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736.jpg
연평도 포격도발 시 대응 사격을 준비하는 해병대원

◆토의 주제◆
주제 1:군인정신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지 얘기해 보자.
주제 2:군인정신을 확립하고 실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토의해 보자.

 지난해 11월 26일, 신문에 공개된 사진 한 장이 큰 화제가 되었다. 바로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 시 해병대원 한 명이 활활 타오르는 불길과 시커먼 연기에 둘러싸인 K-9 자주포에 올라 적 진지를 향해 반격을 준비하고 있는 장면의 사진이었다.

 자주포 바로 옆에는 살을 태울 듯한 화염이 피어 오르고, 매캐한 연기는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할 정도로 자욱하게 피어 올랐다. 진지 주변 곳곳에 적의 포탄이 떨어져 파편이 튀고, 고막을 찢을 듯한 포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해병대원은 자주포에 올라 대응사격을 준비하고 있었다.

 연평부대원들은 당시 아비규환(阿鼻叫喚)의 현장에서 두려움을 느꼈을 것이다. 하지만 부대원들은 극한 상황 속에서도 적 진지를 향해 본능적으로 즉각 대응사격을 했다. 일부 장병은 불길이 방탄모에 옮겨 붙어 큰 부상을 입을 뻔했지만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대응사격에만 집중했다. 해병대원들의 이 같은 행동에 대해 국민들은 응원의 박수를 보냈고 믿음직스러운 모습에 격려와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이처럼 자신의 생명이 위협받는 상황 속에서 군인의 본분을 다할 수 있었던 이유는 과연 무엇이었을까? 이는 평소 강한 교육훈련과 병영생활 속에서 군인정신을 체득하고, 이를 행동으로 옮겼기 때문이다. 그럼 군인정신이란 무엇인가?

  군인에게는 개인의 이익이나 목적보다는 군대 조직의 목표를 우선하고, 유사시에는 조국을 위해 생명까지도 바칠 수 있는 희생이 요구된다. 군인정신은 이러한 극한 상황 속에서도 기필코 임무를 완수해야 하겠다는 마음가짐이다.

 군인복무규율에는 군인정신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군인정신은 전쟁의 승패를 좌우하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러므로 군인은 명예를 존중하고 투철한 충성심, 진정한 용기, 필승의 신념, 임전무퇴(臨戰無退)의 기상과 죽음을 무릅쓰고 책임을 완수하는 숭고한 애국애족(愛國愛族)의 정신을 굳게 지녀야 한다.”(제2장 강령 제4조 제3항)

  군인정신은 이와 같은 6대 요소로 함축할 수 있으며, 해병대원들의 위험을 무릅쓴 대응도 군인정신을 내면화함으로써 평소부터 체득된 군인정신이 행동으로 표출된 것이다.

  12척의 배로 133척의 왜군을 물리친 명량해전의 신화는 어떻게 가능했을까? 그 해답은 민족의 성웅 이순신 장군의 ‘필생즉사 필사즉생(必生則死 必死則生)’이라는 명언을 통해 알 수 있다. 즉, “살고자 하면 죽을 것이요, 죽기를 각오하면 살 수 있다”는 생각과 행동으로 전투에 임했던 결과 기적적인 승리를 이루어 낼 수 있었다.

 “아랍은 전쟁에 져도 나라를 잃지 않지만 우리 이스라엘은 패배하면 모든 게 끝장이다”라고 했던 벤구리온 수상의 말 또한 전쟁에서 이기겠다는 신념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보여주고 있다. 바로 이런 정신이 바탕이 된 결과 이스라엘은 아랍과의 전쟁에서 상대적인 전력의 열세를 극복하고 단 6일 만에 승리를 얻을 수 있었다.

 병력과 장비·무기체계가 비록 열세했지만 싸워 이기겠다는 강한 의지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첨단 무기가 등장하는 현대전과 미래전에서도 전쟁 수행의 주체가 바로 인간이기 때문에 군인정신의 중요성은 변치 않을 것이다. 이처럼 군인정신은 시대를 초월하여 군인으로서 견지해야 할 가장 소중한 가치이며, 전승을 보장하는 핵심요소라고 말할 수 있다.

 아울러 군인정신 체질화는 자기 발전의 초석이다. 군인정신은 극한 상황을 극복하고 부여된 사명을 완수하기 위해 꼭 필요한 덕목이다. 따라서 이 같은 덕목을 군 생활을 통해 내면화한다면 전역 후 어떤 어려움도 극복하고 성공적인 사회생활을 펼쳐나갈 수 있을 것이다. “군대 갔다 오더니 사람이 확 바뀌었다”는 말은 외적인 측면은 물론이고 내적으로 성숙한 모습을 두고 하는 말이다.

 군인의 사명은 평시에는 전쟁을 억제하고 유사시에는 적과 싸워 반드시 승리하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군인이 존재하는 이유이며, 이는 진정한 군인정신으로 무장되었을 때 비로소 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지금 당장 적이 도발해 오더라도 기필코 싸워 이기겠다는 굳은 각오로 자신의 임무를 완수할 수 있도록 군인정신을 신념화하고 생활화해 나가자.

<국방부 국방교육정책관실>



  1. 특별부대와 특수부대

    1946~48년 군수·특수부대 잇따라 창설 / 국방일보 2008.03.12 건군기 육군은 조선경비대 시기에 창설한 특별부대인 보급부대와 육군 개편 이후에 설치한 특수부대인 유격부대를 운용했다. 보급부대는 1946년 7월 1일 ...
    Date2011.04.28 By운영자 Views6242
    Read More
  2. 현충일의 제정

    평화에 대한 열망에도 불구하고 전쟁은 개인적인 호악(好惡) 여부와 무관하게 역사상 피할 수 없는 현실로 존재했다. 6·25전쟁 역 시 한국인의 모든 삶을 일시에 혼란과 고통의 나락으로 내몬 비극이었다. 그러나 자...
    Date2011.04.28 By운영자 Views3792
    Read More
  3. 부사관(하사관)제도의 발전

    전문간부 양성 차원 지원제도 강화 / 국방일보 2008.12.24 국군의 부사관(당시 하사관이라 칭함) 제도는 건군기 당시부터 존재해 왔다. 현역병에서 선발해 사단 하사관교육대에서 교육 후 하사로 임관했는데, 당시 병...
    Date2011.04.28 By운영자 Views5869
    Read More
  4. No Image

    군인 등의 특수근무수당에 관한 규칙 (2011.4.1 일부개정)

    [별표_1]_특수업무수당의_지급대상_및_지급액(제3조제2항관련).hwp [별표_2]_특수업무수당의_지급대상_및_지급액(제3조제2항관련).hwp 군인 등의 특수근무수당에 관한 규칙 [시행 2011. 4. 1] [국방부령 제734호, 201...
    Date2011.04.25 By운영자 Views5153
    Read More
  5. No Image

    장군 수 2020년까지 ‘60개의 별’ 줄어들어

    [경향신문 국방개혁안 Q&A] 장군 수 2020년까지 ‘60개의 별’ 줄어들어 / 박성진 기자 ㆍ작전 지휘는… 합참의장 휘하 각 군 총장이 맡아 국방개혁 307계획이 나온 배경은 2015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에 대비해 군 조직...
    Date2011.04.20 By운영자 Views4448
    Read More
  6. 육군항공작전사령부 창설식

    육군항공작전사령부가 1999년 4월 20일 경기도 이천에 있는 사령부에서 창설식을 갖고 있다. 육군항작사의 창설은 각 제대별 로 분산돼 있던 항공전력을 통합·운용함으로써 육군항공 조직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현존 ...
    Date2011.04.20 By운영자 Views6937
    Read More
  7. 국산 T-50훈련기 `수출 날개' 달았다

    印尼, 한국 T-50 우선협상대상 선정 첫 해외 수출 유력…총 4억 달러 규모 / 2011.04.13 글=이주형·사진=이헌구 기자 국내 개발한 초음속 항공기 T-50의 인도네시아 수출길이 열렸다. 또한 미국ㆍ러시아ㆍ영국ㆍ프랑스...
    Date2011.04.12 By운영자 Views5681
    Read More
  8. No Image

    작전 중심의 전투조직 전환 `전격 S계획'

    국방개혁 307계획 / 국방일보 2011.04.06 ‘국방개혁 307계획’은 국방개혁 기본계획의 변경을 위한 지침적 성격의 문서다. 이를 기초로 우리 군은 당면한 현존 위협과 가용 재원, 법적·제도적 쟁점들을 면밀히 고려해 ...
    Date2011.04.05 By운영자 Views4519
    Read More
  9. No Image

    軍 명령·규칙 위반 처벌조항 또 `합헌'

    헌법재판소는 군에서 발령된 명령·규칙을 따르지 않으면 징역·금고형으로 처벌하게 한 군형법 조항이 죄형법정주의에 어긋난다며 육군 보통군사법원이 제청한 위헌법률심판 사건에서 재판관 4(합헌)대 4(위헌) 의견으...
    Date2011.04.05 By운영자 Views4097
    Read More
  10. 군 복무 가산점은 최소한의 국가적 책무다

    우리 사회에서 ‘군 복무 가산점’ 제도와 관련한 문제는 여전히 뜨거운 감자처럼 사회적 논란의 중심에 있다. 국가가 젊은이들의 헌신에 보답해야 할 책임이 있다는 주장과 양성평등에 어긋난다는 주장이 첨예하게 대...
    Date2011.04.04 By운영자 Views7129
    Read More
  11. 국방개혁 논쟁 [중앙일보 찬반토론]

    국방부가 추진 중인 국방개혁안을 두고 찬반 논란이 뜨겁다. 특히 지휘구조 개편안에 대해 군 안팎의 비판 여론이 들끓는다. 오른쪽 사진은 지난 연말 국방부에서 열린 업무보고. 위쪽부터 이상우 선진화추진위원장, ...
    Date2011.04.01 By운영자 Views4528
    Read More
  12. No Image

    국군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

    의안원문 : 1810762_의사국 의안과_의안원문.hwp 1810762_의사국 의안과_의안원문.pdf 검토보고서 : 1810762_국방위원회_검토보고서.10762 국군조직법, 해병대 독립(정미경.신학용의원).hwp 1810762_국방위원회_검토...
    Date2011.03.30 By운영자 Views5105
    Read More
  13. No Image

    군수품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

    의안원문 : 1810763_의사국 의안과_의안원문.hwp 1810763_의사국 의안과_의안원문.pdf 검토보고서 : 1810763_국방위원회_검토보고서.10763 군수품관리법, 해병대 독립(신학용.정미경의원).hwp 1810763_국방위원회_검...
    Date2011.03.30 By운영자 Views4044
    Read More
  14. No Image

    국방개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의안원문 : 1810764_의사국 의안과_의안원문.hwp 1810764_의사국 의안과_의안원문.pdf 검토보고서 : 1810764_국방위원회_검토보고서.hwp 1810764_국방위원회_검토보고서.pdf 2011년 3월 3일 제298회 국회(임시회) 제1...
    Date2011.03.30 By운영자 Views1951
    Read More
  15. No Image

    군인사법 일부개정법률안

    신학용의원등 21인이 2011년 2월 10일 공동제안한 군인사법 일부개정법률안입니다. 의안원문 : 1810765_의사국 의안과_의안원문.hwp 1810765_의사국 의안과_의안원문.pdf 검토보고서 : 1810765_국방위원회_검토보고서...
    Date2011.03.30 By운영자 Views4153
    Read More
  16. No Image

    신병 면회제도 개선 - 국방부 보도자료

    - 신병훈련 수료시 가족면회 시행 - 국방부는 지난 ‘98년이후「신병 군인만들기」계획에 의거 폐지되었던 신병훈련 수료시 면회를 1차신병훈련(5주)후 영내에서 실시하기로 하였음 「신병훈련 수료시 가족면회」를 시...
    Date2011.03.30 By운영자 Views5173
    Read More
  17. 군 구조의 기본에 대한 이해<하>반성과 미래구상

    김국헌 前 국방부 정책기획관·(예)육군소장 군 구조를 설계하는 데 있어서 반드시 지켜야 할 원칙이 있다. 지휘통일의 원칙이다. 1993년에 나온 미 육군의 작전요무령은 냉전구조의 붕괴에 따른 전략환경의 붕괴와 걸...
    Date2011.03.29 By운영자 Views4631
    Read More
  18. 군 구조의 기본에 대한 이해 <중>

    군 구조에 관한 논의에 있어서 아쉬운 것은 기본적인 개념, 용어에 대한 합의가 없이 구구한 논란만 하고 있다는 것이다. 기본에 대한 공감대 없이 이뤄지는 논의는 무의미하다. 이 글은 군 구조를 논의하는 데 있어 ...
    Date2011.03.28 By운영자 Views477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 17 Next
/ 1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