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서.jpg<경북제일신보 김종서 취재국장>연평도 북한 피격 사태 이후 해병대 증강계획이 구체화 되는 가운데 포항의 해병대 교육훈련단의 중요성도 배가되고 있다.

포항시민들은 해병대 교육과정이 ‘진짜 사나이’를 만드는 극한의 단련과정임을 잘 알고 있다.
해병대 훈련병이라면 누구나 한번은 거쳐가는 천자봉 행군은 ‘해병대 자격’을 상징하는 난코스이다.

대송면 대각동에 있는 운제산 대왕암까지 24km를 20kg이 넘는 완전군장을 하고 마라톤 하듯 행군을 한다.
행군을 마친 훈련병들은 “해냈습니다”를 외치면서 감격의 눈물을 흘리기도 한다. “귀신 잡는 해병이 되고 싶어서” 자원입대한 훈련병들이 포항의 산천을 누비면서 ‘대한민국 전략기동부대’로 길러지는 것이다.

포항의 해병 1사단은 ‘귀신 잡는 해병’의 요람인 동시에 일손 돕기에 적극 나서는 대민지원단이다. 해병대 1사단 예하 21개 부대 장병들은 송라·장기면 등 포항지역 14개 면·동 주민들에게 벼 베기·과일수확·비료운반·비닐하우스 철거 등도 적극 지원하고 있다.

특히 고령층이 집중되어 있는 오지 마을을 우선 선정해 적극 지원해주고 있다.
전국에서 해병이 된 ‘패기의 젊은이’들이 포항지역 대민지원에도 온갖 정성을 쏟고 있다.
그런데 해병대 교육단이 있는 포항에 몰려든 지원병들은 최근 포항 사람들이 내건 슬로건에서 ‘절망’을 느꼈을 것이다.

동해면 특우회가 내건 ‘6전단 박살내자’는 슬로건은 수취인을 잘못 선정한 ‘오발탄’이다.
본보는 포스코 신제강 공장의 비행고도 위반 문제의 귀책 사유는 포항시에 있음을 분명히 지적했다.
해병 1사단과는 아무런 관련성이 없는 문제를 따진다며 국방부 앞에서 시위를 벌이고 ‘포항을 떠나가라’는 구호를 외친 것은 천박한 지역이기주의의 표현에 다름 아닌 것이다.

최근 정부당국자는 “지난 1월 북한이 포항과 울산 등 후방 산업도시 타격 시나리오를 검토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또 “포항·울산에 대한 공격 시나리오 검토는 잠수함 등을 동원해 혼란을 가중시키는 전술에 따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대담한 도발을 획책하는 북한의 포항 공격 시나리오 검토는 전혀 터무니없는 것이 아니다. 포스코가 자리잡은 철강산업단지를 해병 1사단이 철통 같이 지켜주고 있다는 것은 고마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한 해병대의 중요성과 고마움을 포항시민들은 지금이라도 똑똑히 알아야 한다.
해병대 연평부대가 실탄 사격훈련을 실시한 지난 20일 하루 내내 긴박했다.
포항시민들은 TV속보를 지켜보면서 북한의 대응사격 으름장을 깔아뭉개고 우리 군의 의지를 보여준 것에 뜨거운 지지를 보내기도 했다.

그러나 지역 한편에서는 신제강공장 가동을 위해 비행장 활주로가 확장 될 것이라는 언론 보도가 있자 ‘6전단을 박살내자’는 터무니 없는 문구의 플래카드가 내 걸려 충격과 실망감을 동시에 주었다.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에서 직격탄을 맞은 해병대가 사즉생의 응징 의지를 보여 우리나라 안보 자존심을 되찾았다고 볼 수 있다.
서해 5도를 방어하는 해병 2사단의 동향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하는 도시가 바로 포항이다.

포항에 해병 1사단이 있음으로 원산~나진까지의 동해지역에 무려 15만 명의 북한군을 묶어놓고 있다고 국방전문가들이 분석했기 때문이다.
포항의 1사단 교육훈련단은 귀신 잡는 해병대의 산실이다. 지원병으로 구성되는 해병대의 특성에 비춰볼 때 포항 교육훈련단의 움직임이 신세대들 애국심의 높고 낮음을 측정하는 바로 미터가 되기도 한다.

올 들어 가장 추웠던 지난 15일 포항시 해병대 교육훈련단 각개 전투 훈련장은 매서운 찬바람이 불어 체감 온도 영하 16도를 기록했다.
K-2소총의 총열이 얼어버릴 듯한 맹추위 속에서 1129기 훈련병들은 낮은 포복자세를 로봇처럼 반복했다.

971명을 선발하는 1129기 해병모집에 지원자는 3488명. 3.57 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한다.
특히 가장 힘들다는 수색병과에는 11명 모집에 231명이 지원해 21 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는 것이다.

그동안 “신세대들의 안보교육이 잘못됐다”는 걱정과 우려가 굉장히 많았지만 이번 신세대들이 보여준 애국심과 패기는 선배세대들의 걱정을 덜어주었다.
우리 젊은이들이 국가를 위해 사생 결단으로 훈련 받는 모습을 자주 지켜보는 동해주민들이 활주로 확장과 무관한 6전단을 박살내자는 이기적 발상을 한데 대해 부끄럽게 생각하라는 것이다.

노무현 정부가 서해를 남북공동의 ‘평화수역’으로 만들겠다며 서해 5도의 해병대 병력을 계속 감축했다고 한다. 노무현식 국방개혁은 국방개악으로 스스로 무장해제를 추구하는 이적행위도 서슴치 않았다.
위험천만한 좌파정권이 교체되지 않았다면 서해 5도는 물론이고 우리의 안방까지 내줄 뻔 했다.

이명박 정부의 국방선진화 추진위는 서해지역의 긴장 상황에 대한 대비책으로 해병대 1개 여단을 증강하는 건의안을 만들었다는 보도가 나왔다. 서해안에 상륙부대 주둔지 ‘제2의 포항’을 만들어 휴전선에 집중된 북한군 전력 분산을 노리겠다는 것이다.

해병 1사단은 포항의 자랑이요, 국군의 대표 간성이다.
포항 시민들은 서해 5도 뿐만아니라 우리나라 안보를 책임지고 북한의 도발의지를 분쇄하는 해병대에게 남다른 성원을 보내야 한다.


  1. 어느 겨울날의 반쪽사랑

    E-러닝 콘텐츠 매너저 서재희 이젠제법 쌀쌀해져 함박눈이 한바탕 쏟아질 기세의 하늘이다. 이럴 때면 나는 뽀송뽀송한 목도리를 작은 목에 칭칭 감고, 빨갛게 얼어버린 양쪽 귀에 이어폰을 끼고 조용하면서도 애틋한...
    Date2010.05.31 Views2909
    Read More
  2. No Image

    별...그리고 희망!

    별... 그리고 희망! 예) 병장 전재호 하루의 과업이 끝나는 시간. 피곤한 몸을 이끌고 잠자리에 살포시 기대어 봅니다. 고개를 돌려보니 반쯤 열린 차창 밖으로는 어느새 짙은 어둠이 세상을 잠재우고 있습니다. 푸르...
    Date2010.05.31 Views2996
    Read More
  3. No Image

    퇴 역 (退役)

    퇴 역 (退役) - 원사 노재문 勇年佳洽血 혈기 왕성한 아름다운 청년이여 (용년가흡혈) 邦若送先任 그대에게 나라를 맡기노니 (방약송선임) 守土梅香置 지키던 조국 정만 남겨 놓고서 (수토매향치) 山鄕老沁尋 어느새 ...
    Date2010.05.31 Views2950
    Read More
  4. 거닐다보면

    대위 이기훈(2008) 거닐다 보면 참 많은 생각이 난다. 길가에 발로 차이는 돌멩이가 어릴적 던지고 놀았던 돌멩이로 변하며 난 추억 속으로 돌아간다. 동네 형들과 뛰놀며 산과들을 누비고 다니던 소싯적의 시절이 오...
    Date2010.05.31 Views2754
    Read More
  5. No Image

    배려 - 강진식

    우연한 기회가 되어 우리 동네의 조그만 성당엘갔다. 그날따라 외부 초빙 신부님의 강론이 있던 날이다. 키도 작고, 짧게 깎은 흰 머리가 꽤 인상적이었다. “이 성당 강 신부님은 몇 분 동안 강론을 하시지요?...10분...
    Date2010.05.31 Views3011
    Read More
  6. No Image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이 되는 법

    서영만 - 해병대를 사랑하는 서포터스입니다. 자신의 힘이 이 세상에서 제일이라고 생각하는 헤라클레스가 어느 날 아주 좁은 길을 가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한참을 가다보니 길 한 가운데에 사과 크기만 한 이상한 ...
    Date2010.05.31 Views2803
    Read More
  7. 추억을 만드는 작업

    상병 황 재 웅 인생에서‘젊음’이라 불리 우는 단어를 서투르게 끄적이고 있을 때면, 내 머릿속 언저리에 숨어있던 군대라는 녀석은 나를 항상 힐끗 쳐다보고 있었다. 언젠가 저찝찝하기 만한 녀석을 처리하려 벼르고 ...
    Date2010.05.31 Views2362
    Read More
  8. 해군과 해병대는 같은 뿌리

    창군 원로 손원일 제독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 제6대 해병대사령관 공정식 금년 ’09년 기축(己丑)년은 창군 원로이며 우리 해군의 아버지이신 손원일 제독의 탄생 100주년을 맞는 해이다. 또 해병대가 창설된 지 60...
    Date2010.05.31 Views10334
    Read More
  9. No Image

    해병대와 독도함에 날개를 - 유용원

    해병대 항공전력 확보 필요성을 강조한 제 칼럼입니다. 국방일보 2007년7월19일자에 실린 칼럼입니다. -------------------------------------------------------------------------------------------------------- ...
    Date2010.05.30 Views2648
    Read More
  10. No Image

    세계최강 해병대 와 특전사

    몇년전에 올려진 글로 읽으신 글도 많이 있겠지만 자료를 다시 올리는 중이니 다시 한번 읽어보는 것도 좋을듯 합니다. 저도 자료 올리며 예전의 글들을 다시 모두 읽어보고 있는 중입니다. 2004 년 03 월 01 일 (통...
    Date2010.05.30 Views2969
    Read More
  11. 그땐 몰랐어지

    일병 서보국 2008년 4월 28일, 나는 자랑스러운 해병의 아들로 태어나기위해 해병대 교육훈련단에 당당히 입소했다. 7주간의 혹독한 훈련과 미칠 듯한 그리움을 견뎌내며 오른쪽 가슴에 해병의 상징, 피와 땀이 묻은 ...
    Date2010.05.26 Views2842
    Read More
  12. 한국군 파병의 발자취를 더듬어보며

    한국군 파병의 발자취를 더듬어보며 박 형 건 월남의 어제와 오늘 나는 월남전에 소대장(1965), 중대장(1970)으로 두 번참전한 경험이 있다. 이번에 다시 월남 땅을 밟은 것은 37년 만이었으니 감개무량하지 않을 수 ...
    Date2010.05.26 Views1677
    Read More
  13. No Image

    도솔산의 전우

    도솔산의 전우 海里/姜明漢 "김상사님, 아까 남대문에서 우연히 마주쳤을 때는 정말 놀랐습니다. 군복만 까맣게 물들여 입었을 뿐, 일선에서 같이 전투했을 때와 조금도 다르지 않더군요." "나도 깜짝 놀랐어. 그래 ...
    Date2010.05.23 Views2665
    Read More
  14. 백두산 천지에 태극기를 휘날리는 해병대가 되길...

    한국통일진흥원장 양태호 해병대가 진해 덕산 비행장에서 1949년 4월15일 창설된지 올해로 60년이 되었다. 지난 60년의 세월동안 소수의 병력과 열악한 환경속에서 온갖 고충을 겪으면서도, 국가의 위기시 마다 가장 ...
    Date2010.05.20 Views1757
    Read More
  15. 해병대 창설 제60주년을 경축하며…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총장 황희융 나라가 위기에 처할 때마다 가장 선봉에 서서 국민을 지켜준 국민의 군대 대한민국해병대가 60년의 세월이 흘러 이제 회갑의 역사를 맞이하게 됨을 국방정책 전문인력을 양성하...
    Date2010.05.20 Views1444
    Read More
  16. 상륙전, 가장 결정적이고 치명적인 공격

    지난11월 6일 포항시 북구 송라면 독석리 해안에서 한·미 해병 병력 8천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대규모 사단급 상륙훈련이 실시됐다. 이날 훈련에는 우리 해군의 독도함(1만8천 톤급)을 포함한 함정27척과 각종 항공기...
    Date2010.05.20 Views2399
    Read More
  17. No Image

    대한민국 해병대의 건승을 기원하며

    더 강한 모습으로 세계 속에서 대한민국의 자랑으로 더욱 발전해주십시오. 그런 모습을 충분히 보여주고 계신 바로 해병대 여러분께 전 국민의 한사람으로 또 해병대를 사랑하는 한 사람으로 감사드립니다. 한동대학...
    Date2010.05.20 Views1676
    Read More
  18. 시작하는 소대장을 위하여

    교육단 공격전술교관 소령 전덕구 (2007년 해병대지) 해병대소대장에게 자기 요구되는 리더십은 무엇입니까? 교육단의 소부대 전술교관으로서 초군반 학생들을 만나 첫 수업을 하면서 Ice breaking time을 이용한 한 ...
    Date2010.05.20 Views3096
    Read More
  19. 세계사속 해병대 해병, 그들은 누구인가?

    군사전문가 계 동 혁 해병 중의 해병으로 평가받으며 향후 무궁한 발전 가능성을 갖춘 대한민국 해병대. 그들은 대한민국 국가안보의 첨병이자 최후의 보루다. PC방, 프로게이머, e-sport 탄생의 촉매이자 이미10년 ...
    Date2010.05.20 Views5419
    Read More
  20. No Image

    해병대를 위한 기도

    김한식 : 전 국방대학원교수, 정치학박사, ROTC(1기) 예비역장교 우리의 생각을 다 아시는 하나님! 지금까지 지내온 우리의 삶을 돌이켜 봅니다. 죽음의 세력이 수없이 우리를 스쳐 지나갔던 지난 일들을 기억합니다....
    Date2010.05.18 Views209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Next
/ 2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