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개선이 필요한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47465_51439_3139.jpg

정순채 서울과기대 겸임교수  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다크웹에 4억건이 넘는 한국인 개인정보가 유통된다고 한다. 정보 유출 심각성은 매우 높으나 적당한 대책은 없는 것 같다. 내 정보 유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털린 내 정보 찾기(https://kidc.eprivacy.go.kr)’ 서비스 이용률이 낮다. 확인 가능한 개인정보도 아이디와 패스워드로써 실효성이 떨어져 개선이 필요하다.

‘털린 내 정보 찾기’는 개인정보보호 주무 부처인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정보 유출 여부를 확인해 주는 서비스이다. 다크웹 등 음성 사이트에서 아이디와 패스워드 유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조회가 가능하다.

불법 유통 개인정보는 명의도용이나 보이스피싱 등 각종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 유출 조회 결과 패스워드 변경이나 해당 웹사이트 탈퇴로 2차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매우 긍정적 서비스이다.

문제는 이 서비스 이용 건수가 늘지 않는다는 점이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의하면 지난해 이 사이트 이용 건수는 51만8017건이다. 이는 전년 79만6141건 대비 34.9% 줄었다.

초기에는 서비스 내용이 알려지며 이용 건수가 급증했으나 그 후 이용 건수가 줄고 있다. 대형 유튜브에 서비스가 소개된 2023년 5월 19만9237건의 이용 건수는 7월 7만5348건으로 바로 반 이상 감소했다. 그해 말에는 3만8273건으로 76% 이상 감소했다.

현재도 개인정보 유출 사고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유통업을 중심으로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연이었다. 올 2월 말 개인정보 158만건이 유출된 GS리테일의 홈쇼핑 사이트가 대표적이다. 한국고용정보원과 한국장학재단 등 공공기관도 뚫린 것으로 알려졌다.

해커들은 탈취한 개인정보를 다크웹 등에서 판매한다. 정보 구매는 해커에게 이득을 주는 행위이나 비용 지출이 없는 무료 정보 파악은............................[정순채 칼럼] 개선이 필요한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SDG뉴스http://www.sdgnews.net

 



정순채 사이버칼럼

정순채 동국대학교 융합교육원 겸임교수·경희대학교 사이버대 객원교수 · 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 해병대부사관153기

  1. [정순채 칼럼] 캄보디아 범죄조직 참여자와 법감정

    [정순채 칼럼] 캄보디아 범죄조직 참여자와 법감정 정순채 서울과기대 겸임교수/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최근 캄보디아에서 중국계 범죄조직이 한국의 MZ(20·30)세대를 현지로 유인한 사건이 사회적 충격을 주고 있다. “월 1000만 원 이상 고수익 보장”과 같은 허위 채용 ...
    Date2025.10.22 By관리자 Views2771
    Read More
  2. [정순채 칼럼] 어이없이 멈춰 선 국가전산망, 다시 반복돼선 안 된다

    [정순채 칼럼] 어이없이 멈춰 선 국가전산망, 다시 반복돼선 안 된다 지난달 26일 정부 정보 시스템의 중심 역할을 하는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700여 개에 달하는 정부 전산 서비스가 멈췄다. ‘정부24’를 포함한 주요 전자정부 서비스가 중단...
    Date2025.10.14 By관리자 Views7901
    Read More
  3. [정순채 칼럼] 인공지능(AI ) 이용 사이버 공격하는 북한

    [정순채 칼럼] 인공지능(AI ) 이용 사이버 공격하는 북한 업무부터 일상생활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챗GPT를 이용하는 시대이다. 이제 일상을 함께하는 인공지능(AI)지만 부작용도 적지 않다. 북한은 AI를 악용하는 대표적인 나라이다. 북한은 정찰총국 산하에 해커 부대를...
    Date2025.10.02 By관리자 Views8727
    Read More
  4. [정순채 칼럼] 끊임없이 발생하는 해킹 공격과 북한

    최근 국내에서 우리 기업과 기관을 대상으로 한 크고 작은 해킹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올해 4월 말에는 국내 최대 통신사인 SKT에 대규모 해킹 공격으로 유심 정보를 포함한 약 2300만 명 규모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발생했다. 8월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SKT에...
    Date2025.09.22 By관리자 Views12288
    Read More
  5. No Image

    [정순채 칼럼] 인간의 AI 과의존과 동반자

    [정순채 칼럼] 인간의 AI 과의존과 동반자 2022년 11월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를 시작한 지 채 3년이 지나지 않았다. 인공지능(AI)의 대중화는 ‘기계가 인간 고유의 능력을 침범할 수 있다’라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 가능성의 현실화가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늑대로부...
    Date2025.09.06 By관리자 Views9107
    Read More
  6. No Image

    [정순채 칼럼] 통신 역사상 최악의 SKT 해킹 사태

    SKT의 해킹 사고와 관련한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이번 공격으로 가입자 전원의 유심(USIM) 정보뿐 아니라 개인정보가 관리되는 서버도 공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SKT 측에서는 개인정보 서버와는 분리되어 있기에 실제 피해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SKT는...
    Date2025.05.23 By관리자 Views13182
    Read More
  7. [정순채 칼럼] 개선이 필요한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개선이 필요한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정순채 서울과기대 겸임교수 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다크웹에 4억건이 넘는 한국인 개인정보가 유통된다고 한다. 정보 유출 심각성은 매우 높으나 적당한 대책은 없는 것 같다. 내 정보 유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털린 내 정...
    Date2025.04.22 By관리자 Views11334
    Read More
  8. No Image

    [정순채 칼럼] 남발되는 명예훼손 관련 고소·고발

    [정순채 칼럼] 남발되는 명예훼손 관련 고소·고발 명예훼손 관련 고소와 고발이 10년 새 두 배가량 급증했다. 이를 수사하는 경찰의 업무 부담도 가중되고 있다. 이들 고소 등 사건이 검찰로 송치돼 처벌까지 이어지는 비중은 4건 중 1건 정도로 미미해 경찰 수사력 낭비...
    Date2025.04.15 By관리자 Views10853
    Read More
  9. [정순채 칼럼] 2차 피해 우려되는 다크웹의 개인정보

    불법 사이트 차단·다크웹 마켓 폐쇄 위한 국제 공조 필수 정순채 서울과기대 겸임교수 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다크웹(dark web) 전문 보안기업 스텔스모어가 다크웹에서 유통되는 한국인 개인정보는 4억6704만8278건에 이른다고 밝혔다. 현재 인구수와 비교하면 한 사람당...
    Date2025.04.08 By관리자 Views14357
    Read More
  10. No Image

    [정순채 칼럼] 사용자도 모르는 좀비 스마트폰

    악성 앱, 연락처·통화목록·사진첩 등 모든 개인 및 금융정보 탈취 부고장 등 스마트폰에 첨부된 링크(미끼 문자)를 함부로 눌러서는 안 된다. 첨부된 링크를 누르면 금전적 피해가 없더라도 메신저 계정이 도용돼 지인들까지 피해를 입을 수 있다.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
    Date2025.04.03 By관리자 Views11159
    Read More
  11. [정순채 칼럼] 생성형 AI의 데이터 ‘블랙홀'

    서울과기대 겸임교수 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생성형 AI가 해킹 공격 등에 대비가 충분하지 않다" 지난달 18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지구에서 가장 똑똑한 AI’라며 ‘그록(Grok)3’을 공개했다. 그 후 세계 소셜미디어에선 개인정보 유출 우려 목소리가 ...
    Date2025.03.26 By관리자 Views11512
    Read More
  12. No Image

    [정순채 칼럼] 손쉬운 접근, 숨겨진 위험 ' 큐싱(Qshing)'

    QR코드, 생성·인쇄에 큰 비용 들지 않아 악용 사례 많다 “QR코드 생성 시 첨부되는 URL 유해 여부 검증 절차 의무화해야” QR코드는 스마트폰 스캔으로 결제, 주문 등을 손쉽게 할 수 있다. 최근 이를 악용한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QR코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큐...
    Date2025.03.11 By관리자 Views15214
    Read More
  13. [정순채 칼럼] 우려되는 생성형 AI의 ‘사이버 탈옥’...“딥시크 사이버 탈옥 공격에 취약”

    中딥시크, 시한폭탄 될 수도...딥시크 탈옥 성공률 100%, 오픈 AI의 GPT-4o(86%) 최근 미국의 보안 전문기업은 중국의 ‘딥시크가 탈옥 공격에 취약하다’라는 보고서를 공개했다. ‘가성비’ 좋은 인공지능(AI) 모델로 세계적인 관심인 중국 AI 모델의 위험성을 경고한 것이...
    Date2025.03.08 By관리자 Views13356
    Read More
  14. No Image

    [정순채 칼럼] 당하지 마세요! 투자리딩방 불법행위

    [정순채 칼럼] 당하지 마세요! 투자리딩방 불법행위 우리 주변에는 투자 전문가를 사칭한 ‘투자리딩방’ 불법행위가 성행하고 있다. 투자리딩(leading)방은 문자, 전화, SNS 등을 이용해 “고수익을 보장한다”라며, 투자 종목을 추천하거나 매매 시점을 안내하는 방법으로 ...
    Date2025.03.04 By관리자 Views13563
    Read More
  15. No Image

    [정순채 칼럼] 여론재판, 20년째 바뀌지 않는 악플

    [정순채 칼럼] 여론재판, 20년째 바뀌지 않는 악플 초고속 인터넷이 활성화된 2000년대 이후 악성 댓글 네티즌들의 폐해가 심각하다. 악성 댓글로 유명인들의 사망이 30년 가까이 잇따르고 있다. 2월 중순 배우 김새론(25)이 악풀로 비극의 길을 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
    Date2025.02.25 By관리자 Views1266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