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메뉴보기 검색열기
조회 수 414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無語別(무어별) - 林悌(임제)(1549~1587)

 

十五越溪女(십오월계녀)

아리따운 소녀, 나이는 열 다섯

 

羞人無語別(수인무어별)

부끄러워 말도 못 건 채 헤어졌구나

 

歸來掩重門(귀래엄중문)

집에 돌아와 덧문까지 닫아걸고서

 

泣向梨花月(읍향이화월)

배꽃같이 하얀 달을 쳐다보며 눈물 진다

 

男女間 사랑의 감정은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것인데 조선시대에는 유교의 영향으로 이를 억제했다. 연애를 禁忌視(금기시)하였고 본인의 의사와는 무관한 결혼을 강요당했다. 야만이 문명으로 강변되던 시절이었다. 사춘기의 이 소녀는 어느 집 도령을 짝사랑하고 있나 보다. 사랑하는 마음을 전하지도 못 한 채 집에 돌아와서 방문을 걸어 잠그고 달을 쳐다보며 소리 없이 흐느낄 뿐이다. 이 시의 작자 林悌는 당대의 好男兒(호남아)요 風流客(풍류객)이며 자유인이었다. 평양기생 一枝梅(일지매)와의 艶聞(염문)으로 유명하며 피리를 잘 불었다 한다. 感性(감성)이 풍부한 이 시인은 男女七歲不同席으로 대변되던 그 시대의 모순을 어여쁜 소녀를 통하여 지적하고 있다. “보소! 사랑은 아름다운 것이야.”라면서. *越溪女(월계녀) 시냇가에서 발을 씻는 월나라 여인 즉 西施(서시)를 가리킨다. 美人의 通稱. *羞(수) 부끄러워하다, 부끄럼 *掩(엄) 가리다, 숨기다, 감싸다, (문을)닫다. *泣(읍) 소리는 내지 않고 눈물만 흘리는 울음, 눈물

한시연구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은영의 한시산책을 연재합니다. file 운영자 2011.02.20 24916
33 지월 - 소요당 태능 배나온슈퍼맨 2011.09.06 2375
32 答朱元晦(답주원회) - 호헌 배나온슈퍼맨 2011.08.01 2677
» 無語別(무어별) - 임제 배나온슈퍼맨 2011.08.01 4140
30 夏日卽事(하일즉사) -이규보 배나온슈퍼맨 2011.08.01 4453
29 不亦快哉行(불역쾌재행) - 다산 정약용 운영자 2011.06.30 3418
28 白鷺(백로) - 李亮淵(이양연) 운영자 2011.06.30 3336
27 新沙(신사) - 陸龜夢(육구몽) 운영자 2011.06.30 2488
26 冬夜(동야 - 황경인 운영자 2011.06.10 1713
25 訪金居士野居(방김거사야거) - 정도전 운영자 2011.06.10 4053
24 配所輓妻裳(배소만처상) - 추사 김정희 운영자 2011.06.10 4479
23 東臺(동대) - 석북 신광수 운영자 2011.05.13 2725
22 騎牛暮至(기우모지) - 석북 신광수 운영자 2011.05.13 2350
21 山中雪夜(산중설야) - 李齊賢(이제현) 운영자 2011.04.28 3124
20 冬夜(동야) - 黃景仁(황경인) 운영자 2011.04.28 3397
19 悟道頌(오도송) - 만해 한용운 운영자 2011.04.28 4434
18 相思夢(상사몽) - 黃眞伊(황진이) 운영자 2011.04.19 4282
17 秋夜雨中(추야우중) - 고운 최치원 운영자 2011.04.19 3676
16 산사야음 - 송강 정철 운영자 2011.04.07 4360
15 배소만처상 - 김정희 운영자 2011.04.07 4191
14 對酒(대주)- 백거이 운영자 2011.04.06 433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CLOSE

SEARCH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