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에 함께 참전해 적군과 싸우다 전사한 ‘호국의 형제’ 고 최상락(형) 하사·최임락(동생) 일병이 73년 만에 넋으로 만나 국립대전현충원에 나란히 잠들었다. 

 

23일 오전 국립대전현충원에서 박안수 육군참모총장 주관으로 유가족, 국방부 인사기획관, 군 주요 인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고 최상락 하사와 고 최임락 일병의 안장식을 엄수했다.

 

행사는 먼저 현충관에서 영현입장을 시작으로 고인에 대한 경례, 유해발굴 경과 및 참전전사 보고, 추모사, 종교의식, 헌화 및 분향을 실시하고 묘역으로 이동하여 두 형제의 고향인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흙으로 허토를 한 후 조총 및 묵념 등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부득이하게 안장식에 참석하지 못한 신원식 국방부장관의 서신을 인사기획관이 유가족에게 전달하였다.

 

국립현충원 내 6·25전쟁 전사자 형제 묘역을 조성한 것은 이번이 다섯 번째이다.

호국의 형제 안장 사례

- 1호 안장 : '11. 6. 6. / 국립서울현충원 / 故 이만우(형) 하사와 故 이천우(동생) 이등중사

- 2호 안장 : '15. 6. 4. / 국립서울현충원 / 故 강영만(형) 하사와 故 강영안(동생) 이등상사

- 3호 안장 : '23. 6. 6. / 국립서울현충원 / 故 김봉학(형) 일병과 故 김성학(동생) 일병

- 4호 안장 : '23. 6. 28. / 국립제주호국원 / 故 허창호(형) 하사와 故 허창식(동생) 하사

- 5호 안장 : '23. 11. 23. / 국립대전현충원 / 故 최상락(형) 하사와 故 최임락(동생) 일병

 

이번 안장식은 6·25전쟁 당시 두 형제의 숭고한 헌신에 대한 예우 차원에서 ‘호국의 형제’라고 명명하여 거행하였다.

 

 

아울러 이번에 조성된 ‘호국의 형제’ 묘가 국민 모두에게 영원히 기억되고 숭고한 정신을 일깨워 주는 호국보훈의 명소가 될 수 있도록 묘비 앞에 고인들의 동생이 쓴 추모글과 전투 경로 등이 새겨진 추모석을 설치하였다.

 

형, 고 최상락 하사는 1929년 4월, 울산광역시 울주군에서 6남 2녀 중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부터 부모님과 함께 농사를 지으며 실질적인 장남 역할을 한 든든한 아들이었다.

 

광복 이후 남·북한 사이의 긴장이 고조된 상황 속에서 동생들에게 자유롭고 평화로운 세상을 지켜주기 위해 1949년 2월, 사랑하는 부모님과 형제와의 이별도 마다하지 않고 부산에 있는 제5연대에 자진 입대하였다.

 

◦6·25전쟁이 발발하자 고인은 국군 제3사단 제23연대 소속으로 낙동강 방어 전선으로 이동하여 ‘울진-영해전투’에 참전하였다. 이후 동해안 최대의 병참기지인 경북 포항을 사수하기 위해 북한군 제5사단과 격전을 펼친 ‘영덕-포항전투’에 참전 중 1950년 8월, 21세의 꽃다운 나이로 장렬히 전사하였다.

 

동생, 고 최임락 일병은 1931년 1월, 셋째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열정적이고 책임감이 강하셨다. 어려운 환경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부산에 사시던 외당숙의 식당에서 일을 배우며 집안을 부흥시키겠다고 밤잠을 설쳐가며 일하던 중 전쟁이 발발하자 형의 뒤를 따라 1950년 8월, 부산에서 입대 후 미 제7사단 카투사로 배치되어 일본 요코하마에서 군사훈련을 받았다.

 

이후 인천상륙작전에 참가하여 인천과 서울 등을 수복하고 북진 작전에 합류하여 북한 함경남도 이원항에 상륙하여 ‘장진호 전투’에 참전 중 안타깝게도 1950년 12월, 19세의 젊은 나이에 전사하였다.

 

고 최임락 일병은 긴 세월 동안 북한지역에 잠들어 계시던 중 1995년 미국 하와이에 있는 미국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DPAA)에 인계되었다. 이후 한·미 양국의 끈질긴 노력으로 신원이 확인되었고, 올해 7월 현역 군인인 조카 최호종 해군 상사의 품에 안기어 대한민국 공군특별기(KC-330, 시그너스)를 타고 F-35A 전투기의 호위를 받으며 고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이번 행사를 주관한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은 “73년의 긴 세월을 이겨내고 두 분 호국의 형제님을 함께 모셔 넋을 기리는 뜻깊은 자리를 갖게 되었다”며, “선배님들의 핏값으로 오늘도 태극기가 창공에 휘날릴 수 있으며, 우리 대한민국이 세계 속의 선진강국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만큼, 선배님들의 고귀한 희생과 헌신이 헛되지 않도록 확고한 대적관으로 무장하고 매 순간 이기는 것이 습관이 되는 ‘자랑스러운 육군, 승리하는 육군’을 만들어 가겠다”라고 밝혔다.

 

비록 고인이 되셨지만 두 분의 형님을 함께 국립묘지에 모시게 된 막내 동생 최용(79세) 씨는 “8남매 중 막내인 저만 남았는데 이렇게 두 형님을 넋이라도 한 자리에 모실 수 있어 꿈만 같습니다.”라며 “어려운 과정을 거쳐 형님들을 호국보훈의 성지에 안장할 수 있도록 고생하신 모든 분께 감사드립니다.”라고 소회를 밝혔다. 



  1. 국가보훈부, 국가유공자 전용 온라인 즉시 대출 도입... 1월부터 시행

    “생활안정자금 이제 휴대전화 앱으로 신청하세요” ▲ 국가유공자 대부한도액 및 상환조건 국가유공자를 비롯한 보훈가족들에게 시행되고 있는 나라사랑대출 가운데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생활안정자금에 대한 온라...
    Date2024.01.13 Views7129
    Read More
  2. 신원식 국방부장관, 국방과학연구소를 방문 첨단 무기체계 개발 현장 점검

    “대량응징보복(KMPR) 작전 수행을 위한 첨단 감시정찰 및 초정밀·고위력 타격체계 개발에 박차” ▲12일 국방과학연구소를 방문한 신원식 국방부장관이 연구소 내의 순직 연구원 추모공간에서 그동안 첨단 무기체계 개...
    Date2024.01.13 Views6476
    Read More
  3. [2024년 방위사업청 정책 돋보기] 인공지능(AI) 과학기술로 전방지역 경계 강화된다

    ▲ 운영체계도 이미지 방위사업청 방위사업청(청장 엄동환)은 기존 일반 전방초소(General Out Post, 이하 GOP) 과학화경계시스템 대비 인공지능(AI) 영상분석 기능 및 탐지능력이 향상된 주·야간(열영상) 감시카메라 ...
    Date2024.01.10 Views8365
    Read More
  4. [2024년 방위사업청 정책 돋보기] 고해상도 전천후 군 정찰위성 2, 3호기 발사 예정

    방위사업청(청장 엄동환, 이하 방사청)은 425사업의 2, 3호 위성(SAR위성)을 올해 플로리다 케이프캐너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SpaceX의 Falcon-9 발사체를 이용하여 발사할 예정이다. 425사업 SAR위성은 주, 야간 악기...
    Date2024.01.10 Views7591
    Read More
  5. 김명수 합참의장, 롭 바우어 NATO 군사위원장과 공조통화

    합동참모본부는 김명수 합참의장이 1월 9일(화) 오후, 롭 바우어(Rob Bauer, 네덜란드 해군대장) NATO 군사위원장과 취임 후 첫 공조통화를 실시하여, 다음 주 개최 예정인 NATO 군사위원회 국방총장 회의 주요 의제,...
    Date2024.01.10 Views7168
    Read More
  6. 국방부장관, 드론작전사령부 방문, 압도적·공세적 작전태세 확립 강조

    신원식 국방부장관은 1월 8일(월), 드론작전사령부를 방문해 대비태세를 점검하고 장병들을 격려했다. 신원식 장관은 작전현황을 보고받는 자리에서 “북한은 한반도 정세 악화의 책임을 적반하장식으로 우리 측에 전...
    Date2024.01.08 Views8079
    Read More
  7. 국가보훈부, 새해 제대군인 전직지원금 10% 인상

    - 중기복무자 50만원 → 55만원, 장기복무자 70만원 → 77만원(각 10% 인상) - 보훈부, 2027년까지 고용노동부 구직급여의 50% 수준(99만원)으로 인상 계획 - 강정애 장관 “제대군인 지원은 제대군인과 현역군인의 사기...
    Date2024.01.07 Views8712
    Read More
  8. 전쟁기념사업회, <공조: HID와 해병대> 특별전

    ▲공조 : HID와 해병대 포스터 전쟁기념사업회(회장 백승주)는 28일(목) 전쟁기념관에서 6·25전쟁영웅 김동석·박정모 특별전 &lt;공조: HID(Headquarters of Intelligence Detachment)와 해병대&gt;를 개막했다. 이번 기획전...
    Date2024.01.07 Views7567
    Read More
  9. [2024년 방위사업청 정책 돋보기] 무기체계 소프트웨어, 맞춤형 절차 마련한다

    방위사업청(청장 엄동환)은 무기체계에서 소프트웨어의 비중과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24년에는 소프트웨어 중심 무기체계 획득을 위한 별도의 절차를 신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3...
    Date2024.01.07 Views6776
    Read More
  10. [2024년 방위사업청 정책 돋보기] 미래도전국방기술, ‘선택과 집중’ 추진방향 발표

    방위사업청(청장 엄동환)은 1월 5일 제4회 첨단기술사업관리위원회(이하 위원회)를 개최하여‘선택과 집중’이라는 투자전략을 토대로 전략적 우선순위에 따른 미래도전국방기술사업 재정비 및 룬샷 프로젝트(군이 전장...
    Date2024.01.07 Views6653
    Read More
  11. [2024년 방위사업청 정책 돋보기] 첨단산업화 지원을 위한 방산원가 개편 추진 한다

    방위사업청(청장 엄동환)은 최근 지능형 생산공장(스마트팩토리)의 방산 분야 도입과 소프트웨어 중심 무기체계로의 전환 등 방위산업 환경변화에 발맞춰 방산원가구조 개편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현행 방산원가는 생...
    Date2024.01.07 Views5880
    Read More
  12. [2024년 방위사업청 정책 돋보기] 디지털 트윈, 무기체계 미래를 디자인한다

    디지털트윈 개념도 &lt;사진 방위사업청&gt; 방위사업청(청장 엄동환)은 무기체계 연구개발에 디지털 트윈을 적용하기 위한 무기체계 디지털 트윈 활용 지침을 제정·발령하였다고 1월3일(수) 밝혔다. 엄동환 방위사업청장은...
    Date2024.01.07 Views5682
    Read More
  13. 2024년 달라지는 장병 복지정책

    2024년 달라지는 장병 복지정책
    Date2024.01.07 Views5569
    Read More
  14. 김여정 담화문에 대한 국방부 입장

    국방부는 1월 3일 김여정 담화문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김여정의 담화는 범죄자가 오히려 선량한 시민이나 경찰 때문에 범죄를 저질렀다고 핑계를 대는, 말도 안 되는 억지 주장이며 궤변에 불과하며, 우리 군은 확...
    Date2024.01.06 Views6049
    Read More
  15. 신원식 국방부장관 주관 하 서북도서부대 해상사격훈련 재개

    ▲ 지난 5일 오후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예하 해병대6여단이 서북도서 일대에서 전개한 해상 사격훈련에서 K1E1 전차가 화염을 내뿜으며 포탄을 발사하고 있다. 사진 국방부 국방부는 1월 5일(금) 15:00부터 서북도서방...
    Date2024.01.06 Views583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202 Next
/ 20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