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병준.jpg

이근원(왼쪽)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이 지난 24일 고 황병준 하사의 유가족 자택에서 ‘호국의 영웅 귀환행사’를 하며 호국의 얼 함을 전달하고 있다. 사진 국방부 제공

 

6·25전쟁 당시 조국을 지키다 전사한 국군 전사자가 73년 만에 가족의 품으로 돌아갔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 단장 이근원)은 2010년, 2017년 경상북도 영덕군 우곡리 일대에서 발굴된 6·25전쟁 전사자 유해의 신원을 국군 제3사단 소속 고(故) 황병준 하사로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신원확인은 전사자들의 병적자료 등을 바탕으로 유가족을 찾아가는 기동탐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국유단 기동탐문관은 고인의 병적자료에서 본적지를 경상북도 의성군으로 확인한 후 의성군의 제적등본 기록과 비교하여 고인의 조카로 추정되는 황태기 님(72세)을 2022년 10월에 방문하여 유전자 시료를 채취하였고 채취한 유해와 유가족의 유전자 시료를 정밀 분석하여 가족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고인의 유해를 가족의 품으로 모실 수 있게 됐으며, 이는 유해발굴을 개시한 이후 215번째로 신원이 확인된 사례이다.

고인의 유해는 고인의 희생과 헌신의 흔적을 끈기 있게 추적해 온 후배 장병들에 의해 수습되었다.

지난 2010년 3월경 국유단과 해병 1사단 장병 100여 명이 6·25전쟁 당시 개인호로 추정되는 지역에서 가로로 줄지어 늘어선 뒤 경사면을 따라 발굴을 하던 중 머리뼈, 위팔뼈 등을 수습하였으며, 이후 2017년 3월, 1차 발굴지점 기준 약 10m 떨어진 곳에서 아래턱뼈를 수습하였다.

고(故) 황병준 하사는 국군 제3사단 소속으로,「경북 영덕 전투」(1950. 7. 19. ~ 8. 17.)에 참전 중 전사하셨다.

1929년 9월,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에서 4남 1녀 중 둘째로 태어난 고인은 큰형이 일제 강점기 때 강제 징용되자 어린 시절부터 부모님을 도와 함께 농사를 지으며 집안을 챙기면서 생계를 이어갔다. 또한 유가족에 따르면 고인은 입대 직전에 약혼을 한 후 약혼녀에게 ‘꼭 살아 돌아올 테니 결혼해 아들딸 낳고 잘살자’라고 약조하며 눈물로 이별을 했다고 전했다.

1950년 5월, 부산에 있는 제3사단 23연대에 입대한 고인은 전쟁이 발발하자 경북 울진으로 이동하여 1950년 7월경「울진-영해 전투」에 참전하여 북한군 남하를 저지한 이후 1950년 7월 19일부터 8월 17일까지 「영덕 전투」에 참전 중 안타깝게도 1950년 8월 14일, 20세의 나이로 장렬히 전사하셨다.

「영덕 전투」는 동해안의 영덕 일대에서 국군 제3사단이 부산으로 진출하려는 북한군 제5사단을 저지하고 반격작전의 발판을 마련한 전투이다.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는 어제(8월 24일) 대구광역시 동구에 있는 유가족의 자택에서 열렸다.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는 6·25전쟁으로 당시 산야에 묻혀 계셨던 ‘전사자를 찾아 가족의 품으로 모시는 행사’이다.

행사는 유가족 대표에게 고인의 참전 과정과 유해발굴 경과 등에 관한 설명을 하고, 신원확인 통지서와 함께 호국영웅 귀환패, 유품 등이 담긴「호국의 얼 함(函)」을 전달하며 위로의 말씀을 전하는 순서로 진행됐다.

고인의 신원이 확인되었다는 소식에 조카 황태기 님(72세)은 “70여 년이 지난 시점에서라도 늦었지만 삼촌의 유해를 찾게 되어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라며 “삼촌과 같이 나라를 위해 희생한 영웅들을 끝까지 찾아서 예우해주는 국가에 감사하며 앞으로도 많은 유해를 찾아 가족으로 품으로 전해주셨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6·25 전사자 신원확인을 위해 국민 여러분의 동참이 절실합니다.

전국 어디에서나 가능한 유전자 시료 채취는 6·25 전사자의 유가족으로서, 전사자의 친·외가를 포함해 8촌까지 신청 가능하며, 제공하신 유전자 정보를 통해 전사자의 신원이 확인될 경우 1,000만 원의 포상금이 지급됩니다.

6·25전쟁 후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참전용사와 유가족의 고령화 등으로 인해 유가족 찾기는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발굴된 유해의 신원확인을 위한 ‘시간과의 전쟁’을 벌이고 있는 만큼,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관심과 동참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국유단 탐문관들은 각지에 계신 유가족을 먼저 찾아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으며 유전자 시료 채취를 희망하고 계시지만 거동 불편, 생계 등으로 방문이 어려우신 유가족께서는 대표번호 1577-5625 (오! 6·25)로 언제든 연락 주시면 직접 찾아뵙고 유전자 시료를 채취해 드립니다. 여러분들도 '유(YOU)가족'일 수 있습니다. 



  1. 해군, 2023 네이비 위크(NAVY WEEK 행사 개최

    해군, 2023 네이비 위크(NAVY WEEK 행사 개최 11월 8일부터 12일까지 해군은 11월 8일부터 12일까지 전국 8개 지역에서 해군 창설을 기념하고 국민과 함께하는 『2023 네이비 위크(NAVY WEEK)』 행사를 개최합니다. ...
    Date2023.11.08 Views6162
    Read More
  2. 김승겸 합참의장, 중부전선 최전방 GP '결전태세' 현장점검

    김승겸 합참의장, 중부전선 최전방 GP '결전태세' 현장점검 김승겸 합참의장이 중부전선 최전방 GP에서 DMZ 완전작전 수행을 위한 현장의 행동화 위주 작전수행태세를 점검하고 있다. <사진 합참 페이스북> 김승겸 합...
    Date2023.11.07 Views6063
    Read More
  3. “영국·콜롬비아 참전용사 유해 6위 대한민국에 안장된다” 보훈부, 유해 봉환식 8일 인천국제공항서 거행

    6·25전쟁에 참전한 영국과 콜롬비아 참전용사들의 유해 6위(位)가 세계 유일의 유엔묘지인 부산 유엔기념공원에 안장된다. 유엔 참전용사들의 유해는 8일(수)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대한민국에 도착하면 국가보훈부 주...
    Date2023.11.07 Views6202
    Read More
  4. 2023년 국제군인요리대회 개최

    한국·미국·싱가포르군 조리병 간 경쟁을 통해 최고의 조리병을 선발하는 2023년 국제군인요리대회 본선 경연이 11월 7일(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센터, 서울 양재동)에서 개최된다. 국제군인요리대회는 2019년...
    Date2023.11.07 Views6220
    Read More
  5. 2023년 후반기 장성급 장교 인사 단행....육군 7명·해군 2명·공군 3명 중장 진급

    정부는 11월 6일부로 '23년 후반기 장성급 장교 인사를 단행했다. 이번 인사는 중장 이하의 진급 선발과 주요직위에 대한 보직인사로, 육군소장 곽종근을 특수전사령관, 이진우를 수방사령관,박정택·박후성·주성운을 ...
    Date2023.11.07 Views6798
    Read More
  6. 국방첨단전략산업의 ‘숨은 진주’를 발굴하다

    방위사업청(청장 엄동환)은 11월 3일(금) 국방첨단전략산업의 주요 정책으로서 미래 방위산업을 선도할 혁신기업을 발굴하는 방산혁신기업 100 프로젝트(이하“방산혁신기업 100”) 의 2차 년도 선정기업 17개사에 대하...
    Date2023.11.05 Views7101
    Read More
  7. 신원식 국방부장관, ‘대비태세 확립’ 작전지휘관회의 주관

    신원식 국방부장관은 11월 2일(목), ‘대비태세 확립’ 작전지휘관회의를 주관하며, 전군 작전지휘관들에게 적의 전술적 기습도발에 대한 확고한 군사대비태세를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는 국방부 및 합참 주요직위자들...
    Date2023.11.05 Views6950
    Read More
  8. 제40·41대 공군참모총장 이·취임식 거행

    10월 31일(화), 제41대 공군참모총장 이영수(56세, 공사 38기) 대장 취임식과 제40대 공군참모총장 정상화(59세, 공사 36기) 대장의 이임 및 전역식이 거행됐다. 신임 공군참모총장 이영수 대장은 제17전투비행단장, ...
    Date2023.10.31 Views9965
    Read More
  9. 제50•51대 육군참모총장 이•취임식 거행

    31일 제50대 육군참모총장 박정환 대장의 이임 및 전역식과 제51대 육군참모총장 박안수 대장의 취임식이 계룡대 대연병장에서 거행됐다. 박안수 신임 육군참모총장은 취임사에서 “평시 전쟁을 억제하고 유사시 적과 ...
    Date2023.10.31 Views9599
    Read More
  10. 2023년 11월의 6‧25전쟁영웅, 장진호 전투 등 참전한 ‘미 해병 부자(父子)’ 선정

    2023년 11월의 6‧25전쟁영웅, 장진호 전투 등 참전한 ‘미 해병 부자(父子)’ 선정 - 필드 해리스 중장(父)과 윌리엄 프레데릭 해리스 중령(子) - 국가보훈부(장관 박민식)는 “6‧25전쟁 당시 장진호 전투 등에 참전해 ...
    Date2023.10.31 Views9504
    Read More
  11. 국군방첩사령부 방첩의 신(神) GO 앱

    국군방첩사령부 방첩의 신(神) GO 앱 7월 1일 출시
    Date2023.10.31 Views9493
    Read More
  12. 제36대•37대 해군참모총장 이•취임식 거행

    제36대•37대 해군참모총장 이•취임식이 10월 31일 오후 신원식 국방부장관 주관으로 계룡대 대연병장에서 거행됐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 주관으로 거행된 36대·37대 해군참모총장 이·취임식에는 군 주요 지휘관과 해...
    Date2023.10.31 Views9273
    Read More
  13. 해군작전사령부 캐릭터 공모전 공모안내

    해군작전사령부는 2023년 10월 26일부터 11월 30일까지 대한민국 누구나 참가할 수 있는 캐릭터 공모전을 개최하고 있다. 공모주제는 1) 부산지역과 어우러지는 작전사와 캐릭터 이미지, 20 대한해협해전, 한미협력 ...
    Date2023.10.31 Views6515
    Read More
  14. 국방부 정부혁신우수사례 카드뉴스

    국방부 정부혁신우수사례 카드뉴스
    Date2023.10.30 Views6145
    Read More
  15. 북경 향산포럼 계기 한중 국방차관회담 개최

    김선호 국방부차관은 제10차 북경 향산포럼 참석을 위한 중국 방문 계기에 10월 29일 오후 징젠펑 중국 연합참모부 부참모장(공군중장)과 국방차관회담을 개최했다. 중국 국방부는 차관(부부장) 직위가 없으며, 중앙...
    Date2023.10.30 Views596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204 Next
/ 20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