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순채.jpg



[아시아타임즈 정순채칼럼] 6.25전쟁은 70년 전 북한이 암호명 ‘폭풍’이란 이름으로 남침한 동족상잔의 비극을 낳은 전쟁이다. 민간인과 군인을 합쳐 약 160만 여명이 피해를 입은 우리역사 상 가장 가슴 아픈 전쟁이었다. 경찰도 1만 여명이 전사하는 등 정규군과 다름없이 목숨을 걸고 전투에 임했다.

1950년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 이후 압록강에 가까운 평안북도 운산까지 북진한 유엔군은 1950년 10월 하순 수적으로 우세한 중공군의 개입으로 후퇴하게 된다. 그 와중에 중공군의 공세를 저지하여 피난민 10만 명의 생명을 살린 크리스마스의 기적 흥남철수를 가능하게 했던 전투가 있었다. 바로 ‘장진호 전투’다.

장진호 전투는 1950년 11월부터 12월까지 북한 함경남도 장진호 지역에서 미군 제1해병사단을 주축으로 한 유엔군이 중공군 제9병단에 속한 3개 군단 병력과 벌인 전투다. 유엔군과 중공군 사이에 벌어진 역사상 가장 치열한 전투였다고 알려져 있다. 한국전쟁에서 인천상륙작전과 다부동 전투와 함께 3대 전투 중 하나인 장진호 전투는 유엔군 1만7000여명, 중공군 4만800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처절한 전투로 기록됐다.


이러한 장진호 전투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참전경찰들의 뛰어난 무공이 있다. 변변한 무장도 없이 싸워야 했던 경찰관들은 1950년 8월 1만 5천명들의 경찰관들이 유엔군에 배속되어 전쟁을 하게 된다. 한국 경찰들은 유엔군이 낯선 이국땅에서 원활한 작전으로 승리하도록 큰 역할을 했다. 그리고 그중 일부 경찰관들은 유엔군에게 별도의 특별훈련을 받고 ‘화랑부대’라는 이름으로 재편이 되었다.


화랑부대는 인천상륙 및 서울수복작전에 함께 참전하고, 유엔군과 함께 압록강 부근까지 북진했다. 그 중에서도 미 해병 1사단에 배속된 경찰부대는 미 해병들과 함께 장진호 전투에 참전했다. 일제 강점기 때 만들어진 인공호수인 장진호는 눈보라가 몰아치고, 영하 40도를 오르내리는 혹한의 협곡지대이다. 화랑부대가 배속된 미 해병 1사단 5연대 3대대는 11월 27일 장진호 유담리에서 중공군의 인해전술 공격을 맞게 된다.

화랑부대는 엄청난 수의 몰려드는 중공군을 향해 기관총 세례를 발포하여 200명이 넘는 적군들을 사살했다. 화랑부대는 중공군 공격의 예봉(銳鋒)을 잡았고, 화랑부대 기관총 대원들의 영웅적인 희생은 대대 지휘본부 지역으로 진격하던 중공군을 확실하게 저지했다. 중공군의 공세를 저지한 유담리 전투는 아군의 성공적인 철수를 가능하게 했고, 흥남부두에서 수많은 피난민들을 구할 수 있는 기반이 됐다.

당시 미해병 1시단 5연대 3대대장이었던 로버트 태플릿은 자신의 수기에서 “화랑부대는 상대 공격의 예봉을 잡았고, 화랑부대 기관총 대원들의 영웅적인 희생은 대대지휘본부로 진격하던 중공군을 확실하게 저지했다”고 회고했다. 당시 미 해병 통역장교였던 이종연(현 91세) 재미변호사는 “한국경찰은 장진호 서쪽 유담리에서 전투를 했다. 경찰관들이 전투 전문인 미 해병과 함께 싸우면서 주공격을 맡았다는 것은 대단한 일이다. 이 사람들은 (경찰)정신으로 싸운 사람들이다. 경찰이 진짜로 멋있게 싸웠다”고 증언했다.

당시 세계 최강 부대인 미 해병대까지 극찬한 장진호의 참전 경찰들이 있었지만 이제껏 그들의 이름도, 전공도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1957년 작성된 경찰의 ‘UN종군기장 수여대상자 조사명부’에서 겨우 찾아낸 18명의 경찰 영웅들에 대한 선양(宣揚)과 예우(禮遇)를 강화하고, 아직 확인하지 못한 다른 참전 경찰관들을 지속적으로 찾아내야 할 것이다. 역사는 이들을 기억하지 못했다. 이들 외에도 당시 장진호에서 이미 전사한 또 다른 영웅들은 그 차가운 땅속에 이름도 없이 잠들어 있을 것이다.

우리는 쉽게 조국과 애국을 말하지만 자신의 목숨을 바쳐 후손들의 평화로운 삶을 지켜준 경찰 영웅들의 희생을 너무도 쉽게 지나쳤던 것은 아닌지 반성해 본다. 현재의 우리가 가슴속 한줄기 뜨거움이 있다면 눈을 들어 구국의 경찰역사를 바라봐야 한다. 그리고 우리는 그들의 영웅적 이야기를 기억해야 한다. 


출처 아시아타임즈

https://m.asiatime.co.kr/news/newsview.php?ncode=1065592394587512



  1. 도전하는 군인

    송유온 상병 해병대군수단 상륙지원대대 내게 2018년은 아주 특별한 해였다. 군인이 된 해였기 때문이다. 지난해 1월, 친구들은 나에게 왜 이리 일찍 가느냐고, 군대에 자원해서 가는 나를 비꼬고 동정했지만, 나는 ...
    Date2019.01.22 Views543
    Read More
  2. 존중과 배려가 성숙한 인존중과 배려가 성숙한 인간을 만든다 - 소설 『앵무새 죽이기』를 읽고

    장대광 상사 해병대6여단 감찰실 해병대는 인권 강화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나 역시 해병대원으로서 전우의 인권을 지키자는 각종 표어·포스터 등을 통해 수시로 접했지만, 정작 그 의미를 공감하고 ...
    Date2019.01.14 Views663
    Read More
  3. 너무 늦지도 빠르지도 않다

    염하얀 하사 해병대1사단 킹콩연대 우리는 어린 시절부터 경쟁 사회에 노출돼 있다. 좋은 학교를 가기 위해 친구들과 끊임없는 경쟁을 했고, 군대에서도 경쟁은 똑같이 진행된다. 나는 진급과 장기복무라는 목표를 가...
    Date2018.12.27 Views875
    Read More
  4. [국방일보 병영의창] 전방 소초장 임무를 마치면서

    박은주 중위 해병대2사단 짜빈동대대 어린 시절 막연하게 ‘군인이 되고 싶다’던 목표는 대학교 졸업과 러시아 유학 이후 해병대 장교인 남편을 만나고부터 더욱 현실로 다가왔다. 다소 늦은 나이에 도전했던 첫 번째 ...
    Date2018.12.03 Views3053
    Read More
  5. No Image

    [대경일보 사설]해병대 장병들에게 감사의 박수를 보낸다

    [대경일보 사설]해병대 장병들에게 감사의 박수를 보낸다 / 2018년 11월 26일 최근 포항시민을 위한 해병대 장병들의 미담이 계속해서 밝혀져 훈훈한 감동을 주고 있다. 지난 9일 해병대 1사단 23대대 소대장 박형규 ...
    Date2018.11.30 Views650
    Read More
  6. 포워드, 페이스풀, 포커스트

    박경기 중위(진) 해병대사령부 연합화력협조장교 한미 해병대 화력관계관 워크숍 참가차 얼마 전 일본 오키나와에 다녀왔다. 미 제3해병기동군(Ⅲ-MEF) 아래 화력·효과 협조본부(FECC) 및 예하 부대를 방문한 짧은 기...
    Date2018.11.29 Views733
    Read More
  7. 국방일보 [김정학 기고] 멀리 가려면 같이 가라

    김정학 해병대 교육훈련단장·준장 사막이나 정글을 혼자 헤쳐나가는 것은 무모한 짓이다. 외로움과 두려움, 맹수의 습격 등을 혼자서는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프리카 속담 중에 ‘멀리 가려면 같이 가라’...
    Date2018.11.26 Views868
    Read More
  8. 세상과 소통하는 국방홍보원

    유 원 열 해병중사 국방정신전력원 정훈중급반 지난달 23일, 평소보다 1시간 정도 일찍 일어났다. 여느 때처럼 전투복을 차려입고 나서는 길, 날씨는 쌀쌀했지만, 마음은 설레었다. 이날 나를 포함해 국방정신전력원 ...
    Date2018.11.11 Views899
    Read More
  9. [김명환 종교와삶] 如如, 변함이 없는 마음

    김명환 해병대1사단 군종실장·법사·중령 문명이 발전하고 삶은 풍요로워졌으며 진보하는 기술만큼 사람들 몸은 편안해졌지만, 마음은 그만큼 더 행복해지지 않은 것 같습니다. 앞으로 세상도 기술의 핵심은 사람들의 ...
    Date2018.10.30 Views818
    Read More
  10. 꿈과 희망이 있는 군 생활

    이 승 찬 일병 해병대1사단 “거꾸로 매달아도 국방부 시계는 간다”는 말이 있다. ‘힘들거나 즐겁거나 시간은 흐르고 전역은 다가온다’는 뜻이다. 몇몇 군인이 국방의 의무를 다하는 시간에 대해 “어떻게든 지나간다”...
    Date2018.10.29 Views769
    Read More
  11. 기다리기만 하던 나를 뛰게 한 버킷리스트

    장 병 헌 병장 해병대2사단 짜빈동대대 어느덧 전역을 두 달 남짓 남겨둔 병장이 됐다. 그동안 나는 크고 거창한 것보다는 병영생활 중에 실천할 수 있고, 구체적이며, 실현 가능한 것들로 나만의 버킷 리스트를 만들...
    Date2018.09.05 Views1039
    Read More
  12. '필승 DNA'에 '혁신' 이식 더 막강해진 '무적 해병'

    창설 69주년을 맞아 국가전략기동부대 대한민국 해병대가 달라지고 있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해병대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가고 있다. 1949년 4월 15일 진해 덕산비행장에서 창설된 해병대는 6·25 전쟁 당시 수많은...
    Date2018.05.16 Views1069
    Read More
  13. 해병대의 초심찾기 ‘참해병 혁신운동’

    조순근 대령 해병대1사단 행정부사단장 ‘작심삼일(作心三日)’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다. 결심한 마음이 사흘을 가지 못하고 금방 풀어진다는 뜻이다. 그래서 결심했던 일이 결실을 보려면 지속해서 마음을 바로잡는 것...
    Date2018.03.22 Views1655
    Read More
  14. 백령도와 해병대가 성장시킨 나

    김 태 환 (예)해병중위 전 해병대6여단 정훈참모실 ‘나도 국민이 힘들어할 때 도와주고 부하들보다 궂은일에 앞장서는 멋진 해병대 장교가 될 거야.’ 제주도에서 나고 자란 나는 어려서부터 해병대인을 꿈꿨다. 태풍 ...
    Date2018.03.08 Views979
    Read More
  15. 신화를 남긴 해병대 전통을 계승하자

    김 재 현 중위(진) 해병대2사단 선봉연대 1967년 2월 15일 새벽, 짙은 안개가 끼고 비가 내리는 베트남의 쾅나이성 손틴군 짜빈동 인근의 야트막한 30m 고지. 청룡부대 11중대는 2개 연대 규모의 월맹 정규군과 3시간...
    Date2018.02.25 Views885
    Read More
  16. 국방개혁 완성을 위한 제언

    김 종 화 소령 해병대2사단 작전참모실 작전계획과 과거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맹자는 “천시는 지리만 못하고, 지리는 인화만 못하다(天時不如地利, 地利不如人和)”라고 해 인적자원을 전쟁의 결정적 승리요인으로 보...
    Date2017.12.18 Views994
    Read More
  17. 꿈과 희망을 통한 전투력의 배가

    조순근 해병대령해병대사령부 항공단창설준비단장 병영 내 악성 사고는 ‘적’만큼이나 경계하고 조심해야 한다. 부대 장병들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이로 인해 유·무형의 전투력 손실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전우에 대한 ...
    Date2017.10.29 Views1092
    Read More
  18. 해병대 창끝부대 소대장의 다짐

    김상아 중위(진)가 중대전술훈련의 일환인 4박5일간의 130km 완전군장 행군에서 선두에 서서 소대원들을 이끌고 있다. <사진 부대 제공> 내 꿈은 초등학생 시절부터 군인이었다. 그런 내가 해병대 ROTC 장교를 지원한...
    Date2017.10.29 Views13002
    Read More
  19. 나를 강하게 만든 혹서기 100㎞ 산악무장행군

    오주현 일병 해병대1사단 행군은 힘들다. 군대에서 행군은 더욱 힘들다. 산악행군은 더더욱 힘들다.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한여름 산악행군은 더더욱 힘들다. 그러나 우리는 7월의 한여름에 전우들과 함께 100㎞ 산...
    Date2017.08.06 Views1590
    Read More
  20. 달의 뒤편 이야기

    나 상 진 소위 해병대2사단 차갑고 어두운 밤, 한적한 길을 걸어본 적이 있는가. 그렇다면 한 번쯤은 달빛이 어두컴컴한 길을 밝게 비춰주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한밤중에 빛을 내며 우리를 안전하게 인도하는 달빛...
    Date2017.07.18 Views93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 28 Next
/ 2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