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리포트 / 국방일보 2012.03.07

 

37908.jpg

전광호 영국 센트럴 랑카셔
대학교 교수·아태지역학 대학원장

 

우리 군은 분명히 강군이다. 규모로 보나 훈련 내용으로 보나 세계적 강군이라 자부해도 손색이 없다. 물론 세계에는 우리보다 더 강한 군대도 있다. 미국도 그렇고 부상하는 중국도 군사 강국이다. 그리고 비록 소군이지만 영국군도 프랑스군도 유럽을 대표하는 강군이다.

 영국의 국방대학교에는 각국에서 파견된 연락장교들이 있다. 많은 수는 아니지만 주로 나토의 주축 국가들이 연락장교를 파견하곤 했다. 프랑스는 1966년 나토를 탈퇴했다가 2009년 복귀했지만, 항시 영국 국방대에 연락장교를 상주시켰다. 필자가 영국 국방대에 근무한 4년간 프랑스 해병 중령이 연락장교로 파견돼 있었다. 그리고 프랑스도 다른 30여 개국과 마찬가지로 영국 국방대 합동지휘참모과정에 장교 3명을 매년 유학시켰는데 흥미로웠던 점은 매년 3명 모두가 해병 장교였다는 점이다. 물론 우연한 일치일 수도 있겠지만, 연락장교를 포함해 왜 매번 해병 장교들이었을까? 프랑스는 역사적으로 육군이 강한 나라다. 나폴레옹도 포병 장교 출신이었다. 이런 우연에 혹시 역사적 라이벌 의식은 없었을까? 그것이 항상 궁금했다.

 현대전에서 해병대의 역할은 아주 중요하다. 특히 상륙전을 주요 임무로 하면서 16세기에서 19세기에 이르는 시기의 해병대와는 그 의미와 중요성 자체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다르다. 우선 해병대가 갖는 상징성은 영국과 같은 섬나라에는 두려움의 존재다. 물론 요즘 같으면 일단 공군력으로 제공권을 확보하고 장거리 미사일과 각종 함포사격으로 해안방어선을 무력화시키는 것이 우선이겠지만 결국 해병대가 최일선에 서서 상륙작전을 감행하리라는 것은 불문가지다. 또 육·해·공군에 편제된 각 특수부대가 저마다 역할을 다하겠지만, 어느 나라건 강한 해병대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은 강군을 상징하는 하나의 지표로 손색이 없다. 우리나라가 강군인 이유도 물론 3군 모두의 힘이겠지만 든든한 해병대를 갖고 있다는 것도 분명한 플러스 요인이다.

 잘 알다시피 우선 피상적으로만 따지자면 일본은 정규군을 갖고 있지 않다. 자위대가 있지만, 자위대의 장교들은 영국 국방대에 유학을 와도 군인 신분의 비자를 받고 올 수 없고 민간인 신분으로 유학을 온다. 계급도, 제복도 다 갖췄지만 당당히 ‘일본군’으로서의 지위는 전혀 가질 수 없다. 2년 전 한 학술 세미나에서 일본의 ‘보통국가화’를 주제로 일본의 저명한 학자들과 이야기를 나눴는데 그때 필자는 이렇게 말했다. “언젠가 일본도 보통국가의 지위를 가질 것이고 정규군도 보유하겠지만, 해병대와 공수부대는 절대 만들지 말아야 한다.” 그만큼 해병대는 존재감 그 자체로 큰 상징성을 가진 군이다.

 그저 필자만의 상상이겠지만 영국 국방대에 유학 오는 프랑스 해병 장교들은 어쩌면 아주 미묘한 영국과 프랑스 간의 역사적 라이벌 의식과 어떤 연관성은 없었을까? 지금도 참으로 궁금하다. 그러나 설혹 필자의 생각이 맞는다고 해도 누군들 그것을 확인해 주겠는가. 유럽 대륙에서, 적어도 서유럽에서 포성이 멎은 지는 이미 70년이 가까워 온다. 유럽 역사상 가장 긴 평화의 시기를 마음껏 만끽하고 있는 영국과 프랑스 군인들에게 필자의 궁금증은 차마 꺼내서는 안 될 금기시되는 이야기일 것이다.



  1. 도전하는 군인

    송유온 상병 해병대군수단 상륙지원대대 내게 2018년은 아주 특별한 해였다. 군인이 된 해였기 때문이다. 지난해 1월, 친구들은 나에게 왜 이리 일찍 가느냐고, 군대에 자원해서 가는 나를 비꼬고 동정했지만, 나는 ...
    Date2019.01.22 Views543
    Read More
  2. 존중과 배려가 성숙한 인존중과 배려가 성숙한 인간을 만든다 - 소설 『앵무새 죽이기』를 읽고

    장대광 상사 해병대6여단 감찰실 해병대는 인권 강화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나 역시 해병대원으로서 전우의 인권을 지키자는 각종 표어·포스터 등을 통해 수시로 접했지만, 정작 그 의미를 공감하고 ...
    Date2019.01.14 Views663
    Read More
  3. 너무 늦지도 빠르지도 않다

    염하얀 하사 해병대1사단 킹콩연대 우리는 어린 시절부터 경쟁 사회에 노출돼 있다. 좋은 학교를 가기 위해 친구들과 끊임없는 경쟁을 했고, 군대에서도 경쟁은 똑같이 진행된다. 나는 진급과 장기복무라는 목표를 가...
    Date2018.12.27 Views875
    Read More
  4. [국방일보 병영의창] 전방 소초장 임무를 마치면서

    박은주 중위 해병대2사단 짜빈동대대 어린 시절 막연하게 ‘군인이 되고 싶다’던 목표는 대학교 졸업과 러시아 유학 이후 해병대 장교인 남편을 만나고부터 더욱 현실로 다가왔다. 다소 늦은 나이에 도전했던 첫 번째 ...
    Date2018.12.03 Views3053
    Read More
  5. No Image

    [대경일보 사설]해병대 장병들에게 감사의 박수를 보낸다

    [대경일보 사설]해병대 장병들에게 감사의 박수를 보낸다 / 2018년 11월 26일 최근 포항시민을 위한 해병대 장병들의 미담이 계속해서 밝혀져 훈훈한 감동을 주고 있다. 지난 9일 해병대 1사단 23대대 소대장 박형규 ...
    Date2018.11.30 Views650
    Read More
  6. 포워드, 페이스풀, 포커스트

    박경기 중위(진) 해병대사령부 연합화력협조장교 한미 해병대 화력관계관 워크숍 참가차 얼마 전 일본 오키나와에 다녀왔다. 미 제3해병기동군(Ⅲ-MEF) 아래 화력·효과 협조본부(FECC) 및 예하 부대를 방문한 짧은 기...
    Date2018.11.29 Views733
    Read More
  7. 국방일보 [김정학 기고] 멀리 가려면 같이 가라

    김정학 해병대 교육훈련단장·준장 사막이나 정글을 혼자 헤쳐나가는 것은 무모한 짓이다. 외로움과 두려움, 맹수의 습격 등을 혼자서는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프리카 속담 중에 ‘멀리 가려면 같이 가라’...
    Date2018.11.26 Views868
    Read More
  8. 세상과 소통하는 국방홍보원

    유 원 열 해병중사 국방정신전력원 정훈중급반 지난달 23일, 평소보다 1시간 정도 일찍 일어났다. 여느 때처럼 전투복을 차려입고 나서는 길, 날씨는 쌀쌀했지만, 마음은 설레었다. 이날 나를 포함해 국방정신전력원 ...
    Date2018.11.11 Views899
    Read More
  9. [김명환 종교와삶] 如如, 변함이 없는 마음

    김명환 해병대1사단 군종실장·법사·중령 문명이 발전하고 삶은 풍요로워졌으며 진보하는 기술만큼 사람들 몸은 편안해졌지만, 마음은 그만큼 더 행복해지지 않은 것 같습니다. 앞으로 세상도 기술의 핵심은 사람들의 ...
    Date2018.10.30 Views818
    Read More
  10. 꿈과 희망이 있는 군 생활

    이 승 찬 일병 해병대1사단 “거꾸로 매달아도 국방부 시계는 간다”는 말이 있다. ‘힘들거나 즐겁거나 시간은 흐르고 전역은 다가온다’는 뜻이다. 몇몇 군인이 국방의 의무를 다하는 시간에 대해 “어떻게든 지나간다”...
    Date2018.10.29 Views769
    Read More
  11. 기다리기만 하던 나를 뛰게 한 버킷리스트

    장 병 헌 병장 해병대2사단 짜빈동대대 어느덧 전역을 두 달 남짓 남겨둔 병장이 됐다. 그동안 나는 크고 거창한 것보다는 병영생활 중에 실천할 수 있고, 구체적이며, 실현 가능한 것들로 나만의 버킷 리스트를 만들...
    Date2018.09.05 Views1039
    Read More
  12. '필승 DNA'에 '혁신' 이식 더 막강해진 '무적 해병'

    창설 69주년을 맞아 국가전략기동부대 대한민국 해병대가 달라지고 있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해병대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가고 있다. 1949년 4월 15일 진해 덕산비행장에서 창설된 해병대는 6·25 전쟁 당시 수많은...
    Date2018.05.16 Views1069
    Read More
  13. 해병대의 초심찾기 ‘참해병 혁신운동’

    조순근 대령 해병대1사단 행정부사단장 ‘작심삼일(作心三日)’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다. 결심한 마음이 사흘을 가지 못하고 금방 풀어진다는 뜻이다. 그래서 결심했던 일이 결실을 보려면 지속해서 마음을 바로잡는 것...
    Date2018.03.22 Views1655
    Read More
  14. 백령도와 해병대가 성장시킨 나

    김 태 환 (예)해병중위 전 해병대6여단 정훈참모실 ‘나도 국민이 힘들어할 때 도와주고 부하들보다 궂은일에 앞장서는 멋진 해병대 장교가 될 거야.’ 제주도에서 나고 자란 나는 어려서부터 해병대인을 꿈꿨다. 태풍 ...
    Date2018.03.08 Views979
    Read More
  15. 신화를 남긴 해병대 전통을 계승하자

    김 재 현 중위(진) 해병대2사단 선봉연대 1967년 2월 15일 새벽, 짙은 안개가 끼고 비가 내리는 베트남의 쾅나이성 손틴군 짜빈동 인근의 야트막한 30m 고지. 청룡부대 11중대는 2개 연대 규모의 월맹 정규군과 3시간...
    Date2018.02.25 Views88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