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역사는 곧 전쟁의 역사다. 영토·종교·인종 등 문제로 기록될 만한 지구촌 전쟁의 희생자만 36억4000명에 이른다는 연구물도 있다. 전쟁의 역사는 군대 역사이기도 한데 시대마다 막강 군대가 존재해 왔다. 지중해를 석권한 로마제국군, 유라시아 대륙을 휩쓴 칭기즈칸의 몽골군, 해가 지지 않는 나라를 건설한 대영제국 해군 등이다. 현대는 뭐니뭐니해도 미군이 육·해·공에서 세계를 호령한다.
 
따지고 보면 대한민국의 군사력도 만만치 않다. 미국 군사력평가기관인 글로벌파이어파워가 매년 내놓는 각국 순20170206_22030192418i1.jpg


위에서 확인된다. 한국은 2011년부터 세계 7, 8위를 오르내리다 지난해 11위로 다소 처진 평가를 받았지만 북한(25위)보다는 여전히 우위다. 북한은 35~36위에서 맴돌다 뛰어 오른 게 그렇다.

이런 우리나라에서 최강 군대를 논하는 데 해병대를 빼놓을 수 없다. 한국 해병대는 1949년 380명의 엘리트 병력으로 탄생, 올해로 창설 68주년을 맞는다. 자부심인 '필승 DNA' 신화는 6·25전쟁 때부터 이어져 왔다. 통영·경인·도솔산지구 등 7대 작전에서의 혁혁한 전공은 '귀신 잡는 해병'이라는 명성을 낳게 했다. '청룡부대'라는 이름으로 베트남에 파병돼 거둔 전과도 눈부시다. 1개 중대가 월맹군 2개 연대를 격퇴한 짜빈동 전투가 대표적. 외신들이 '신화를 남긴 해병대'라며 전 세계로 타진했을 정도다.


'한 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이다'는 특유의 전우애로 뭉친 해병대가 최근 재조명을 받고 있다. 지난주 한국을 방문한 미 트럼프 정부의 초대 국방장관 제임스 매티스 때문. 45년간 미 해병대에 근무하고 2013년 퇴역한 4성 장군 출신이다. "나는 해병대와 결혼했다"고 입버릇처럼 말해 왔다고 한다. 실제 평생 독신으로 살아 '수도승 장군'이란 별명도 가진 매티스가 "한국 해병대 정 하사를 만나고 싶다"며 한민구 국장부 장관한테 찾아줄 것을 요청한 사실이 알려져 더욱 화제다.

매티스 장관은 1970년 초반 한미 연합훈련 때 한국에 왔었는데 당시 정씨 성을 가진 하사가 추운 날씨에도 김치를 가져다주는 등 도움을 안겼다고. 그뿐만 아니라 정 하사가 군 생활에 영감을 줘 현재의 자신을 있게 했다는 게 매티스의 감회다. 해병대 전우회를 중심으로 때아닌 정 하사 수소문에 나섰는데 65~75세로 추산된다고. 참으로 알 수 없는 게 인연이다. 사람 관계는 돌고 도는 것이니 첫 만남부터 잘 맺어야 할 터. 정 하사가 던지는 훈훈한 교훈이다.


변영상 수석논설위원 bys@kookje.co.kr

기사출처 : 국제신문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1700&key=20170206.22030192418



  1. 청춘이여, 도전하고 경험하라!

    노재선 상병 해병대1사단 포병여단 “청춘이란 인생의 어떤 한 시기가 아니라 마음가짐을 뜻한다. 나이를 먹는다고 해서 늙는 것이 아니고 이상을 잃어버렸을 때 비로소 늙는 것이다. 머리를 드높여 희망이라는 파도를...
    Date2020.07.09 Views1008
    Read More
  2. 대한민국 국방력을 이끌 작은 걸음들

    박찬영 소령 해병대사령부 복지/전직지원처 - ‘제1회 해병대 창업경진대회’를 마치며 이스라엘은 인구는 적지만 강력한 국방력을 가진 나라다. 특히 세계에서도 손꼽힐 정도로 강력한 무기 체계 개발 기술을 갖고 있...
    Date2020.07.02 Views1200
    Read More
  3. [김정학 기고] 아버지의 바람과 자랑

    김정학 해병대전투발전위원회 연구위원·(예)해병준장 사람들은 이런저런 이유로 저마다 각자의 바람을 가지고 살아간다. 대부분 학교 성적, 건강, 출세, 명예, 부, 행복, 건강한 사회, 부강한 나라 등의 바람일 것이...
    Date2020.06.26 Views1585
    Read More
  4. 내 꿈의 밑거름 ‘해병 정신’

    최시혁 대위 해병대6여단 서해 최북단 백령도의 새벽녘, 자욱하게 내려앉은 해무(海霧)를 헤치고 연병장에 들어서서 깃털처럼 가볍게 느껴지는 두 주먹을 빠르게 뻗어본다. 아침 운동의 마지막인 400m 전력질주가 끝...
    Date2020.06.26 Views536
    Read More
  5. 무적해병의 초석, 도솔산지구 전투

    김태준 중사 해병대2사단 선봉여단 오늘날 해병대는 ‘무적해병’ ‘귀신 잡는 해병’ ‘신화를 남긴 해병’ 등으로 불린다. 또 많은 사람이 해병대를 ‘교육훈련이 강한 부대’ ‘싸우면 이기는 부대’로 인식하고 있다. 과연 ...
    Date2020.06.26 Views388
    Read More
  6. 시대를 초월한 마음

    박경렬 중위 해병대1사단 포병여단 “국가가 여러분에게 무엇을 해줄 수 있을지를 묻지 말고, 여러분이 국가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를 생각하십시오.” 전 미국 대통령 존 F 케네디가 취임식에서 낭독한 구절이며,...
    Date2020.06.26 Views336
    Read More
  7. 임관 후 처음 맞는 호국보훈의 달

    한 규 범 중위 해병대2사단 백호여단 당신에게 6월은 어떤 의미인가? 누군가에게 6월은 생일이나 기념일이 있는 의미 있는 달일 것이다. 다른 누군가에게는 더운 날씨를 맞아 휴가를 가거나 각종 취미생활로 스트레스...
    Date2020.06.26 Views293
    Read More
  8. 승리는 합동성 강화로부터

    남현철 소령 해병대 제1항공대대 합동성(jointness). 사전적 의미로 ‘둘 이상의 조직이나 개인이 모여 행동이나 일을 함께하는 성질’을 말한다. 군에서 합동성이란 전장에서 승리하기 위해 지상·해상·공중전력 등 모...
    Date2020.06.26 Views380
    Read More
  9. ‘안전 해병대 만들기’를 위한 우리의 다짐

    박승범 상사 해병대 제2포병여단 최근 코로나19 방역 현장에서 활약하는 국군 장병들을 지켜보며 이들의 헌신이 국가와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일종의 전투라는 생각을 했다. 안전의 사전적 정의는 ‘위험이 생...
    Date2020.06.26 Views371
    Read More
  10. 소통으로 하나 된 중대

    김병준 하사 해병대 연평부대 포반장 최근 부대에서 조직력 경연대회를 개최했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다소 처져 있는 분위기와 지속된 거리 두기로 점점 개인화되어 가는 부대의 일상을 개선하고, 최근 논란이 ...
    Date2020.06.02 Views791
    Read More
  11. 해병으로 거듭나기

    해병대 생활 통해 얻은 경험·사랑 보답코자 청해부대 파병 기간 받은 생명수당 기부 어릴 적 동경했던 해병대원의 멋진 모습 지금 내 모습과 닮았을까요? 박강민 병장 해병대1사단 멧돼지여단 <국방일보 병영의창> 지...
    Date2020.04.30 Views1207
    Read More
  12. [김형래 기고] 국군의 혁신을 위한 제언

    김형래 중령 해병대6여단 『무한혁신』(노나카 이쿠지로 저)은 세계 최강의 조직으로 성장한 미국 해병대의 생존전략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책이다. 저자는 미 해병대가 “통렬한 반성과 현실 직시 그리고 미래 예측을...
    Date2020.04.30 Views1766
    Read More
  13. 그들이 걸어온 조국수호의 길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1주년을 기리며 권선혜 대위 해병대2사단 백호여단 백범 김구 선생, 도산 안창호 선생, 매헌 윤봉길 의사, 철기 이범석 장군…. 대표적인 몇 분만 언급했지만, 머릿속에 떠오르는 임시정부 ...
    Date2020.04.15 Views1140
    Read More
  14. 나의 꿈, 해병대에서 이루다

    임보배 하사 해병대2사단 선봉여단 [국방일보 병영의 창] ‘귀신 잡는 해병.’ 해병대 하면 누구나 떠올리는 문구다. 이 문구는 꿈이 없던 어느 중학생의 가슴을 울렸고, 이 울림이 해병대만이 누릴 수 있는 빨간 명찰...
    Date2020.04.07 Views971
    Read More
  15. 차이의 인정에서 시작되는 선진 병영문화

    정 인 교 중사 해병대6여단 포병대대 서해 최북단 백령도, 그중에서도 가장 높은 고지 관측소(OP)에서 임무를 수행하며 전역을 50여 일 남겨두고 있는 지금, 지난 군 생활을 되돌아보며 느낀 것이 있다. 나는 2014년...
    Date2020.02.23 Views94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