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타임즈]현빈이 군인중의 군인인 해병대원이 되기 위해 해병대를 지원하여 합격했다.
   22786_11257_4024.jpg

▲ 허평환/전 국군기무사령관 예비역육군중장,현 남북평화통일연합 회장


29세의 늦깍이 이지만 지난해 12월 24일 실시한 체력테스트에서 30점 만점에 29점을 받았다.  팔굽혀펴기 50회를 하여 15점 만점을 받았고 윗몸일으키기를 1분에 57회를 하여 14점을 받았다.

현빈이 군에 입대하는 것은 그  차체만으로도 우리 국민들에게는 하나의 신선한 충격이 아닐 수 없다.  나아가 신병훈련과정이 혹독하고 평소 근무환경이 열악하며 전시에는 가장 위험한 전투지역에서 전투하는 해병대를 지원했다는 것은 너무나 자랑스럽고 대견한 일이다.        
사실 그동안 우리 사회 일각에서는 병역기피 현상이 있어 온 것이 사실이다.  군에 가더라도 조금이라도  편안한 보직을 받으려고 갖은 줄을 대기도 했다.  그러나 현빈과 같은 유명한 젊은이들이 솔선해서 군 복무를 자청하고 그것도 가장 힘들고 위험한 임무를 수행하는 군을 선택하면 우리 대한민국은 그만큼 더 잘 지킬 수 있게 되고 더 자랑스러운 나라가 된다.  

벌써 현빈 신드롬이 나타나고 있다. 
이달 들어 육해공군의 모집병 지원율이 과거보다 두 세배씩 늘어났다고 한다.  참으로 자랑스럽고 대견하며 우리 대한미국의 미래가 그만큼 밝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사회 지도층들이 자신이 해야 할 국민적 임무를 솔선해서 할 때 자신은 더 대우를 받을 수 있게 되고 그 국가는 더 발전하게 되는 것이다. 
 
미국 역대 대통령 중 미국인으로부터 가장 존경과 사랑을 받는 대통령은 케네디 대통령이다.  케네디청년은 척추 디스크가 심하여 군에 갈 수가 없었다.  그러나 그는 집안 아저씨 빽을 동원하여 척추디스크에도 불구하고 해군에 입대했고 가장 위험한 어뢰함정 근무를 자청하여 복무했다.  아이젠하워 대통령 아들도 6.25전쟁에 참전했다.  모택동도 아들을 6.25전쟁에 참전시켰고, 그 아들은 6.25전장에서 전사했다. 그런데 그동안 우리 지도자들은 어떠했는가?  우리의 유명한 젊은이들은 어떠했는가?   

2004년 필자가 사단장을 하고 있을 때 전역하는 어느 한 병사로부터 한 통의 편지를 받았다.  제목은 "사단장님 감사합니다."였다.  내용인즉 자신은 정말 군에 가기 싫었는데 가지 않으면 병역 기피자가 되어 정상적으로 살 수 없기 때문에 할 수 없이 억지로 군에 왔다는 것이다. 그런데 군복무를 마치고 사회로 나가는 지금 생각하니 군에 온 것이 너무나 큰 행운이었고 너무나 감사하다는 것이었다. 

군복무를 통하여  강인한 육체적 건강을 갖게 해 주어 감사하고 윗사람을 대하고 동료를 대하고 아랫사람을 대하는 인간관계를 배우게 해 주어 감사하며  무엇 보다 조국의 안보 현실을 알게 해 주어 감사하다고 했다.  그렇다.  우리의 젊은이들이 군복무를 하는 동안 썩는 것이 아니다.  사회에서 배우지 못하고 얻지 못하는 너무나 소중한 것을 배우고 얻게 되는 기간이다.  또 그것이 자신뿐만 아니라 국가 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 된다. 
 
수년전 미국의 어느 저명한 대학교수가 한국이 단시일 내에 경이적인 발전을 이룬 동력이 바로 모든 젊은 청년들이 의무 복무하는 한국의 군복무제도 때문이라는 진단을 내린 것을 보았다.   김태평. 현빈 그대는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도발을 겪으면서 망연자실한 우리 국민들에게 긍지와 자신감을 갖게 하고 희망과 용기를 갖고 다시 뛸 수 있는 힘을 준 이 시대 우리 모두의 자랑스러운 영웅이며 위대한 대한의 남아입니다.


TAG •

  1. No Image

    병영문화 혁신의 제고

    해병대지 40호 / 중령 황용선 ○사단 7.4 총기 사망사고의 발생은 시사점이 크다. 해병대는 명예와 자부심에 큰 손상을 받았고, 군내·외적으로는 커다란 파장을 일으 켰다. 병영문화 혁신은 2000년 이전에 사고예방 및...
    Date2011.12.11 Views3819
    Read More
  2. 해병대의 권한과 사기 및 전력 증강 초점

    [국회보 2011년 12월호] 해병대의 권한과 사기 및 전력 증강 초점 국군조직법 개정법률 국군조직법에 따르면, 우리 군은 육군·해군·공군의 3군으로 조직되고, 해병대는 해군 소속이다. 해병대의 지휘·감독 권한도 해...
    Date2011.12.10 Views3047
    Read More
  3. No Image

    [야고부] 해병대

    북한의 연평도 도발로 해병대가 부각되는 것 같지만, 과거에는 이보다 훨씬 더했다. 타군과는 차별적인 복장과 두발, 군기 때문만이 아니다. 해병대는 역사적 격변기마다 등장해 뉴스의 초점이 돼왔다. 6`25전쟁과 월...
    Date2011.11.27 Views3516
    Read More
  4. 아직 숙제가 많은 해병대 - 유용원

    조선일보 입력 : 2011.11.22 23:02 유용원 군사전문기자 "국가 전략기동부대로는 육군 1개 기동군단보다 해병대를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지난 17일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열린 제11회 해병대 발전 국제 ...
    Date2011.11.25 Views2892
    Read More
  5. 절치부심의 1년 “우리는 준비됐다”

    서봉수 중령 해병대연평부대 포병대대장 전사불망 후사지사(前事不忘 後事之師)란 말이 있다. 이는 “과거의 일을 잊지 않는다면, 이후의 일도 잘 이루어질 것이다”라는 말이다. 벌써 적이 연평도 포격도발을 자행한 ...
    Date2011.11.22 Views42481
    Read More
  6. <리뷰> 北 연평도 포격도발 1년

    연이은 평화 깬 도발에 우린 이겼고, 또 이기리라 / 국방일보 2011.11.22 해병대 연평부대 K-9 자주포가 지난해 11월 23일 북한의 포격도발 직전 해상 목표물을 향해 포탄을 발사하고 있다. 국방일보 DB 대한민국 영...
    Date2011.11.21 Views4270
    Read More
  7. <르포> 北 포격도발 1년… 연평도를 가다

    각종 시설 새로 교체… 상흔 일부 간직 K-9·벌컨포 배치 등 전력 대폭 강화 / 국방일보 지금도 남아 있는 북한의 기습포격 피해 현장. 연평도 포격전 전승기념관(위). 7중대 포상(아래) 해병대 연평부대 장병들이 가상...
    Date2011.11.21 Views2373
    Read More
  8. 해병 1000명 증강… 방어작전서 도발지 응징 거점으로

    서북도서 전력 어떻게 바꿨나 / 서울신문 “단 한 뼘의 영토, 풀 한 포기도 내줄 수 없다.” 북한의 연평도 포격 1주년(23일)을 앞두고 김관진 국방장관이 18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1주년에 즈음하여’라는 제목의...
    Date2011.11.19 Views3297
    Read More
  9. 공부의 신이 말하는 수능 공략법

    구본석 일병 / 해병대6여단 마라톤을 포함한 모든 육상 경기를 보면 기본적으로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막판 스퍼트다. 각 선수는 자기 페이스를 조절하기 위해서 처음부터 필사적으로 달리지 않는다....
    Date2011.11.10 Views2805
    Read More
  10. No Image

    [스크랩] 해병대 여러분께 드리는 글

    저는 현역 육군 대위(포병)으로서 현재 일본에서 유학중인 사람입니다. 현역인 관계로 성명과 소속을 밝히지 못 한점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한동안 떠들석했던 특수전 계시판이 잠시 소강상태에 들어간것 처럼 느껴지...
    Date2011.11.07 Views2777
    Read More
  11. 해군·해병대, 상륙 기동헬기 운용권 갈등

    입체적 상륙작전에 꼭 필요, 2016년까지 40대 도입 예정… 해군 "한대도 넘길 수 없다" <조선일보 유용원기자> 해병대사령부가 모체(母體)가 된 서방사 창설의 가장 큰 취지 중 하나는 지난해 11월 북한의 연평도 포격...
    Date2011.11.01 Views2771
    Read More
  12. 소중한 인연 그리고 해병대 

    병영문화 혁신의 생활화·신념화 해병대교육훈련단 장병 소감문 / 국방일보 2011.10.25 김영삼병장 사람이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는 말이 있다. 군대는 전국 방방곡곡에서 이름도 얼굴도 처음 보는 사람들이 모여 동...
    Date2011.10.24 Views3744
    Read More
  13. 해병대 지휘관리 개선 법안 시행 - 보도자료

    - 해군 소위가 해병소위로 임관, 해병대 사령관 명의의 전역증 발급 - 합동참모회의에 해병대 관련 사항 심의 시 해병대사령관도 구성원으로 투표권 행사 - 해병대 복무기록 정본, 38년 만에 해병대사령부로 이관 ❍ ...
    Date2011.10.14 Views3487
    Read More
  14. 헬기타고 백령도 해병대 국감장에 가보니....

    해병대사령관, 해군본부 국감 배석하다 단독국감받아 뿌듯 해병대 인사ㆍ예산 독립 강화 속 “아직은 갈 길 멀다”목소리 천안함 46용사가 심청이처럼 부활해 남북화합의 연꽃이 된다면… 4일 오전 백령도 해병대 제6여...
    Date2011.10.05 Views3257
    Read More
  15. 강한 국군 그리고 더 큰 대한민국

    김상민 이병 해병대2사단 포병연대 빨간 날만이 특별한 날처럼 여겨지는 요즘 검은 날이지만 나에겐 특별한 10월의 첫째 날을 생각해본다. 2011년 10월 1일은 건군 제63주년 대한민국 국군의 날로 6·25전쟁 당시 전쟁...
    Date2011.09.29 Views167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