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1.25 10:35

아! 연평도

조회 수 234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첨부

[이철호 중앙일보 논설위원]

 

17258.jpg연평도가 북한에 공격당했다. 1953년 휴전 이후 우리 영토를 직접 포격한 것이다.
북한 해안포가 쏜 100여 발의 정밀 조준 포격에 의해 해병대원 서정우 병장과 문광욱 이병 등 2명이 전사했고 민간인을 포함해 19명이 다쳤다. 도하 각 신문의 1면에 실린 시커멓게 타오르는 연평도 사진이 가슴 아프다.

중동 전쟁터에서나 보았던 끔찍한 장면이 우리 눈앞의 현실로 펼쳐진 것이다. 북한이 어떤 변명을 해도 통할 수 없다. 이는 대한민국에 대한 직접 도발이자, 민간인 거주 지역에 대한 무차별 공격이다. 민간인 지역 공격은 전시(戰時)에도 국제법이 금지하고 있는 전범(戰犯) 행위다.

  필자는 마지막 군 생활을 강원도 화천군의 2군단 직할 한 포병대대에서 보냈다. 155㎜ 곡사포 부대였다. 북한과 직선 거리가 10㎞ 남짓 떨어진 최접경 포병부대였다. 당시 155㎜ 포의 사정거리는 22㎞였으니, 전쟁이 일어나면 ‘너 죽고 나 죽고’식의 대포병사격을 할 수밖에 없었다. 북한의 좌표를 향해 항상 차려포 상태로 방렬(放列)했다가 수없이 진지 이동훈련을 한 것이 지금도 생각난다. 물론 지금은 K9 자주포까지 등장했으니 낡은 기억에 불과할지 모른다.

 그런 필자의 옛 경험에 비춰봐도 연평도 사태에서 가장 놀란 것은 오히려 북한이 아닐까 싶다. 미리 정밀 조준 포격을 했지만 그 결과에 북한도 경악했을 것이다.

군대 시절 포 사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초탄(初彈)이라고 수없이 들었다. 그런데 군 당국 발표에 따르면 북 해안포들은 숱한 포탄을 바다에 떨어뜨렸다. 해병 자주포 진지를 과녁으로 삼았지만 K9 자주포의 대응사격을 받았다. 북한의 포탄은 애꿎은 호프집과 민가에도 떨어졌다. 북한 스스로 자신들의 형편없는 포 사격 솜씨에 당황했을 게 분명하다.

 연평도 사태를 둘러싸고 국내 일부에서 제기하는 근거 없는 의문에는 답답한 느낌이 든다. 우리가 첫 대응 포격을 하기까지 13분이나 걸렸다고 따지는 것은 한심하기까지 하다. 물론 포병의 생명은 신속·정확이다. 그럼에도 필자는 엄청나게 빠른 대응이라고 생각한다. 미리 준비된 상태라면 3분도 안 돼 대응사격이 가능했을 것이다.

그러나 적의 기습으로 포탄이 날아들기 시작하면 가장 먼저 포병이 하는 일이 진지 이동이다.

포심지에서 500여m 이상 벗어나야 대응사격이 가능하다. 이후 좌표 잡고, 상부에 보고한 뒤 사격 명령이 내려오기까지 역순으로 되짚어 보면 연평도 해병포대의 대응은 오히려 매우 기민했다고 봐야 할 것 같다.

 이제 북한이 어떤 도발을 해 올지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아야 할 것이다.

잠수정으로 천안함을 몰래 공격하거나 서해5도 인근 해상에 포 공격을 해온 것과는 전혀 다른 도발을 해 왔다.

앞으로 3대 세습 과정에서 북한이 또 무슨 짓을 할지 모른다.

여기에 우리 군이 수동적으로 끌려 다녀서는 안 된다. 대한민국의 영토를 유린하고 국군과 민간인을 살상하면, 결연하게 즉각적이고 충분한 응징에 나서야 할 것이다. 그것이 연평도에서 전사한 두 해병 대원을 잊지 않는 우리 모두의 의무가 아닐까.

newsty@empas.com


TAG •

  1. No Image

    ‘해병대 정신’ 다시 세우라 - 문화일보 사설

    강화도 해병대 해안 소초에서 4일 발생한 총기난사 사건은 국민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김정일의 잦은 도발에 맞서며 서해영토를 지켜온 해병대에서 병사 4명이 동료 사병의 총기난사로 숨진 사건은 1990년대 ...
    Date2011.07.05 Views2511
    Read More
  2. 7연대 장병문예공모전 우수작

    7연대 장병문예공모전 우수작 출처 : 7연대 카페 멧돼지동산
    Date2011.07.03 Views3966
    Read More
  3. ‘싸우면 이기는’ 해병대, 날개 달다

    전황기 해병대사령부 중령 [6월, 당신을 기억하겠습니다] ⑤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창설 배경과 의미 과거부터 서북도서와 NLL 부근에서는 크고 작은 북한의 도발 위협이 지속되었고, 그때마다 우리 해병대는 이를 지키...
    Date2011.06.30 Views2437
    Read More
  4. No Image

    해병대 독자성 강화 기대된다

    <기호일보 사설 2011.6.28>마침내 해병대조직법, 군인사법, 군수품관리법 등 3개 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되면서 해병대는 명실상부한 법적 지위 및 독자성이 대폭 강화됐다고 한다. 작년 북한의 천안함 폭침 사건...
    Date2011.06.30 Views1973
    Read More
  5. No Image

    조용하지만 강한 ‘제주도 해병대’

    서인직 해군제주방어사령부 본부대 상병 / 제주일보 대부분의 사람들은 제주도에 해병대가 있다는 사실을 잘 모른다. 그리고 전투와는 한참 먼 후방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제주도는 도민들의 10분의 1이 해병대 출...
    Date2011.06.25 Views4620
    Read More
  6. 해병대 쌍룡합동상륙훈련

    박세봉 상병 해병대1사단 / 국방일보 2011.6.22 여명을 가르는 장갑차와 전차 소리에 훈련이 시작됐음을 깨달았고 바다를 가르는 독도함의 뱃고동 소리에 이 훈련의 웅장함을 새기게 됐다. 이렇게 2011년도 ‘쌍룡 1-1...
    Date2011.06.22 Views3424
    Read More
  7. 서북도서방위사령부에 거는 기대 - 동아일보 시론 김태현

    15일 해병대를 모체로 하고 육해공군을 망라한 합동참모부를 갖춘 서북도서방위사령부(서방사)가 창설됐다. 이 조치는 군사적 전략적으로 중대한 의미가 있다. 첫째, 당연한 말이지만 서해5도 지역의 방위전력을 크게...
    Date2011.06.16 Views2644
    Read More
  8. 서북도서 방위사령부 창설 이후 과제

    문화일보 / 이갑진 전 해병대사령관 게재 일자 : 2011-06-14 14:00 지난해 11월23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이 일어난 지 7개월 만에 서북도서방위사령부(서방사)가 15일 창설된다. 해병대 사령관이 지휘하는 서방사...
    Date2011.06.14 Views2619
    Read More
  9. 6월을 맞아 동작동 국립 현충원을 찾았다 - 임종린

    임종린(시인, 전 해병대사령관) 우리국민 그 누구도 죽음 앞에서는 자신을 통제하기 쉽지 않을 것이다. 특히 푸른 유니폼을 입고 있거나 입었던 사람들에게는 헌신해 왔던 천직의식이 값어치를 샘할 수 없을 정도로 ...
    Date2011.06.05 Views2932
    Read More
  10. 현빈 출연금지령 - 박성진

    <박성진의 군이야기> ‘한류 스타’ 김태평 이병(29·현빈)을 보기가 무척이나 힘이 듭니다. 현빈은 5월26일 열린 제47회 백상예술대상에서 ‘시크릿가든’으로 TV부문 대상을 수상했지만 영상으로만 인사를 대신했습니다....
    Date2011.06.01 Views3830
    Read More
  11. 손원일 제독이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 - 임성채

    임성채 - 해군역사기록관리단 편찬과장 지난 28일은 해군을 창설한 고(故) 손원일 제독 탄생 102주년이 되는 날이다. ‘우리 민족이 번영할 수 있는 지름길은 바다에 있 다’고 예지한 손 제독은 해방 직후인 1945년 11...
    Date2011.05.30 Views3660
    Read More
  12. No Image

    조선일보 사설 - 해병대 수뇌 5명 중 3명 관련된 음해사건의 충격

    조선닷컴 입력 : 2011.05.29 23:40 군 검찰은 유낙준 해병대 사령관(중장)을 음해한 혐의로 해병대 박모·홍모 소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해병대 소장 4명 중 2명이 형사처벌 대상으로 떠오른 것은 충격적이다...
    Date2011.05.30 Views2313
    Read More
  13. 미국의 비밀무기

    <유용원 / 조선일보 군사전문기자 ·한국국방안보 포럼 기조실장> 지난 5월 초 미국의 빈 라덴 사살작전 때 몇 장의 헬기 잔해 사진이 전세계 군사전문가들의 주목을 받았다. 미군은 이번 작전에 그동안 존재가 알려지...
    Date2011.05.24 Views14511
    Read More
  14. 천안함 장병은 영웅이었는데 연평도 해병들은…”

    북한에 의한 연평도 포격 사건이 있던 지난해 11월 23일, 연평도에서 근무하던 최주호 예비역 해병병장은 세가지 소중한 것들을 잃었다. 하나는 함께 생활해온 전우이자 해병 1088기 故 서정우 하사. 그리고 다른 하...
    Date2011.05.24 Views2463
    Read More
  15. 해병대 장륜식준전차의 도입필요

    <자주국방네트워크 독야청청님 게시글> 며칠 전 해군과 해병대의 연대급 상륙훈련이 있었습니다. 함정과 항공기, 그리고 전차와 상륙장갑차 등이 동원되었는데요. 많은 사람들이 아쉬워 하는 것 중 하나는 상륙작전 ...
    Date2011.05.23 Views352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