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4.07 11:48
산사야음 - 송강 정철
조회 수 4397
山寺夜吟(산사야음) - 松江 鄭澈(송강 정철 1536~1593)
蕭蕭落木聲(소소낙목성)
우수수 떨어지는 낙엽 소리를
錯認爲疏雨(착인위소우)
성근 빗방울 소리로 착각하고
呼僧出門看(호승출문간)
중 불러 문 밖에 나가 보라 했더니
月掛溪南樹(월괘계남수)
시냇가 나무 가지에 달만 걸렸다네
바람이 불어 나뭇잎 부딪치는 소리는 빗소리로 착각하기 쉽다. 마음이 울적하거나 쓸쓸할 때는 보들레르의 시 ‘내 마음 속에 흐르는 비’ 처럼 그저 빗소리의 환청이 들릴 수도 있다. 그러나 정철은 역시 고관대작답다. 처량한 감상에서 재빨리 빠져 나온다. 단잠에 떨어진 중을 깨운다. 비오는지 나가 보라는 것은 핑계이고, 잠 안 오는 밤 말상대가 필요했을 것이다.
옛 시 空山木落雨蕭蕭(공산목락우소소) ‘사람 없는 깊은 산에 낙엽 지고 쓸쓸히 비 내린다.’에서 첫 구를 따왔다. 이 구절을 ‘빈 산에 낙엽소리 우수수’라고 번역해도 어색하지는 않으리라. 唐 시인 無可上人의 秋라는 시 한 구절을 소개한다. 聽雨寒更盡(청우한경진)/開門落葉深(개문낙엽심)/빗소리 들으며 찬 밤 새우고/문을 여니 수북한 낙엽.
*蕭蕭(소소):바람이나 빗소리가 쓸쓸함. 瀟瀟(소소):비바람이 심하게 침. *落木(낙목):원 뜻은 잎이 떨어진 나무, 裸木(나목)이나 여기서는 낙엽이 떨어짐을 나타냄.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이은영의 한시산책을 연재합니다.
![]() |
운영자 | 2011.02.20 | 31937 |
33 | 지월 - 소요당 태능 | 배나온슈퍼맨 | 2011.09.06 | 2413 |
32 | 答朱元晦(답주원회) - 호헌 | 배나온슈퍼맨 | 2011.08.01 | 2710 |
31 | 無語別(무어별) - 임제 | 배나온슈퍼맨 | 2011.08.01 | 4169 |
30 | 夏日卽事(하일즉사) -이규보 | 배나온슈퍼맨 | 2011.08.01 | 4498 |
29 | 不亦快哉行(불역쾌재행) - 다산 정약용 | 운영자 | 2011.06.30 | 3457 |
28 | 白鷺(백로) - 李亮淵(이양연) | 운영자 | 2011.06.30 | 3373 |
27 | 新沙(신사) - 陸龜夢(육구몽) | 운영자 | 2011.06.30 | 2521 |
26 | 冬夜(동야 - 황경인 | 운영자 | 2011.06.10 | 1750 |
25 | 訪金居士野居(방김거사야거) - 정도전 | 운영자 | 2011.06.10 | 4097 |
24 | 配所輓妻裳(배소만처상) - 추사 김정희 | 운영자 | 2011.06.10 | 4522 |
23 | 東臺(동대) - 석북 신광수 | 운영자 | 2011.05.13 | 2771 |
22 | 騎牛暮至(기우모지) - 석북 신광수 | 운영자 | 2011.05.13 | 2393 |
21 | 山中雪夜(산중설야) - 李齊賢(이제현) | 운영자 | 2011.04.28 | 3168 |
20 | 冬夜(동야) - 黃景仁(황경인) | 운영자 | 2011.04.28 | 3429 |
19 | 悟道頌(오도송) - 만해 한용운 | 운영자 | 2011.04.28 | 4465 |
18 | 相思夢(상사몽) - 黃眞伊(황진이) | 운영자 | 2011.04.19 | 4337 |
17 | 秋夜雨中(추야우중) - 고운 최치원 | 운영자 | 2011.04.19 | 3708 |
» | 산사야음 - 송강 정철 | 운영자 | 2011.04.07 | 4397 |
15 | 배소만처상 - 김정희 | 운영자 | 2011.04.07 | 4228 |
14 | 對酒(대주)- 백거이 | 운영자 | 2011.04.06 | 43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