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정순채 칼럼] 어이없이 멈춰 선 국가전산망, 다시 반복돼선 안 된다

지난달 26일 정부 정보 시스템의 중심 역할을 하는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700여 개에 달하는 정부 전산 서비스가 멈췄다. 

‘정부24’를 포함한 주요 전자정부 서비스가 중단되면서 행정 업무와 민원 처리가 사실상 정지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진 것이다. 10월 13일 기준으로 전체 709개 서비스 중 약 260개(36.7%) 복구가 완료됐다.

이번 사태로 국민들은 생활 곳곳에서 큰 불편을 겪었다. 우체국 업무가 마비되고 모바일 신분증 등 공공서비스의 이용이 불가능했다. 많은 민원인이 온라인 대신 직접 주민센터를 찾아가야 했다. 디지털 행정 시대에서 오프라인 시대로 되돌아간 듯한 모습이다.

전산망의 이중화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했다면 이런 전국적 마비는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한쪽 서버에 문제가 생기면 다른 시스템이 즉시 업무를 이어받도록 설계돼야 한다. 

우리는 이미 2022년 카카오 데이터센터 화재 때 통신 장애의 불편함을 경험했다. 국가 전산망은 단순한 민간 플랫폼이 아닌 행정의 근간이다. 이번 사태는 그 중요성을 일깨워 준 사건이다.

복구가 장기화되고 있는 현실도 심각한 문제다. 서버와 네트워크뿐 아니라 냉각 장치, 전력, 화재 감시 등 모든 설비가 이중화돼야 한다. 대구 등 분원에서 백업 시스템이 즉시 가동되지 못한 점은 구조적 한계를 보여준다.

이 사건은 단순한 화재를 넘어 국가 전산망이 국민의 일상과 얼마나 밀접하게 연결돼 있는지를 다시 확인시켰다. 당시 긴급재난 안내에는 대다수가 사용하는 메신저와 금융서비스 등 일상 서비스가 동원됐다. 사고 안내와 서비스 중단 등 고지로 혼란스러웠다.

이번 화재는 지하로 리튬이온 배터리를 옮기는 과정에서 발생했다고 알려졌다. 문제의 배터리는 사용 기간을 넘긴 노후 제품이다. 관리 부실과 안전 불감증이 초래한 인재(人災)라 해도 과언이.........[정순채 칼럼] 어이없이 멈춰 선 국가전산망, 다시 반복돼선 안 된다 전문은 아래 링크를 이용하시면 되니다.

 

 

 



정순채 사이버칼럼

정순채 동국대학교 융합교육원 겸임교수·경희대학교 사이버대 객원교수 · 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 해병대부사관153기

  1. [정순채 칼럼] 어이없이 멈춰 선 국가전산망, 다시 반복돼선 안 된다

    [정순채 칼럼] 어이없이 멈춰 선 국가전산망, 다시 반복돼선 안 된다 지난달 26일 정부 정보 시스템의 중심 역할을 하는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700여 개에 달하는 정부 전산 서비스가 멈췄다. ‘정부24’를 포함한 주요 전자정부 서비스가 중단...
    Date2025.10.14 By관리자 Views179
    Read More
  2. [정순채 칼럼] 인공지능(AI ) 이용 사이버 공격하는 북한

    [정순채 칼럼] 인공지능(AI ) 이용 사이버 공격하는 북한 업무부터 일상생활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챗GPT를 이용하는 시대이다. 이제 일상을 함께하는 인공지능(AI)지만 부작용도 적지 않다. 북한은 AI를 악용하는 대표적인 나라이다. 북한은 정찰총국 산하에 해커 부대를...
    Date2025.10.02 By관리자 Views7686
    Read More
  3. [정순채 칼럼] 끊임없이 발생하는 해킹 공격과 북한

    최근 국내에서 우리 기업과 기관을 대상으로 한 크고 작은 해킹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올해 4월 말에는 국내 최대 통신사인 SKT에 대규모 해킹 공격으로 유심 정보를 포함한 약 2300만 명 규모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발생했다. 8월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SKT에...
    Date2025.09.22 By관리자 Views11292
    Read More
  4. No Image

    [정순채 칼럼] 인간의 AI 과의존과 동반자

    [정순채 칼럼] 인간의 AI 과의존과 동반자 2022년 11월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를 시작한 지 채 3년이 지나지 않았다. 인공지능(AI)의 대중화는 ‘기계가 인간 고유의 능력을 침범할 수 있다’라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 가능성의 현실화가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늑대로부...
    Date2025.09.06 By관리자 Views8087
    Read More
  5. No Image

    [정순채 칼럼] 통신 역사상 최악의 SKT 해킹 사태

    SKT의 해킹 사고와 관련한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이번 공격으로 가입자 전원의 유심(USIM) 정보뿐 아니라 개인정보가 관리되는 서버도 공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SKT 측에서는 개인정보 서버와는 분리되어 있기에 실제 피해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SKT는...
    Date2025.05.23 By관리자 Views12189
    Read More
  6. [정순채 칼럼] 개선이 필요한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개선이 필요한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정순채 서울과기대 겸임교수 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다크웹에 4억건이 넘는 한국인 개인정보가 유통된다고 한다. 정보 유출 심각성은 매우 높으나 적당한 대책은 없는 것 같다. 내 정보 유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털린 내 정...
    Date2025.04.22 By관리자 Views10338
    Read More
  7. No Image

    [정순채 칼럼] 남발되는 명예훼손 관련 고소·고발

    [정순채 칼럼] 남발되는 명예훼손 관련 고소·고발 명예훼손 관련 고소와 고발이 10년 새 두 배가량 급증했다. 이를 수사하는 경찰의 업무 부담도 가중되고 있다. 이들 고소 등 사건이 검찰로 송치돼 처벌까지 이어지는 비중은 4건 중 1건 정도로 미미해 경찰 수사력 낭비...
    Date2025.04.15 By관리자 Views9860
    Read More
  8. [정순채 칼럼] 2차 피해 우려되는 다크웹의 개인정보

    불법 사이트 차단·다크웹 마켓 폐쇄 위한 국제 공조 필수 정순채 서울과기대 겸임교수 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다크웹(dark web) 전문 보안기업 스텔스모어가 다크웹에서 유통되는 한국인 개인정보는 4억6704만8278건에 이른다고 밝혔다. 현재 인구수와 비교하면 한 사람당...
    Date2025.04.08 By관리자 Views13380
    Read More
  9. No Image

    [정순채 칼럼] 사용자도 모르는 좀비 스마트폰

    악성 앱, 연락처·통화목록·사진첩 등 모든 개인 및 금융정보 탈취 부고장 등 스마트폰에 첨부된 링크(미끼 문자)를 함부로 눌러서는 안 된다. 첨부된 링크를 누르면 금전적 피해가 없더라도 메신저 계정이 도용돼 지인들까지 피해를 입을 수 있다.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
    Date2025.04.03 By관리자 Views10180
    Read More
  10. [정순채 칼럼] 생성형 AI의 데이터 ‘블랙홀'

    서울과기대 겸임교수 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생성형 AI가 해킹 공격 등에 대비가 충분하지 않다" 지난달 18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지구에서 가장 똑똑한 AI’라며 ‘그록(Grok)3’을 공개했다. 그 후 세계 소셜미디어에선 개인정보 유출 우려 목소리가 ...
    Date2025.03.26 By관리자 Views10535
    Read More
  11. No Image

    [정순채 칼럼] 손쉬운 접근, 숨겨진 위험 ' 큐싱(Qshing)'

    QR코드, 생성·인쇄에 큰 비용 들지 않아 악용 사례 많다 “QR코드 생성 시 첨부되는 URL 유해 여부 검증 절차 의무화해야” QR코드는 스마트폰 스캔으로 결제, 주문 등을 손쉽게 할 수 있다. 최근 이를 악용한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QR코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큐...
    Date2025.03.11 By관리자 Views14253
    Read More
  12. [정순채 칼럼] 우려되는 생성형 AI의 ‘사이버 탈옥’...“딥시크 사이버 탈옥 공격에 취약”

    中딥시크, 시한폭탄 될 수도...딥시크 탈옥 성공률 100%, 오픈 AI의 GPT-4o(86%) 최근 미국의 보안 전문기업은 중국의 ‘딥시크가 탈옥 공격에 취약하다’라는 보고서를 공개했다. ‘가성비’ 좋은 인공지능(AI) 모델로 세계적인 관심인 중국 AI 모델의 위험성을 경고한 것이...
    Date2025.03.08 By관리자 Views12396
    Read More
  13. No Image

    [정순채 칼럼] 당하지 마세요! 투자리딩방 불법행위

    [정순채 칼럼] 당하지 마세요! 투자리딩방 불법행위 우리 주변에는 투자 전문가를 사칭한 ‘투자리딩방’ 불법행위가 성행하고 있다. 투자리딩(leading)방은 문자, 전화, SNS 등을 이용해 “고수익을 보장한다”라며, 투자 종목을 추천하거나 매매 시점을 안내하는 방법으로 ...
    Date2025.03.04 By관리자 Views12592
    Read More
  14. No Image

    [정순채 칼럼] 여론재판, 20년째 바뀌지 않는 악플

    [정순채 칼럼] 여론재판, 20년째 바뀌지 않는 악플 초고속 인터넷이 활성화된 2000년대 이후 악성 댓글 네티즌들의 폐해가 심각하다. 악성 댓글로 유명인들의 사망이 30년 가까이 잇따르고 있다. 2월 중순 배우 김새론(25)이 악풀로 비극의 길을 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
    Date2025.02.25 By관리자 Views11704
    Read More
  15. [정순채 칼럼] 범죄 온상... 텔레그램 등 해외 SNS

    ▲정순채 서울과기대 겸임교수 법무법인 린 자문위원 경찰은 지난해 9월 철저한 보안을 앞세운 소셜미디어 텔레그램(Telegram)과 수사 핫라인을 구축했다. 그 결과 텔레그램에서 활개 치던 범죄자들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 마약, 성범죄 등 강력범죄를 포함해 투자리딩...
    Date2025.02.19 By관리자 Views1561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