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소령 윤시영

 009.jpg 요즈음 유행하는 말이 공정한 사회 건설이다. 우리는 공정한 사회를 자유롭고 창의적인 사회, 개천에서 용이 나는 사회, 사회
적 책임을 지는 사회, 사회 지도자급 특히 기득권자들이 지켜야 할 기준이라 말한다.
공정한 사회의 3가지 정의 중 자유롭고 창의적인 사회는 어떻게 이룩할 수 있고 개천에서 용이 나는 사회는 어떠해야 할까?
개천은 우리말로 도랑이다. 시냇물이 졸졸졸 흐르는 도랑인데 여기서 용이 난다는 것은 너무나 큰 비약이다. 그러나 이 말은 환경이 어려워도 열심히 노력하면 큰 인물이 될 수 있다는 의미로 가난한 사람 여건이 어려운 사람에게 큰 희망을 가지게 하는 속담이다.
공정한 사회에서 개천에서 용이 나는 사회는 조직 구성원 누구에게나 하면 된다는 희망과 기회를 부여하는 의미이고, 자유롭
고 창의적인 사회는 조직 내 사람과 사람사이에서 개인의 역량을 최대한으로 발휘해 조직의 힘을 극대화한다는 의미이다. 그럼 이 두 가지가 기본이 되는 것은 무엇일까. 바로 소통이다. 조직 구성원 개인 간의 원활한 소통이 되어야 기회도 생기고 개인의 역량이 최대한으로 발휘될 수 있다. 소통이 되지 않는 사회는 희망이 없는 사회이며, 조직에서 개인의 역량은 발휘될 수 없다.
소통의 사전적 의미는 막히지 않고 잘 통함, 뜻이 서로 통하여 오해가 없음이다. 우리가 생활하면서 소통이 되지 않는 경우는 어
떤 경우가 있을까? 상급자의 지시에 하급자가 무엇을 해야 될지 몰라서 헤매는 경우, 하급자의 보고에 상급자가 화가 나는 경
우, 조직 간의 갈등, 모두 소통이 잘 되지 않는 경우이다.
사람은 말로만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 아니다. 말은 물론 신체적인 언어이며, 또한 의사소통의 도구가 된다. 따라서 언어 이외
의 요소를 이해하지 못하면 상대방의 진심을 놓칠 수도 있다.
심리학자 앨버트 메러라안은 전체 의사소통의 7%만이 언어로 이루어지고 음조나, 억양, 말투가 38%, 표정과 몸짓, 자세 등
시각적인 요소가 55%를 차지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이것은 곧 커뮤니케이션의 93%는 비언어적 형태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는 서로의 호감도에 따라서 많이 결정된다는 의미이다. 어떤 보고서를 똑같이 보고했는데 A라는 사람은 “응 그래 잘 했어”라는 말을 듣고 B라는 사람은 “야 이게 뭐냐”라는 말을 듣는 경우가 있다. 같은 보고서가 호감도의 차이에 의해 다르게 평가되어 지는 것이다.

조직에서 상·하급자가 호감을 가지고 있으면 그 조직은 200%의 역량을 발휘한다. 상호 호감을 가지고 있으므로 하급자는
궁금하면 질문을 해서 상급자 의도를 정확히 파악해서 일을 처리할 수 있고 또 상급자가 좋으므로 업무도 신이 나서 공세적, 적극적으로 업무를 수행한다. 그럼 상급자는 하급자가 더 마음에 들고, 칭찬을 해주게 되고, 또 잘못된 사항이 있어도 잘 가르쳐주게 되며, 하급자는 더 열심히 일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좋은 분위기가 형성될 때 조직의 힘은 최대로 발휘되고 창의적인 업무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조직 구성원간 호감이 형성되지 않고 악호감이 형성되면, 하급자는 능력이 있어도 상급자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해, 또 야단을
맞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업무를 소극적으로 하게 된다. 상·하급자가 서로 맘에 들지 않으므로 상호간의 소통은 있을 수가 없
다. 소통이 없는 사회에서 조직의 역량이 발휘되기를 바라는 것은 태평양 바다에서 사막이 생기기를 바라는 것과 같다. 그럼 조직 구성원 상호간 호감을 가지고, 원활한 소통을 이루면서 조직의 응집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은 각자 어떻게 해야 할까?
조직사회에서 상급자가 하급자보다 강자이다 그럼 강자와 약자가 뚜렷하게 존재하는 사회에서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질까? 한마디로 터놓고 이야기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터놓고 이야기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을 위해서는 첫 번째 상급자는 리더십을 잘 발휘해야 한다. 리더십에 대한 수많은 연구
와 논문이 있지만 리더십은 책을 본다고 되는 것이 아니고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잘 따르면 되는 것이다. 명확하게 지시하고, 따뜻한 정을 주고, 부담없이 대하면 된다. 그럼 아랫사람이 따르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하급자는 열심히 해야 한다. 열심히 하는데 상급자의 의도에 맞게 해야 한다. 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 속은 모른다고 한다. 옆에 사는 아내 속도 모르겠는데 어떻게 상급자 속을 알겠는가? 물어봐야 한다. 부담이 된다고, 자꾸 야단치니까 이런 저런 사유로 수세적으로 일을 하면 상황은 호전될수가 없다. 공세적으로 해야 한다. 상·하가 이렇게만 되면 자연스럽게 신뢰가 구축되고, 소통은 하지 말라고 해도 자연스럽게 된다.
조직 구성원의 역량을 최대한 끌어내어 조직성과를 창출하려면 소통이 이루어져야 한다. 서로 존중하고 사랑하면 되는 것이
다. 따뜻한 마음을 가지고 서로 아껴줄 때 조직은 역량이 최대한 발휘된다.<해병대지 36호>


TAG •

  1. No Image

    ‘해병대 정신’ 다시 세우라 - 문화일보 사설

    강화도 해병대 해안 소초에서 4일 발생한 총기난사 사건은 국민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김정일의 잦은 도발에 맞서며 서해영토를 지켜온 해병대에서 병사 4명이 동료 사병의 총기난사로 숨진 사건은 1990년대 ...
    Date2011.07.05 Views2511
    Read More
  2. 7연대 장병문예공모전 우수작

    7연대 장병문예공모전 우수작 출처 : 7연대 카페 멧돼지동산
    Date2011.07.03 Views3966
    Read More
  3. ‘싸우면 이기는’ 해병대, 날개 달다

    전황기 해병대사령부 중령 [6월, 당신을 기억하겠습니다] ⑤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창설 배경과 의미 과거부터 서북도서와 NLL 부근에서는 크고 작은 북한의 도발 위협이 지속되었고, 그때마다 우리 해병대는 이를 지키...
    Date2011.06.30 Views2437
    Read More
  4. No Image

    해병대 독자성 강화 기대된다

    <기호일보 사설 2011.6.28>마침내 해병대조직법, 군인사법, 군수품관리법 등 3개 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되면서 해병대는 명실상부한 법적 지위 및 독자성이 대폭 강화됐다고 한다. 작년 북한의 천안함 폭침 사건...
    Date2011.06.30 Views1973
    Read More
  5. No Image

    조용하지만 강한 ‘제주도 해병대’

    서인직 해군제주방어사령부 본부대 상병 / 제주일보 대부분의 사람들은 제주도에 해병대가 있다는 사실을 잘 모른다. 그리고 전투와는 한참 먼 후방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제주도는 도민들의 10분의 1이 해병대 출...
    Date2011.06.25 Views4620
    Read More
  6. 해병대 쌍룡합동상륙훈련

    박세봉 상병 해병대1사단 / 국방일보 2011.6.22 여명을 가르는 장갑차와 전차 소리에 훈련이 시작됐음을 깨달았고 바다를 가르는 독도함의 뱃고동 소리에 이 훈련의 웅장함을 새기게 됐다. 이렇게 2011년도 ‘쌍룡 1-1...
    Date2011.06.22 Views3424
    Read More
  7. 서북도서방위사령부에 거는 기대 - 동아일보 시론 김태현

    15일 해병대를 모체로 하고 육해공군을 망라한 합동참모부를 갖춘 서북도서방위사령부(서방사)가 창설됐다. 이 조치는 군사적 전략적으로 중대한 의미가 있다. 첫째, 당연한 말이지만 서해5도 지역의 방위전력을 크게...
    Date2011.06.16 Views2644
    Read More
  8. 서북도서 방위사령부 창설 이후 과제

    문화일보 / 이갑진 전 해병대사령관 게재 일자 : 2011-06-14 14:00 지난해 11월23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이 일어난 지 7개월 만에 서북도서방위사령부(서방사)가 15일 창설된다. 해병대 사령관이 지휘하는 서방사...
    Date2011.06.14 Views2619
    Read More
  9. 6월을 맞아 동작동 국립 현충원을 찾았다 - 임종린

    임종린(시인, 전 해병대사령관) 우리국민 그 누구도 죽음 앞에서는 자신을 통제하기 쉽지 않을 것이다. 특히 푸른 유니폼을 입고 있거나 입었던 사람들에게는 헌신해 왔던 천직의식이 값어치를 샘할 수 없을 정도로 ...
    Date2011.06.05 Views2932
    Read More
  10. 현빈 출연금지령 - 박성진

    <박성진의 군이야기> ‘한류 스타’ 김태평 이병(29·현빈)을 보기가 무척이나 힘이 듭니다. 현빈은 5월26일 열린 제47회 백상예술대상에서 ‘시크릿가든’으로 TV부문 대상을 수상했지만 영상으로만 인사를 대신했습니다....
    Date2011.06.01 Views3830
    Read More
  11. 손원일 제독이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 - 임성채

    임성채 - 해군역사기록관리단 편찬과장 지난 28일은 해군을 창설한 고(故) 손원일 제독 탄생 102주년이 되는 날이다. ‘우리 민족이 번영할 수 있는 지름길은 바다에 있 다’고 예지한 손 제독은 해방 직후인 1945년 11...
    Date2011.05.30 Views3660
    Read More
  12. No Image

    조선일보 사설 - 해병대 수뇌 5명 중 3명 관련된 음해사건의 충격

    조선닷컴 입력 : 2011.05.29 23:40 군 검찰은 유낙준 해병대 사령관(중장)을 음해한 혐의로 해병대 박모·홍모 소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해병대 소장 4명 중 2명이 형사처벌 대상으로 떠오른 것은 충격적이다...
    Date2011.05.30 Views2313
    Read More
  13. 미국의 비밀무기

    <유용원 / 조선일보 군사전문기자 ·한국국방안보 포럼 기조실장> 지난 5월 초 미국의 빈 라덴 사살작전 때 몇 장의 헬기 잔해 사진이 전세계 군사전문가들의 주목을 받았다. 미군은 이번 작전에 그동안 존재가 알려지...
    Date2011.05.24 Views14511
    Read More
  14. 천안함 장병은 영웅이었는데 연평도 해병들은…”

    북한에 의한 연평도 포격 사건이 있던 지난해 11월 23일, 연평도에서 근무하던 최주호 예비역 해병병장은 세가지 소중한 것들을 잃었다. 하나는 함께 생활해온 전우이자 해병 1088기 故 서정우 하사. 그리고 다른 하...
    Date2011.05.24 Views2463
    Read More
  15. 해병대 장륜식준전차의 도입필요

    <자주국방네트워크 독야청청님 게시글> 며칠 전 해군과 해병대의 연대급 상륙훈련이 있었습니다. 함정과 항공기, 그리고 전차와 상륙장갑차 등이 동원되었는데요. 많은 사람들이 아쉬워 하는 것 중 하나는 상륙작전 ...
    Date2011.05.23 Views352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