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정순채 칼럼] 인공지능(AI ) 이용 사이버 공격하는 북한

업무부터 일상생활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챗GPT를 이용하는 시대이다. 이제 일상을 함께하는 인공지능(AI)지만 부작용도 적지 않다.  북한은 AI를 악용하는 대표적인 나라이다. 북한은 정찰총국 산하에 해커 부대를 두고 있다

1998년 정찰총국 산하에 121 부대라는 해커 부대를 창설됐다. 엘리트 코스를 밟은 북한 IT 인력들을 본격적인 해킹 요원으로 전환한 것이다. 북한 해커들은 북한 내부의 제한적이고 폐쇄적인 IT 환경에 따라 해외 파견이 더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보고에 의하면 북한 해커들은 AI를 이용해 허위 신원을 만들어 기업에 침투하는 수법을 사용하고 있다. 채용 후 실제 업무도 AI로 수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영어로 전문적인 의사소통이 어려운 북한 해커들이 기술 인터뷰를 통과한 것도 AI 도움 덕분이다.

북한은 일찌감치 정보통신기술(ICT)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해왔다. 전국에서 선발한 과학 영재들이 평양 제1중학교, 금성학원 등에 배치돼 조기 교육을 받는다. 이후 김일성 종합대학, 김책공업종합대학 등으로 진학해 전문 IT 인력으로 키워진다.

이들은 중국과 러시아를 비롯해 제3국 등 세계 각국에 흩어져 활동한다. 북한 당국의 지령에 따라 불법 해킹과 가상자산 탈취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첨단 과학기술, 국방과학기술과 특허, 발명, 설계 등도 빼내고 있다.

북한 해커 공격은 대담해지고 기술적으로도 고도화되고 있다. 정교한 사이버 공격으로 거액의 암호화폐를 탈취하는 수법도 진화하고 있다. 국내도 북한의 주요 공격 타깃이다. 국정원 자료에 의하면 국내 공격의 80%는 북한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도 북한 배후로 추정되는 해킹 그룹이 AI로 만든 딥페이크 이미지를 이용해 사이버 공격 시도 사례가 포착됐다. 보안업체에 따르면 지난 7월 김수키(Kimsuky)로 추정되는 해커들이 AI로 위조한 가짜 군 공무원증 이미지를 활용했다. 국방 관련 기관을 사칭해 특정 기관을 표적으로 사이버 공격을 시도한 것이다.

북한의 사이버 전력이 AI 기술과 결합해 더욱 정교해지고 있다는 점에서 그 파급력에 대한 우려가......[정순채 칼럼] 인공지능(AI ) 이용 사이버 공격하는 북한 원문보기

 

 



정순채 사이버칼럼

정순채 동국대학교 융합교육원 겸임교수·경희대학교 사이버대 객원교수 · 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 해병대부사관153기

  1. [정순채 칼럼] 인공지능(AI ) 이용 사이버 공격하는 북한

    [정순채 칼럼] 인공지능(AI ) 이용 사이버 공격하는 북한 업무부터 일상생활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챗GPT를 이용하는 시대이다. 이제 일상을 함께하는 인공지능(AI)지만 부작용도 적지 않다. 북한은 AI를 악용하는 대표적인 나라이다. 북한은 정찰총국 산하에 해커 부대를...
    Date2025.10.02 By관리자 Views135
    Read More
  2. [정순채 칼럼] 끊임없이 발생하는 해킹 공격과 북한

    최근 국내에서 우리 기업과 기관을 대상으로 한 크고 작은 해킹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올해 4월 말에는 국내 최대 통신사인 SKT에 대규모 해킹 공격으로 유심 정보를 포함한 약 2300만 명 규모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발생했다. 8월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SKT에...
    Date2025.09.22 By관리자 Views9699
    Read More
  3. No Image

    [정순채 칼럼] 인간의 AI 과의존과 동반자

    [정순채 칼럼] 인간의 AI 과의존과 동반자 2022년 11월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를 시작한 지 채 3년이 지나지 않았다. 인공지능(AI)의 대중화는 ‘기계가 인간 고유의 능력을 침범할 수 있다’라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 가능성의 현실화가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늑대로부...
    Date2025.09.06 By관리자 Views7373
    Read More
  4. No Image

    [정순채 칼럼] 통신 역사상 최악의 SKT 해킹 사태

    SKT의 해킹 사고와 관련한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이번 공격으로 가입자 전원의 유심(USIM) 정보뿐 아니라 개인정보가 관리되는 서버도 공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SKT 측에서는 개인정보 서버와는 분리되어 있기에 실제 피해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SKT는...
    Date2025.05.23 By관리자 Views11490
    Read More
  5. [정순채 칼럼] 개선이 필요한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개선이 필요한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정순채 서울과기대 겸임교수 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다크웹에 4억건이 넘는 한국인 개인정보가 유통된다고 한다. 정보 유출 심각성은 매우 높으나 적당한 대책은 없는 것 같다. 내 정보 유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털린 내 정...
    Date2025.04.22 By관리자 Views9633
    Read More
  6. No Image

    [정순채 칼럼] 남발되는 명예훼손 관련 고소·고발

    [정순채 칼럼] 남발되는 명예훼손 관련 고소·고발 명예훼손 관련 고소와 고발이 10년 새 두 배가량 급증했다. 이를 수사하는 경찰의 업무 부담도 가중되고 있다. 이들 고소 등 사건이 검찰로 송치돼 처벌까지 이어지는 비중은 4건 중 1건 정도로 미미해 경찰 수사력 낭비...
    Date2025.04.15 By관리자 Views9169
    Read More
  7. [정순채 칼럼] 2차 피해 우려되는 다크웹의 개인정보

    불법 사이트 차단·다크웹 마켓 폐쇄 위한 국제 공조 필수 정순채 서울과기대 겸임교수 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다크웹(dark web) 전문 보안기업 스텔스모어가 다크웹에서 유통되는 한국인 개인정보는 4억6704만8278건에 이른다고 밝혔다. 현재 인구수와 비교하면 한 사람당...
    Date2025.04.08 By관리자 Views12693
    Read More
  8. No Image

    [정순채 칼럼] 사용자도 모르는 좀비 스마트폰

    악성 앱, 연락처·통화목록·사진첩 등 모든 개인 및 금융정보 탈취 부고장 등 스마트폰에 첨부된 링크(미끼 문자)를 함부로 눌러서는 안 된다. 첨부된 링크를 누르면 금전적 피해가 없더라도 메신저 계정이 도용돼 지인들까지 피해를 입을 수 있다.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
    Date2025.04.03 By관리자 Views9494
    Read More
  9. [정순채 칼럼] 생성형 AI의 데이터 ‘블랙홀'

    서울과기대 겸임교수 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생성형 AI가 해킹 공격 등에 대비가 충분하지 않다" 지난달 18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지구에서 가장 똑똑한 AI’라며 ‘그록(Grok)3’을 공개했다. 그 후 세계 소셜미디어에선 개인정보 유출 우려 목소리가 ...
    Date2025.03.26 By관리자 Views9844
    Read More
  10. No Image

    [정순채 칼럼] 손쉬운 접근, 숨겨진 위험 ' 큐싱(Qshing)'

    QR코드, 생성·인쇄에 큰 비용 들지 않아 악용 사례 많다 “QR코드 생성 시 첨부되는 URL 유해 여부 검증 절차 의무화해야” QR코드는 스마트폰 스캔으로 결제, 주문 등을 손쉽게 할 수 있다. 최근 이를 악용한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QR코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큐...
    Date2025.03.11 By관리자 Views13575
    Read More
  11. [정순채 칼럼] 우려되는 생성형 AI의 ‘사이버 탈옥’...“딥시크 사이버 탈옥 공격에 취약”

    中딥시크, 시한폭탄 될 수도...딥시크 탈옥 성공률 100%, 오픈 AI의 GPT-4o(86%) 최근 미국의 보안 전문기업은 중국의 ‘딥시크가 탈옥 공격에 취약하다’라는 보고서를 공개했다. ‘가성비’ 좋은 인공지능(AI) 모델로 세계적인 관심인 중국 AI 모델의 위험성을 경고한 것이...
    Date2025.03.08 By관리자 Views11722
    Read More
  12. No Image

    [정순채 칼럼] 당하지 마세요! 투자리딩방 불법행위

    [정순채 칼럼] 당하지 마세요! 투자리딩방 불법행위 우리 주변에는 투자 전문가를 사칭한 ‘투자리딩방’ 불법행위가 성행하고 있다. 투자리딩(leading)방은 문자, 전화, SNS 등을 이용해 “고수익을 보장한다”라며, 투자 종목을 추천하거나 매매 시점을 안내하는 방법으로 ...
    Date2025.03.04 By관리자 Views11919
    Read More
  13. No Image

    [정순채 칼럼] 여론재판, 20년째 바뀌지 않는 악플

    [정순채 칼럼] 여론재판, 20년째 바뀌지 않는 악플 초고속 인터넷이 활성화된 2000년대 이후 악성 댓글 네티즌들의 폐해가 심각하다. 악성 댓글로 유명인들의 사망이 30년 가까이 잇따르고 있다. 2월 중순 배우 김새론(25)이 악풀로 비극의 길을 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
    Date2025.02.25 By관리자 Views11042
    Read More
  14. [정순채 칼럼] 범죄 온상... 텔레그램 등 해외 SNS

    ▲정순채 서울과기대 겸임교수 법무법인 린 자문위원 경찰은 지난해 9월 철저한 보안을 앞세운 소셜미디어 텔레그램(Telegram)과 수사 핫라인을 구축했다. 그 결과 텔레그램에서 활개 치던 범죄자들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 마약, 성범죄 등 강력범죄를 포함해 투자리딩...
    Date2025.02.19 By관리자 Views14949
    Read More
  15. [정순채 칼럼] 안보 쇼크로 치닫는 중국의 ‘딥시크’

    지난달 중국이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 이용자의 민감한 업무 내용과 개인 정보 유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기관, 기업은 잇따라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고 있다. 딥시크는 출시 일주일 만에 한국 이용자가 120만 명을 ...
    Date2025.02.11 By관리자 Views1464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