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정순채 칼럼] 인간의 AI 과의존과 동반자

 

2022년 11월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를 시작한 지 채 3년이 지나지 않았다. 인공지능(AI)의 대중화는 ‘기계가 인간 고유의 능력을 침범할 수 있다’라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 가능성의 현실화가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늑대로부터 진화한 개(犬)는 인간과 함께하면서 먹이 사냥 등이 필요 없어졌다. 이 과정에서 머리 쓸 일이 줄어 뇌 용량이 20% 정도 감소했다고 한다. 향후 인간의 지능도 퇴화할 수 있다. 인간도 개와 같이 AI에 의해 머리 쓸 일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똑똑해지는 AI에 길들여진 인간은 오히려 아둔해질 것이란 예상이 가능하다. 최근 AI 사용의 보편화로 자극적인 표현도 등장하고 있다. ‘두뇌가 썩는다’, ‘AI가 뇌를 삼키고 있다’라는 내용이다. ‘뇌는 쓰지 않으면 퇴화한다’라는 사실은 뇌과학이나 생물학에서 입증되었다. 

 

인간들은 이미 의사 결정의 상당 부분을 AI에 의존하고 있다. 과학, 경영, 정치,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중이다. 챗GPT와 같은 AI의 의존도가 높으면 비판적 사고 능력도 현저히 감소한다고 한다. 스위스 경영대학원 연구팀 자료에 의하면 AI 의존도와 비판적 사고의 상관계수는 –0.68로 나타났다.

 

AI 의존도가 높을수록 ‘인지적 오프로딩(cognitive offloading)’ 경향도 강하게 나타났다. 기억이나 계산, 판단하는 일 등을 스마트폰 등 외부 도구에 맡기려는 경향이 인지적 오프로딩이다.

 

생성형 AI 사용으로 인해 사용하지 않을 때보다 인지 활동 노력도 확연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AI가 제시하는 논리적 추론과 답을 수용하면서 ‘생각하는 과정’이 줄었기 때문이다. 지식 습득, 이해력, 적응력, 분석력, 종합력, 평가력 등 모든 인지 영역에 해당한다. 

 

AI 자체는 중립적인 기술이다. 사용 방식에 따라 인간의 지능은 양극단으로 갈릴 수 있다. AI를 능숙하게 활용하는 소수의 ‘수퍼 유저’와 AI에 의존해 사고력을 잃어가는 ‘다수의 일반인’으로 분류될................[정순채 칼럼] 인간의 AI 과의존과 동반자 전문

 

 

 

 

 



정순채 사이버칼럼

정순채 동국대학교 융합교육원 겸임교수·경희대학교 사이버대 객원교수 · 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 해병대부사관153기

  1. [정순채 칼럼] 어이없이 멈춰 선 국가전산망, 다시 반복돼선 안 된다

    [정순채 칼럼] 어이없이 멈춰 선 국가전산망, 다시 반복돼선 안 된다 지난달 26일 정부 정보 시스템의 중심 역할을 하는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700여 개에 달하는 정부 전산 서비스가 멈췄다. ‘정부24’를 포함한 주요 전자정부 서비스가 중단...
    Date2025.10.14 By관리자 Views6604
    Read More
  2. [정순채 칼럼] 인공지능(AI ) 이용 사이버 공격하는 북한

    [정순채 칼럼] 인공지능(AI ) 이용 사이버 공격하는 북한 업무부터 일상생활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챗GPT를 이용하는 시대이다. 이제 일상을 함께하는 인공지능(AI)지만 부작용도 적지 않다. 북한은 AI를 악용하는 대표적인 나라이다. 북한은 정찰총국 산하에 해커 부대를...
    Date2025.10.02 By관리자 Views8030
    Read More
  3. [정순채 칼럼] 끊임없이 발생하는 해킹 공격과 북한

    최근 국내에서 우리 기업과 기관을 대상으로 한 크고 작은 해킹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올해 4월 말에는 국내 최대 통신사인 SKT에 대규모 해킹 공격으로 유심 정보를 포함한 약 2300만 명 규모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발생했다. 8월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SKT에...
    Date2025.09.22 By관리자 Views11617
    Read More
  4. No Image

    [정순채 칼럼] 인간의 AI 과의존과 동반자

    [정순채 칼럼] 인간의 AI 과의존과 동반자 2022년 11월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를 시작한 지 채 3년이 지나지 않았다. 인공지능(AI)의 대중화는 ‘기계가 인간 고유의 능력을 침범할 수 있다’라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 가능성의 현실화가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늑대로부...
    Date2025.09.06 By관리자 Views8429
    Read More
  5. No Image

    [정순채 칼럼] 통신 역사상 최악의 SKT 해킹 사태

    SKT의 해킹 사고와 관련한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이번 공격으로 가입자 전원의 유심(USIM) 정보뿐 아니라 개인정보가 관리되는 서버도 공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SKT 측에서는 개인정보 서버와는 분리되어 있기에 실제 피해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SKT는...
    Date2025.05.23 By관리자 Views12507
    Read More
  6. [정순채 칼럼] 개선이 필요한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개선이 필요한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정순채 서울과기대 겸임교수 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다크웹에 4억건이 넘는 한국인 개인정보가 유통된다고 한다. 정보 유출 심각성은 매우 높으나 적당한 대책은 없는 것 같다. 내 정보 유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털린 내 정...
    Date2025.04.22 By관리자 Views10659
    Read More
  7. No Image

    [정순채 칼럼] 남발되는 명예훼손 관련 고소·고발

    [정순채 칼럼] 남발되는 명예훼손 관련 고소·고발 명예훼손 관련 고소와 고발이 10년 새 두 배가량 급증했다. 이를 수사하는 경찰의 업무 부담도 가중되고 있다. 이들 고소 등 사건이 검찰로 송치돼 처벌까지 이어지는 비중은 4건 중 1건 정도로 미미해 경찰 수사력 낭비...
    Date2025.04.15 By관리자 Views10178
    Read More
  8. [정순채 칼럼] 2차 피해 우려되는 다크웹의 개인정보

    불법 사이트 차단·다크웹 마켓 폐쇄 위한 국제 공조 필수 정순채 서울과기대 겸임교수 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다크웹(dark web) 전문 보안기업 스텔스모어가 다크웹에서 유통되는 한국인 개인정보는 4억6704만8278건에 이른다고 밝혔다. 현재 인구수와 비교하면 한 사람당...
    Date2025.04.08 By관리자 Views13692
    Read More
  9. No Image

    [정순채 칼럼] 사용자도 모르는 좀비 스마트폰

    악성 앱, 연락처·통화목록·사진첩 등 모든 개인 및 금융정보 탈취 부고장 등 스마트폰에 첨부된 링크(미끼 문자)를 함부로 눌러서는 안 된다. 첨부된 링크를 누르면 금전적 피해가 없더라도 메신저 계정이 도용돼 지인들까지 피해를 입을 수 있다.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
    Date2025.04.03 By관리자 Views10491
    Read More
  10. [정순채 칼럼] 생성형 AI의 데이터 ‘블랙홀'

    서울과기대 겸임교수 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생성형 AI가 해킹 공격 등에 대비가 충분하지 않다" 지난달 18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지구에서 가장 똑똑한 AI’라며 ‘그록(Grok)3’을 공개했다. 그 후 세계 소셜미디어에선 개인정보 유출 우려 목소리가 ...
    Date2025.03.26 By관리자 Views10844
    Read More
  11. No Image

    [정순채 칼럼] 손쉬운 접근, 숨겨진 위험 ' 큐싱(Qshing)'

    QR코드, 생성·인쇄에 큰 비용 들지 않아 악용 사례 많다 “QR코드 생성 시 첨부되는 URL 유해 여부 검증 절차 의무화해야” QR코드는 스마트폰 스캔으로 결제, 주문 등을 손쉽게 할 수 있다. 최근 이를 악용한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QR코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큐...
    Date2025.03.11 By관리자 Views14559
    Read More
  12. [정순채 칼럼] 우려되는 생성형 AI의 ‘사이버 탈옥’...“딥시크 사이버 탈옥 공격에 취약”

    中딥시크, 시한폭탄 될 수도...딥시크 탈옥 성공률 100%, 오픈 AI의 GPT-4o(86%) 최근 미국의 보안 전문기업은 중국의 ‘딥시크가 탈옥 공격에 취약하다’라는 보고서를 공개했다. ‘가성비’ 좋은 인공지능(AI) 모델로 세계적인 관심인 중국 AI 모델의 위험성을 경고한 것이...
    Date2025.03.08 By관리자 Views12696
    Read More
  13. No Image

    [정순채 칼럼] 당하지 마세요! 투자리딩방 불법행위

    [정순채 칼럼] 당하지 마세요! 투자리딩방 불법행위 우리 주변에는 투자 전문가를 사칭한 ‘투자리딩방’ 불법행위가 성행하고 있다. 투자리딩(leading)방은 문자, 전화, SNS 등을 이용해 “고수익을 보장한다”라며, 투자 종목을 추천하거나 매매 시점을 안내하는 방법으로 ...
    Date2025.03.04 By관리자 Views12898
    Read More
  14. No Image

    [정순채 칼럼] 여론재판, 20년째 바뀌지 않는 악플

    [정순채 칼럼] 여론재판, 20년째 바뀌지 않는 악플 초고속 인터넷이 활성화된 2000년대 이후 악성 댓글 네티즌들의 폐해가 심각하다. 악성 댓글로 유명인들의 사망이 30년 가까이 잇따르고 있다. 2월 중순 배우 김새론(25)이 악풀로 비극의 길을 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
    Date2025.02.25 By관리자 Views12012
    Read More
  15. [정순채 칼럼] 범죄 온상... 텔레그램 등 해외 SNS

    ▲정순채 서울과기대 겸임교수 법무법인 린 자문위원 경찰은 지난해 9월 철저한 보안을 앞세운 소셜미디어 텔레그램(Telegram)과 수사 핫라인을 구축했다. 그 결과 텔레그램에서 활개 치던 범죄자들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 마약, 성범죄 등 강력범죄를 포함해 투자리딩...
    Date2025.02.19 By관리자 Views1590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