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로비에서 순서를 기다리던 그는 대한민국 해병이라고 했다. 입대를 앞둔 요즘 장정들이 경쟁을 해야 들어가는 귀신 잡는 해병대원이 무릎을 다쳐 군 병원의 서울이라 할 수 있는 국군수도병원에까지 온 것이다.

 ‘승패병가지상사(勝敗兵家之常事)’라는 말이 있듯 전쟁에 임하는 집안에서 승패는 흔한 것이며, 이기는 습관을 다지기 위해 훈련하다 보면 부상 또한 심심찮을 것이다. 고향이 대구인 해병에게 나는 아픈 데를 만지면서 ‘경상도 머슴아가 군대생활이 아니면 언제 연평도에 가겠느냐’라며 농담을 던지자 해맑게 웃었다. 청년은 전역 후 먼 훗날 그의 선배들이 그랬던 것처럼 ‘한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이라며 자부심 어린 무용담을 설파할 것이다.

 ‘셈퍼 피델리스(Semper Fidelis)’, 미 해병의 모토 역시 ‘항상 충성(Always Faithful)’이다. 항재전장(恒在戰場)의 상황에서 충성은 가장 핵심덕목이다.

 월스트리트저널 칼럼니스트 에릭 팰턴이 충성에 대해 멋진 비유를 했다. “높이 걸린 외줄타기에서 밑에 아무런 안전장치가 없다면 섣불리 시도하지 않겠지만 그물이 쳐 있다면 도전할 만하다. 무사히 건너갔다면 과연 성공은 그물 때문일까? 그물이 직접 사용되지 않았지만 만약의 경우 목숨을 살려줬을 것이다. 충성이란 바로 그물과 같은 것이다.”

 탈영의 유혹을 뿌리칠 수 있는 가장 큰 가치는 처벌이나 종교적 각성이 아니라 충성이다. 그래서 군대윤리학자들은 오래전부터 충성의 덕목을 주목해 왔는데, 가장 큰 오해는 그 대상을 상관이나 국가로 국한하려는 것이다.

 군인복무규율(제6조)에도 충성의 대상을 국가와 국민을 들고 있으며, 거수경례 때도 가장 많이 ‘충성’ 구호를 외친다. 구호를 붙이면서 과연 상관이나 국가, 국민에게의 충성을 얼마나 생각할까? 묻지도 따지지도 않는 충성은 복종이다. 충성의 강도는 집단에 대한 충성도가 이데올로기의 2~3배, 리더십의 6배보다 더 중요하다고 한다. 종적인 규율이 아닌 횡적인 연대일 때 충성의 강도는 가장 세다. 전우애가 바로 그것이다. 전우들이 열심히 훈련하고 일하는데 나만 편안한 곳에서 지낼 수 없다는 동료애야말로 가장 순수한 충성의 가치이기도 하다. 충성은 동료들이 어려움에 처했을 때 붙잡아 주는 든든한 믿음이다. 그래서 충성과 믿음은 헬라어로 ‘피스티스’라 해 뿌리가 같다. 해병청년의 멋진 충성을 기대하며 그의 쾌유를 빈다.

 

BBS_201402190349570760.jpg

 

 

황용필 정치학 박사
육군17사단 황상원 상병 아버지



  1. 당신의 그릇은 군인정신으로 가득 차 있습니까?

    서 형 교 중위(진) 해병대2사단 백호여단 해병의 긍지, 해병 생활신조, 장교의 책무, 국군의 이념과 사명. 후보생 시절부터 임관 후 초군반을 수료하기까지 수없이 외워왔던 여러 문구다. 각기 내용은 조금씩 다르지...
    Date2020.02.23 Views712
    Read More
  2. [김동우 기고] 4년 후, 새로운 철인의 탄생을 기대하며

    김동우 해군군수사령부 수송관리처장·중령 나이 46세, 트라이애슬론 입문 4년 차. 최근 중국 우한에서 열린 ‘제7회 세계군인체육대회’ 출전은 도전의 연속이었다. 수영 1.5㎞, 사이클 40㎞, 마라톤 10㎞를 완주해야 ...
    Date2019.11.27 Views6509
    Read More
  3. 나의 꿈에 날개를 달다!

    김동영 병장 해병대2사단 화룡대대 ‘정의와 자유를 수호하는 호국충성 해병대.’ 나는 어렸을 때부터 해병대를 동경했다. 해병은 강인한 체력과 정신력을 바탕으로 전문적인 전투기술을 숙달해 어떠한 상황에서도 임무...
    Date2019.11.05 Views1436
    Read More
  4. 아버지의 위문편지

    박태희 상사 해병대사령부 공병참모처 1994년 6월 아침, 시원한 바람이 나뭇가지를 간지럽히고 태양은 이글거릴 준비를 하며 살짝 고개를 내밀고 있었다. 아침 기상을 알리는 군가가 스피커에서 쏟아져 나오고 나와 ...
    Date2019.07.05 Views906
    Read More
  5. 당신은 누구의 인생을 살고 있는가?

    김다운 일병 해병대2사단 최근 감명 깊게 읽은 책 『자존감 심리학』(토니 험프리스 저·다산초당)의 원제목은 ‘Whose life are you living?’이다. 직역하면 ‘당신은 누구의 인생을 살고 있는가?’다. 옮긴 이는 이를 ...
    Date2019.05.19 Views702
    Read More
  6. 나를 ‘정상화’하다

    정상화 상병 해병대6여단 번개대대 입대 전 나는 ‘진짜 의미 있는 군 생활’을 다짐하며 해병대에 지원했다. 하지만 막상 백령도에 실무 배치받고 근무하다 보니 그때의 다짐은 어디론가 사라지고, 휴가와 전역을 기다...
    Date2019.05.03 Views42095
    Read More
  7. 백범김구기념관을 다녀와서

    김재환 준위 해병대사령부 인사참모처 2019년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다. 일제 강점기에 빼앗긴 나라의 주권과 자유를 되찾기 위해 독립 만세운동으로 나의 조국 대한민국을 지켜낸 해이...
    Date2019.04.21 Views722
    Read More
  8. 모든 것은 변화한다 - 이웅기 상병

    이웅기 상병 해병대 제2상륙장갑차대대 최근 꿈과 목표를 하나씩 정리하면서 심리학에 관심이 커졌다. 관련 도서를 찾던 중 중대 북카페에서 새하얀 배경에 긴 하늘색 소파가 그려진 표지의 책을 찾았다. 『프로이트...
    Date2019.04.21 Views518
    Read More
  9. 울릉도, 그곳을 수호하며

    노태관 상병 해병대1사단 32대대 울릉도는 ‘독도는 우리 땅’이라는 노래 가사에서도 볼 수 있듯이 독도 옆에 있는 작은 섬이다. 옛날엔 그 절경이 너무 아름답고 신기해서 마치 신선이 살 것 같다 해 무릉도원으로도 ...
    Date2019.03.24 Views657
    Read More
  10. 동계 종합 전술훈련을 통한 성장

    남종현 해병대 2사단 수색대대·소위 지난 1월부터 2월까지 약 6주 동안 대대급 동계 종합 전술훈련을 했다. 항상 ‘소대장은 지휘자로서 부하의 목숨을 책임져야 한다’라는 신념을 갖고 있었지만, 첫 훈련이기 때문에 ...
    Date2019.03.24 Views496
    Read More
  11. 지금 여기, 우리만 할 수 있는 경험들

    노동균 병장 해병대1사단 3연대 나는 어릴 적부터 ‘내가 만든 영상 혹은 사진을 통해 전 세계인의 마음에 감정을 새기는 것’이 내 소망이자 목표였다. 그래서 입대해서도 사진과 영상을 계속 배울 수 있으면 좋겠다고...
    Date2019.02.12 Views708
    Read More
  12. 모든 환경에서 싸워 이길 수 있는 전천후 포병!

    유지민 병장 해병대6여단 - 포병대대 순환훈련을 다녀와서 서해 최북단 백령도서군을 수호하는 우리 부대는 지난해부터 포병 순환 훈련을 하고 있다. 포병부대를 연천·포항 등으로 이동해 진행하는 해병대 전개훈련(M...
    Date2019.02.10 Views663
    Read More
  13. 비행기는 역풍을 타고 이륙한다

    김규태 중위(진) 해병대2사단 선봉대대 지난해 12월, 제2회 사단 주관 청룡전사 선발대회에 참가했다. 10월에 있었던 제1회 청룡전사 선발대회부터 참가하고 싶었지만, 당시 훈련으로 인해 참가할 수 없었다. 하지만 ...
    Date2019.01.31 Views675
    Read More
  14. 소걸음으로 먼 길을 간다

    이 성 욱 병장 해병대1사단 ‘1만 시간의 법칙’이란 어떤 분야의 일을 1만 시간 동안 반복할 경우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될 수 있다는 법칙이다. 나는 오늘 이 긴 1만 시간을 위해 장기 프로젝트를 실행하려고 한다. 가...
    Date2019.01.22 Views545
    Read More
  15. 선택과 책임

    이완준 상병 해병대1사단 3연대 전지중대 42.195㎞의 마라톤. 언젠가 반드시 뛰고 싶다. 이렇게 자발적인 내 선택과 달리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뛰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같은 사람이 같은 거리를 뛰고 같은 고통...
    Date2019.01.22 Views51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