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닷컴 태평로] 백령도의 해병대 장병들 / 이동한논설위원

  
2012082702131_0.jpg 얼마 전 백령도 해병대 부대를 둘러볼 기회가 있었다. 천안함 폭침 사건 이후 가 보고 싶었는데 마침 1박2일 안보체험 프로그램이 있어 참여했다. 인천항에서 항로(航路)로 205㎞ 떨어진 백령도는 쾌속선으로도 3시간40분 걸렸다. 우리나라 서북단의 섬인 백령도는 북한 장산곶과 불과 17㎞ 떨어진 접적(接敵) 지역으로 해병대 6여단이 지키고 있다. 행정구역으로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에 속한다. 우리나라에서 열넷째 크기의 섬으로 주민등록 인구는 5400여명이다. 천안함 폭침 사건이 발생한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에는 '천안함 46용사 위령탑'이 세워져 있다.

백령도 포병중대에는 대기포라는 게 있다. 언제든지 5분 안에 사격할 수 있도록 포 안에서 상시 대기하는 게 임무다. 대기포로 지정되면 전투복과 방탄복을 착용하고 24시간 포와 함께 지내야 한다. 비사격 훈련은 수시로 이뤄진다.

2010년 11월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 백령도의 K-9 자주포 포병부대는 몇 배 증강됐다. 현재 최고참 병장들은 연평도 도발을 보고 "또다시 그런 일이 벌어진다면 복수하겠다"며 해병대에 자원한 젊은이들이다. 해병대 포병은 신병교육과정 7주를 마치고 포병교육과정 3주를 더 받아야 한다. 포병중대에 배치되면 탄약을 옮기는 일부터 시작한다. 40㎏이 넘는 포탄은 일반인은 들기만 하는 것도 힘에 부친다. 포탄을 자유자재로 옮기는 병사들을 보면서 대견하고 든든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하루에도 몇 차례 실시하는 전투배치 훈련 때는 15㎏짜리 통을 양손에 들고 산비탈을 전속력으로 달려야 한다. 포탄을 옮기는 일이 익숙해지면 포탄을 장전하는 포수로 올라간다. 처음 포탄을 장전해 첫 사격을 하는 날은 포병중대에 배치돼 겪은 그간의 고생을 한꺼번에 털어낼 만큼 기분이 좋다고 한다. 포수 다음엔 부사수가 됐다가 사수로 올라간다. 중간에 조종수를 거치기도 한다. K-9의 사격 필수요원은 5명이지만, 안정적으로 포탄과 장약을 공급하기 위해 7~8명 단위로 부대를 편성한다고 한다.

백령도에서 가장 높은 해발 184m에 자리한 경계초소에서는 장산곶이 바다 건너로 마주 보였다. 병사들은 한 번에 2~3시간씩 하루에 6~9시간 경계근무를 선다. 밤근무도 매일 한두 번씩 한다. 병사들은 같은 지역에서 몇 개월씩 계속 근무하기 때문에 바다의 조그만 변화도 알아챌 수 있다. NLL이 어디쯤인지 가늠할 수 있고, 초소 앞바다를 지나는 배가 북한 경비정인지 북한 어선인지 중국 어선인지 구별하는 건 기본이다. 경계병들이 긴장할 때는 바다에서 부유물이 관측되는 경우이다. 침투하려는 북한군일지도 모르고 귀순자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중국 어선이 NLL을 넘어오는 일도 잦다고 한다. 밤근무 때 부유물이 관측되면 더욱 긴장해야 한다. 사소한 불빛과 소리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백령도에서는 매일 사격 훈련이 벌어지기 때문에 총포 소리가 끊이지 않는다고 한다.

백령도는 섬 전체가 요새였다. 송영무 전 해군참모총장은 "(북한에) 연평도는 '목구멍의 비수(匕首)'이며 백령도는 '옆구리의 비수'"라고 표현했었다. 연평도와 백령도를 '비수'로 만들고 있는 것은 해병대다. 해병대 장병들이 해병대를 택한 과정은 본인의 의지, 아버지의 권유, 해병대 출신 선배의 영향 등 조금씩 달랐지만 해병대로서 자부심은 한결같았다. 해병 6여단은 부대 방문 기념으로 해병대 상징인 팔각모와 '빨간 명찰'을 건넸다.

 

기사원문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8/27/2012082702368.html



  1. 도전하는 군인

    송유온 상병 해병대군수단 상륙지원대대 내게 2018년은 아주 특별한 해였다. 군인이 된 해였기 때문이다. 지난해 1월, 친구들은 나에게 왜 이리 일찍 가느냐고, 군대에 자원해서 가는 나를 비꼬고 동정했지만, 나는 ...
    Date2019.01.22 Views543
    Read More
  2. 존중과 배려가 성숙한 인존중과 배려가 성숙한 인간을 만든다 - 소설 『앵무새 죽이기』를 읽고

    장대광 상사 해병대6여단 감찰실 해병대는 인권 강화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나 역시 해병대원으로서 전우의 인권을 지키자는 각종 표어·포스터 등을 통해 수시로 접했지만, 정작 그 의미를 공감하고 ...
    Date2019.01.14 Views663
    Read More
  3. 너무 늦지도 빠르지도 않다

    염하얀 하사 해병대1사단 킹콩연대 우리는 어린 시절부터 경쟁 사회에 노출돼 있다. 좋은 학교를 가기 위해 친구들과 끊임없는 경쟁을 했고, 군대에서도 경쟁은 똑같이 진행된다. 나는 진급과 장기복무라는 목표를 가...
    Date2018.12.27 Views875
    Read More
  4. [국방일보 병영의창] 전방 소초장 임무를 마치면서

    박은주 중위 해병대2사단 짜빈동대대 어린 시절 막연하게 ‘군인이 되고 싶다’던 목표는 대학교 졸업과 러시아 유학 이후 해병대 장교인 남편을 만나고부터 더욱 현실로 다가왔다. 다소 늦은 나이에 도전했던 첫 번째 ...
    Date2018.12.03 Views3053
    Read More
  5. No Image

    [대경일보 사설]해병대 장병들에게 감사의 박수를 보낸다

    [대경일보 사설]해병대 장병들에게 감사의 박수를 보낸다 / 2018년 11월 26일 최근 포항시민을 위한 해병대 장병들의 미담이 계속해서 밝혀져 훈훈한 감동을 주고 있다. 지난 9일 해병대 1사단 23대대 소대장 박형규 ...
    Date2018.11.30 Views650
    Read More
  6. 포워드, 페이스풀, 포커스트

    박경기 중위(진) 해병대사령부 연합화력협조장교 한미 해병대 화력관계관 워크숍 참가차 얼마 전 일본 오키나와에 다녀왔다. 미 제3해병기동군(Ⅲ-MEF) 아래 화력·효과 협조본부(FECC) 및 예하 부대를 방문한 짧은 기...
    Date2018.11.29 Views733
    Read More
  7. 국방일보 [김정학 기고] 멀리 가려면 같이 가라

    김정학 해병대 교육훈련단장·준장 사막이나 정글을 혼자 헤쳐나가는 것은 무모한 짓이다. 외로움과 두려움, 맹수의 습격 등을 혼자서는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프리카 속담 중에 ‘멀리 가려면 같이 가라’...
    Date2018.11.26 Views868
    Read More
  8. 세상과 소통하는 국방홍보원

    유 원 열 해병중사 국방정신전력원 정훈중급반 지난달 23일, 평소보다 1시간 정도 일찍 일어났다. 여느 때처럼 전투복을 차려입고 나서는 길, 날씨는 쌀쌀했지만, 마음은 설레었다. 이날 나를 포함해 국방정신전력원 ...
    Date2018.11.11 Views899
    Read More
  9. [김명환 종교와삶] 如如, 변함이 없는 마음

    김명환 해병대1사단 군종실장·법사·중령 문명이 발전하고 삶은 풍요로워졌으며 진보하는 기술만큼 사람들 몸은 편안해졌지만, 마음은 그만큼 더 행복해지지 않은 것 같습니다. 앞으로 세상도 기술의 핵심은 사람들의 ...
    Date2018.10.30 Views818
    Read More
  10. 꿈과 희망이 있는 군 생활

    이 승 찬 일병 해병대1사단 “거꾸로 매달아도 국방부 시계는 간다”는 말이 있다. ‘힘들거나 즐겁거나 시간은 흐르고 전역은 다가온다’는 뜻이다. 몇몇 군인이 국방의 의무를 다하는 시간에 대해 “어떻게든 지나간다”...
    Date2018.10.29 Views769
    Read More
  11. 기다리기만 하던 나를 뛰게 한 버킷리스트

    장 병 헌 병장 해병대2사단 짜빈동대대 어느덧 전역을 두 달 남짓 남겨둔 병장이 됐다. 그동안 나는 크고 거창한 것보다는 병영생활 중에 실천할 수 있고, 구체적이며, 실현 가능한 것들로 나만의 버킷 리스트를 만들...
    Date2018.09.05 Views1039
    Read More
  12. '필승 DNA'에 '혁신' 이식 더 막강해진 '무적 해병'

    창설 69주년을 맞아 국가전략기동부대 대한민국 해병대가 달라지고 있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해병대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가고 있다. 1949년 4월 15일 진해 덕산비행장에서 창설된 해병대는 6·25 전쟁 당시 수많은...
    Date2018.05.16 Views1069
    Read More
  13. 해병대의 초심찾기 ‘참해병 혁신운동’

    조순근 대령 해병대1사단 행정부사단장 ‘작심삼일(作心三日)’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다. 결심한 마음이 사흘을 가지 못하고 금방 풀어진다는 뜻이다. 그래서 결심했던 일이 결실을 보려면 지속해서 마음을 바로잡는 것...
    Date2018.03.22 Views1655
    Read More
  14. 백령도와 해병대가 성장시킨 나

    김 태 환 (예)해병중위 전 해병대6여단 정훈참모실 ‘나도 국민이 힘들어할 때 도와주고 부하들보다 궂은일에 앞장서는 멋진 해병대 장교가 될 거야.’ 제주도에서 나고 자란 나는 어려서부터 해병대인을 꿈꿨다. 태풍 ...
    Date2018.03.08 Views979
    Read More
  15. 신화를 남긴 해병대 전통을 계승하자

    김 재 현 중위(진) 해병대2사단 선봉연대 1967년 2월 15일 새벽, 짙은 안개가 끼고 비가 내리는 베트남의 쾅나이성 손틴군 짜빈동 인근의 야트막한 30m 고지. 청룡부대 11중대는 2개 연대 규모의 월맹 정규군과 3시간...
    Date2018.02.25 Views88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