물과 피를 쏟으며 오늘의 대한민국을 지켜온 주인공은 6.25참전 용사들임에 누구도 부인 못할 것이다.  우리국민들은 참전용사들의 고마움을 알아야 하고 그들이 외친 조국애의 절규, 그들이 목 놓아 불렀던 군가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전우의 시체를 넘고 앞으로 돌진했던 국군의 용감성을 인정해야 한다. 계속되는 행군의 피로로 흠뻑 젖은 배낭의 무게에 짓눌리며 밤새껏 걸어야 했고 여명의 빛이 밝아올 때까지 포연으로 얼룩진 고지에서 추위에 떨며 공격신호를 기다려야 했다. 그리고 목표를 향해 돌격 앞으로! 그들 중 많은 젊은이들은 세상을 떠나야만 했다.

  그들의 고귀한 희생, 그들이 얼마나 영광스럽게 이세상을 떠났는지 전후 세대들은 알아야 하며 참전용사들은 아무런 불평 없이 승리의 신념을 안고 조국의 영광을 기원하며 쓰러져 갔다. 그들에게는 언제나 피와 땀과 눈물이 따랐으며 참호 속의 악취를 맡으며 작열하는 폭염 속에서, 몰아치는 폭풍우의 억수 같은 빗줄기 아래서, 인적이 끊어진 숲 속에서 사랑하고 아끼는 사람들을 멀리하고 향수의 아픔을 삼키며 전쟁터를 휩쓸고 간 폐허의 공포 속에서 견뎌야 했다.

6.25전쟁이 남긴 상처는 아직도 다 아물지 않았다. 부모형제와 생이별한 1천만 이산가족과 4만 2천여 명에 이른 전몰유가족, 3만여 명의 상이용사들이 통한의 아픔을 안고 죽지 못해 살아가고 있으며 14만여 명에 이르는 전사자들의 유해 또한 찾지 못하고 있다.

  더욱 걱정스럽고 가슴 아픈 일은 대부분의 국민들이 6.25전쟁에 대한 기억을 애써 지우려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끝나지 않은 전쟁을 끝난 전쟁으로 착각하고 한반도에 평화의 기운이 도래한 것으로 알고 있다는 사실이다. 
심지어 전교조 교사들은 천진난만한 어린 학생들에게 6.25전쟁이 남침이 아닌 북침으로, 민족통일전쟁으로 잘못 가르치고 있다. 특히 국민의 75%가 전쟁의 실상을 모르고 절대빈곤을 겪지 못한 전후 세대들이며 정부고위층에 있거나 정치권의 중요인사 중 많은 사람들이 군복무도 마치지 못했다는 사실이다.

   오늘(6월3일) 우리해군사관학교16기동기생들과 같이 동작동국립 현충원을 둘러 조국을 위해 숨져간 호국영령들에게 참배하며 6.25전쟁 61주년을 맞아 이 전쟁이 무엇인가를 재조명하고 우리에게 준 교훈이 무엇인가를 뼈저리게 느끼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고 다들 입을 모았다.  
   
  문제는 우리국민들의 안보의식 부족이다. 세상이 아무리 평안하더라도 전쟁을 잊고 있으면 반드시 위기가 온다는 사실은 동서고금의 역사가 증명해 주고 있지 않는가. 바로 61년 전 6.25전쟁이 남겨준 뼈저린 교훈은 제2 6.25를 막기 위한 역사적 가르침이다.

  지금도 참전용사들은 잠이 들면 꿈 속에서 고막이 찢어 질듯한 총성과 총신의 덜그럭거리는 소리, 이상하고 구슬픈 전장의 공포심이 귓전을 맴돌고 있다고 한다.

우리민족에게 하느님이 내려 주신 큰 은혜를 잊어서는 안 된다. 특히 맥아더장군의 전략으로 실시한 9.15인천상륙작전과 적 치하90일만에 수도서울을 탈환한 9.28 중앙청 태극기 게양식에서 이승만대통령이 울먹이는 목소리로 수도탈환을 기뻐하던 말씀을 오늘을 살아가는 후세들은 잊어서는 안 된다. 역사 반세기 세월은 흘렀지만 수도탈환의 한. 미 해병대전공은 영혼마저 놀라게 한 쾌거였다. 그런데 배은망덕한 일부 국민들의 망동에 소름이 끼친다. 맥아더장군 동상을 무너뜨리자는 자들을 우리는 어떻게 해석해야 하나? 은혜를 모르는 민족이 세계 속에서 살아갈 수 있겠는가? 기가 막힌다. 

 천안함 폭침은 겨우 15개월, 연평도 포격은 7개월이 지났는데 벌써 우리는 잊고 있다. 여의도정치인들은 여야가 싸우고 일부 단체는 UN에 끝난 조사를 다시 해 달라는 건의서를 제출했으니 그들은 누구를 위해 살아가며 산화한 46명의 해군용사들과 2명의 해병용사에게 미안하지도 않는가?

  참혹한 전쟁의 폐허 위에 피땀 흘려 이룩한 경제발전과 자유를 마음껏 향유하면서 북한을 찬양하고 사회주의체제를 미화하며 북한의 도발을 옹호하는 세칭 지성인들과 일부 언론인이 있다. 그리고 사회 각층에 깊숙이 파고들어간 종북좌파 세력들이 우리사회를 분열시키고 국가안보의식을 흐리게 하는 이념교육을 시키고 있는데 과연 이들 세력을 무너뜨리지 않고 우리는 내일을 바라볼 수 있겠는가 심히 의심스럽기만 하다.        

  다시는 이 땅에, 다시는 우리에게 동족상잔의 피비린내 나는 전쟁은 있어서는 안 된다. 6.25전쟁은 우리역사의 단면으로 우리와 같이 살아온 우리민족의 최대비극이다. 정부는 국민들의 호국정신을 함양해야 하고 국방력을 튼튼히 유지하는 국가정책을 세워야 한다. 잊지 말고 61년 전 6월의 그날 기억하자. 우리모두 6월의 뙤약볕을 피하지 말고 먼저가신 참전용사들의 침묵 앞에 고개 숙이며 명복을 빌자.  

 (limrokmc@hanmail.net) 2011.6.3 동작동 현충원을 다녀와서


TAG •

  1. 용감하게 대응한 자랑스러운 해병

    김태준 국방대 명예교수 북한은 지난달 23일 해안 포와 방사포로 연평도에 무차별 공격을 했다. 이 때문에 민간인 2명과 해병대원 2명이 숨지고 수십 명이 부상당했으며 가옥 수십 채가 불탔다. 피격 13분이 지난 뒤...
    Date2010.12.03 Views2066
    Read More
  2. 연평도의 영웅들

    성 동 민 경기대 문예창작과 교수 문학박사 “조기를 담뿍 잡아 기폭을 올리고/온다던 그 배는 어이하여 아니오나/수평선 바라보며 그 이름 부르면/갈매기도 우는구나 눈물의 연평도” 이미자 씨가 부른 ‘눈물의 연평도...
    Date2010.12.02 Views2105
    Read More
  3. 인천상륙작전(한시) - 정채호

    <해병대지 36호에서>
    Date2010.12.01 Views1635
    Read More
  4. 소통에 관하여

    글 소령 윤시영 요즈음 유행하는 말이 공정한 사회 건설이다. 우리는 공정한 사회를 자유롭고 창의적인 사회, 개천에서 용이 나는 사회, 사회 적 책임을 지는 사회, 사회 지도자급 특히 기득권자들이 지켜야 할 기준...
    Date2010.12.01 Views1647
    Read More
  5. 실패는 여기서 배우고 나가야 한다.

    71대대가 제3참호 공략에 성공했다는 소식. 71대대의 3중대가 일궈낸 이 성과 뒤에는 목표까지 함께 가지 못한 많은 장병들의 눈물과 땀이 숨어 있었다. 1중대 역시 마찬가지이다. 그 누구보다 힘들게, 누구보다 치밀...
    Date2010.12.01 Views2420
    Read More
  6. 北의 연평도 도발과 해병대

    송석구 가천의과대학 총장 연평도 하면 떠오르는 것이 '조기 파시(波市)'와 대중가요 '눈물의 연평도'쯤이다. 우리 세대 대부분이 비슷할 게다. 파시가 열리는 때면 한몫 잡으려고 뭍에서 온 사람들로 작은 섬마을이 ...
    Date2010.12.01 Views1941
    Read More
  7. 조국 품에 고이 잠드소서

    김민정 시조시인·문학박사 G20 세계 정상들의 성공적인 모임으로 세계의 경제·평화 앞장서는 시간에도 한반도 우리의 조국, 피 흘리고 있구나 일찍이 홍익인간 생명 귀히 여긴 민족 평화로운 생업으로 살아가는 주민...
    Date2010.11.29 Views3048
    Read More
  8. 아! 연평도

    [이철호 중앙일보 논설위원] 연평도가 북한에 공격당했다. 1953년 휴전 이후 우리 영토를 직접 포격한 것이다. 북한 해안포가 쏜 100여 발의 정밀 조준 포격에 의해 해병대원 서정우 병장과 문광욱 이병 등 2명이 전...
    Date2010.11.25 Views2348
    Read More
  9. 괴롭고 슬펐던 대방동 여정 - 임종린

    괴롭고 슬펐던 대방동 여정 임종린(20대 해병대사령관) 대방동에 해 떨어지고 가로등에 불 밝혀지면 바쁜 행렬은 붐비기만 했었다 신바람 몰고 온 길거리는 네온사인 반짝이며 황홀한 불빛으로 쌓였지만 휘청거리는 ...
    Date2010.10.11 Views4294
    Read More
  10. 군대는 또 하나의 사회

    김홍열 일병(해병대1사단) ‘말이 씨가 된다’. 어쩌면 사실일지도 모른다. 어렸을 적 나는 사내다운 구석이라곤 눈곱만큼도 없었다. 성격도 소심한데다 체격마저 작았으니 말이다. 주변 어른들은 활발한 여동생과 성격...
    Date2010.10.07 Views3608
    Read More
  11. 해병대의 향기

    백준호 상병(해병대2사단) /국방일보 2010.10.01 해병대가 되기 위해 그 많은 땀과 눈물을 훔치며 지금까지 견뎌왔는데. 이제는 오기도, 고집도 아니다. 단지 나를 향한 위기에 당당히 맞서 싸우고자 한다. 이것이 내...
    Date2010.10.02 Views3615
    Read More
  12. 인천상륙작전 - 한시 (정채호)

    해안(海晏) 정채호(예) 해병대 중령 庚寅九月十五日(경인구월십오일) 韓美海兵名譽榮(한미해병명예영) 戰艦載機支援下(전함재기지원하) 敵前上陸反攻成(적전상륙반공성) 未明月尾先攻占(미명월미선공점) 下午仁川上陸...
    Date2010.09.17 Views3227
    Read More
  13. 근속30년 휘장과 흰머리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서 근속 30년을 맞았다. 옛말에 세월은 유수 같고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고 했다. 젊은 시절 해병대가 좋아 시작한 군생활, 어느덧 강산이 세 번이나 변했다. 지난날의 힘든 세월을 말해 주듯 ...
    Date2010.09.10 Views5906
    Read More
  14. 셰익스피어가 해병대교육훈련단에 온다면?

    수많은 예술가는 인생의 기쁨과 슬픔, 이별과 만남, 땀과 고뇌, 열정과 고통, 그리고 인간성의 승리라는 인류 보편의 주제를 표출하는 창조적 소재를 찾아 저잣거리를 헤매기도 하고 인생의 밑바닥에 내려가 보기도 ...
    Date2010.09.09 Views3005
    Read More
  15. 사령부직제 개정령안 신구문대비표

    아래 올려드린 해병대사령부 직제 개정령안 신구문대조표입니다. 해병대사령부직제 개정령안은 아래 게시물 참조 http://www.haebyeong.com/munseo/23239 신ㆍ구조문대비표 현 행 개 정 안 제2조(사령관 등의 임명) ①...
    Date2010.09.07 Views4337
    Read More
  16. No Image

    해병대사령부 직제 일부개정령안

    2010년 7.23~8.12 입법예고된 ,해병대사령부 직제 일부개정령안입니다. 한글파일자료첨부합니다. ◆ 국방부 공고 제2010 - 111호 「해병대사령부 직제」를 일부 개정함에 있어 국민에게 미리 알려 의견을 듣고자 그 개...
    Date2010.09.06 Views4972
    Read More
  17. 해병혼의 조각가

    필자는 한 학년이 1개의 반으로만 구성된 시골벽지의 초등학교에 다녔다. 당시 훌륭한 선생님을 만날 수 있었던 것이 내 인생의 큰 행운이었다. 2005년 작고하신 고(故) 이희수 선생님은 필자의 초등학교 5, 6학년 담...
    Date2010.09.06 Views4290
    Read More
  18. 군 복무가 행복한 이유 - 이영주

    우리는 삶의 이유나 목표를 설명할 때 가족이나 건강, 부, 명예 등의 기준을 제시한다. 이 조건은 우리 삶에서 중요한 가치가 될 수 있지만 모든 것들은 결국 ‘행복’한 삶으로 직결된다. 이러한 행복의 기준을 고려하...
    Date2010.09.05 Views3241
    Read More
  19. 장교부인이 갖춰야 할 것

    내 남편은 대한민국 해병대 소령이다. 결혼 후 우리 부부는 늘 주말 부부였다. 결혼한 지 10년이 됐지만 서로 얼굴을 맞대고 함께 지낸 시간은 얼마되지 않는다. 맞벌이를 하기 때문에 항상 떨어져 지내 온 것이다. ...
    Date2010.09.02 Views5161
    Read More
  20. 서해5도·NLL방어 해군·해병대 전력 시급히 증강해야

    交戰守則강화만으론 NLL이 수호되는 것은 아니다. konas.net / written by 김성만(재향군인회 자문위원, 前 해군작전사령관) 김태영 국방장관은 24일 국회 국방위 답변에서 “북한이 북방한계선(NLL) 너머로 포사격을 ...
    Date2010.08.26 Views335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 28 Next
/ 2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