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에 함께 참전해 적군과 싸우다 전사한 ‘호국의 형제’ 고 최상락(형) 하사·최임락(동생) 일병이 73년 만에 넋으로 만나 국립대전현충원에 나란히 잠들었다. 

 

23일 오전 국립대전현충원에서 박안수 육군참모총장 주관으로 유가족, 국방부 인사기획관, 군 주요 인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고 최상락 하사와 고 최임락 일병의 안장식을 엄수했다.

 

행사는 먼저 현충관에서 영현입장을 시작으로 고인에 대한 경례, 유해발굴 경과 및 참전전사 보고, 추모사, 종교의식, 헌화 및 분향을 실시하고 묘역으로 이동하여 두 형제의 고향인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흙으로 허토를 한 후 조총 및 묵념 등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부득이하게 안장식에 참석하지 못한 신원식 국방부장관의 서신을 인사기획관이 유가족에게 전달하였다.

 

국립현충원 내 6·25전쟁 전사자 형제 묘역을 조성한 것은 이번이 다섯 번째이다.

호국의 형제 안장 사례

- 1호 안장 : '11. 6. 6. / 국립서울현충원 / 故 이만우(형) 하사와 故 이천우(동생) 이등중사

- 2호 안장 : '15. 6. 4. / 국립서울현충원 / 故 강영만(형) 하사와 故 강영안(동생) 이등상사

- 3호 안장 : '23. 6. 6. / 국립서울현충원 / 故 김봉학(형) 일병과 故 김성학(동생) 일병

- 4호 안장 : '23. 6. 28. / 국립제주호국원 / 故 허창호(형) 하사와 故 허창식(동생) 하사

- 5호 안장 : '23. 11. 23. / 국립대전현충원 / 故 최상락(형) 하사와 故 최임락(동생) 일병

 

이번 안장식은 6·25전쟁 당시 두 형제의 숭고한 헌신에 대한 예우 차원에서 ‘호국의 형제’라고 명명하여 거행하였다.

 

 

아울러 이번에 조성된 ‘호국의 형제’ 묘가 국민 모두에게 영원히 기억되고 숭고한 정신을 일깨워 주는 호국보훈의 명소가 될 수 있도록 묘비 앞에 고인들의 동생이 쓴 추모글과 전투 경로 등이 새겨진 추모석을 설치하였다.

 

형, 고 최상락 하사는 1929년 4월, 울산광역시 울주군에서 6남 2녀 중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부터 부모님과 함께 농사를 지으며 실질적인 장남 역할을 한 든든한 아들이었다.

 

광복 이후 남·북한 사이의 긴장이 고조된 상황 속에서 동생들에게 자유롭고 평화로운 세상을 지켜주기 위해 1949년 2월, 사랑하는 부모님과 형제와의 이별도 마다하지 않고 부산에 있는 제5연대에 자진 입대하였다.

 

◦6·25전쟁이 발발하자 고인은 국군 제3사단 제23연대 소속으로 낙동강 방어 전선으로 이동하여 ‘울진-영해전투’에 참전하였다. 이후 동해안 최대의 병참기지인 경북 포항을 사수하기 위해 북한군 제5사단과 격전을 펼친 ‘영덕-포항전투’에 참전 중 1950년 8월, 21세의 꽃다운 나이로 장렬히 전사하였다.

 

동생, 고 최임락 일병은 1931년 1월, 셋째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열정적이고 책임감이 강하셨다. 어려운 환경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부산에 사시던 외당숙의 식당에서 일을 배우며 집안을 부흥시키겠다고 밤잠을 설쳐가며 일하던 중 전쟁이 발발하자 형의 뒤를 따라 1950년 8월, 부산에서 입대 후 미 제7사단 카투사로 배치되어 일본 요코하마에서 군사훈련을 받았다.

 

이후 인천상륙작전에 참가하여 인천과 서울 등을 수복하고 북진 작전에 합류하여 북한 함경남도 이원항에 상륙하여 ‘장진호 전투’에 참전 중 안타깝게도 1950년 12월, 19세의 젊은 나이에 전사하였다.

 

고 최임락 일병은 긴 세월 동안 북한지역에 잠들어 계시던 중 1995년 미국 하와이에 있는 미국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DPAA)에 인계되었다. 이후 한·미 양국의 끈질긴 노력으로 신원이 확인되었고, 올해 7월 현역 군인인 조카 최호종 해군 상사의 품에 안기어 대한민국 공군특별기(KC-330, 시그너스)를 타고 F-35A 전투기의 호위를 받으며 고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이번 행사를 주관한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은 “73년의 긴 세월을 이겨내고 두 분 호국의 형제님을 함께 모셔 넋을 기리는 뜻깊은 자리를 갖게 되었다”며, “선배님들의 핏값으로 오늘도 태극기가 창공에 휘날릴 수 있으며, 우리 대한민국이 세계 속의 선진강국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만큼, 선배님들의 고귀한 희생과 헌신이 헛되지 않도록 확고한 대적관으로 무장하고 매 순간 이기는 것이 습관이 되는 ‘자랑스러운 육군, 승리하는 육군’을 만들어 가겠다”라고 밝혔다.

 

비록 고인이 되셨지만 두 분의 형님을 함께 국립묘지에 모시게 된 막내 동생 최용(79세) 씨는 “8남매 중 막내인 저만 남았는데 이렇게 두 형님을 넋이라도 한 자리에 모실 수 있어 꿈만 같습니다.”라며 “어려운 과정을 거쳐 형님들을 호국보훈의 성지에 안장할 수 있도록 고생하신 모든 분께 감사드립니다.”라고 소회를 밝혔다. 



  1. [2024년 방위사업청 정책 돋보기] 디지털 트윈, 무기체계 미래를 디자인한다

    디지털트윈 개념도 <사진 방위사업청> 방위사업청(청장 엄동환)은 무기체계 연구개발에 디지털 트윈을 적용하기 위한 무기체계 디지털 트윈 활용 지침을 제정·발령하였다고 1월3일(수) 밝혔다. 엄동환 방위사업청장은...
    Date2024.01.07 Views5663
    Read More
  2. 2024년 달라지는 장병 복지정책

    2024년 달라지는 장병 복지정책
    Date2024.01.07 Views5557
    Read More
  3. 김여정 담화문에 대한 국방부 입장

    국방부는 1월 3일 김여정 담화문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김여정의 담화는 범죄자가 오히려 선량한 시민이나 경찰 때문에 범죄를 저질렀다고 핑계를 대는, 말도 안 되는 억지 주장이며 궤변에 불과하며, 우리 군은 확...
    Date2024.01.06 Views6032
    Read More
  4. 신원식 국방부장관 주관 하 서북도서부대 해상사격훈련 재개

    ▲ 지난 5일 오후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예하 해병대6여단이 서북도서 일대에서 전개한 해상 사격훈련에서 K1E1 전차가 화염을 내뿜으며 포탄을 발사하고 있다. 사진 국방부 국방부는 1월 5일(금) 15:00부터 서북도서방...
    Date2024.01.06 Views5817
    Read More
  5. 실패에 대한 두려움 없이 고난도 과제에 도전하는 국방연구개발 환경 조성

    [2024년 국방부 정책 돋보기] 도전적 연구개발이 필요한 미래도전국방기술 연구개발사업에 제재 처분을 완화하는「국방과학기술혁신 촉진법」일부개정법률안이 오늘 국무회의를 통과해 다음 주 공포될 예정이다. 이번...
    Date2024.01.02 Views7200
    Read More
  6. 방FM 개편 “가요계 베테랑들의 당찬 디제이(DJ) 출사표, 24시간 확대 편성”

    국방홍보원(원장 채일) 국방FM은 새해를 맞아 라디오 프로그램을 수시 개편한다. 2024년 1월 1일부터는 신설 프로그램 <프리스타일>이 매일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방송된다. 브라운아이드걸스 미료가 새롭게 진행을 ...
    Date2024.01.02 Views7090
    Read More
  7. 김명수 합참의장, 피스아이 탑승 신년 지휘비행

    - 한반도 전역과 해외파병부대 대비태세 점검 - - 합참은 현장부대의 ‘든든한 보호막과 울타리’ 역할을, 현장에서는 ‘뒤돌아보지 말고 과감히 행동할 것’ 당부 김명수 합동참모의장은 갑진년 새해 첫날을 항공통제기(...
    Date2024.01.02 Views6289
    Read More
  8. 2024년 병 봉급 병장 기준 125만원

    2024년 병 봉급 병장 기준 월 125만원으로 인상 병역의무 이행에 대한 합당한 예우와 보상을 위해 병 봉급이 2024년 1월부터 병장 기준 월 125만원으로 인상된다. 계급별 봉급은 숙련도, 임무 난이도 등을 고려하여 ...
    Date2024.01.01 Views5323
    Read More
  9. 2024년 국방부 이렇게 달라집니다.

    국방부는 미래세대 병영환경을 조성하고 군 복무가 자랑스러운 나라를 구현하기 위해 장병 처우 및 복무여건, 의·식·주 등 생활여건을 합리적으로 개선해 나가고 있다. 2024년부터 달라지는 국방부 주요 업무는 다음...
    Date2024.01.01 Views6173
    Read More
  10. 이영수 공군참모총장 신년사

    이영수 공군참모총장 신년사 자랑스러운 공군 장병과 군무원 여러분! 희망찬 2024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지금 이 시간에도 대한민국 영공방위를 위해 전국 각지와 해외에서 헌신하고 있는 여러분의 노고에 아낌없는 ...
    Date2024.01.01 Views5173
    Read More
  11. 박안수 육군참모총장 신년사

    박안수 육군참모총장 신년사 무실역행(務實力行). “육군은 정성을 다하여 본질에 진력한다.” 자랑스러운 육군 장병 및 군무원, 예비군 여러분! 2024년 새해에도 우리 육군은 모든 구성원이 소통으로 하나 되어, 위국...
    Date2024.01.01 Views5158
    Read More
  12. 양용모 해군참모총장 신년사

    양용모 해군참모총장 신년사 대한민국의 바다와 땅, 하늘, 우주와 사이버공간을 굳건히 지키고 있는 해군·해병대 장병과 군무원, 그리고 가족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국가방위를 위해 함께 헌신하고 있는 육·공군 전...
    Date2024.01.01 Views4815
    Read More
  13. 국방부장관, 청룡의 해 첫날 해병대 청룡부대 방문해 확고한 대비태세 강조

    신원식 국방부 장관이 새해 첫날인 1일 해병대2사단를 방문해 대비태세를 점검하고 있다. 사진 국방부 제공 신원식 국방부장관은 1월 1일(월), 청룡의 해를 맞아 해병대 제2사단(청룡부대)을 방문해 대비태세를 점검...
    Date2024.01.01 Views4280
    Read More
  14. 방위사업청, 차륜형지휘소용차량 최초 전력화

    빠른 속도로 전투 현장을 누비며 부대를 지휘하는 움직이는 지휘통제실 '차륜형지휘소용차량'이 전력화 됐다. 방위사압청은 2023년 12월 12일 미래전투체계의 핵심인 차륜형지휘소용차량 전력화를 공식 발표했다. 차...
    Date2024.01.01 Views5712
    Read More
  15. 방위사업청, 기초비행훈련용 헬기 전략화

    방위사업청, 기초비행 훈련용 헬기 전략화 카드뉴스 2023.12.29
    Date2024.01.01 Views551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201 Next
/ 20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