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일보 2024.03.07] 길리슈트(저격수용 위장복) 종류가 이렇게 다양했던가? 온갖 위장복을 한눈에 보니 ‘형형색색’까진 아니더라도 아이디어의 다채로움이 느껴졌다. 경북 포항시 수성사격장에서 진행 중인 제3회 해병대사령관배 저격수 경연대회에는 해병대뿐만 아니라 육·해·공군 저격팀, 미 해병대 저격팀까지 총출동했다. 내로라하는 스나이퍼들이 한자리에 모인 만큼 열기는 뜨거울 수밖에 없었다. 치열하면서도 공정한 경쟁을 펼치고 있는 저격대회 현장을 다녀왔다. 글=이원준/사진=조종원 기자

제3회 해병대사령관배 저격수 경연대회 1.jpg

지난 6일 경북 포항시 수성사격장에서 열린 제3회 해병대사령관배 저격수 경연대회에서 해병대1사단 저격팀이 신체의탁쏴 자세로 사격을 준비하고 있다.

제3회 해병대사령관배 저격수 경연대회 2.jpg

 

해군 저격팀이 엎드려쏴 자세로 표적을 겨냥하고 있다.

 

 


국군 최초 연합·합동 저격대회 25개 팀 출전

해병대사령부 주관으로 지난 4일부터 8일까지 열리는 저격수 경연대회에는 ‘국군 최초 연합·합동 저격대회’라는 타이틀이 걸렸다. 육·해·공군과 해병대에 더해 미군 저격팀까지 한 자리에 모여 실력을 겨루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원샷! 원킬!’의 최정예 저격팀이 같은 공간에 있는 건 그만큼 어렵다는 이야기다.

해병대사령부는 해병대 최고의 저격팀을 가리는 저격수 대회를 2022년 도입했다. 올해부터는 참가 범위를 육·해·공군과 미 해병대까지 확장했다. 그 결과 해병대 9개 팀, 육군 7개 팀, 해·공군 각 3개 팀, 미 해병대 3개 팀까지 총 25개 팀(50명)이 출전했다. 해병대는 이번 대회를 통해 정예 저격수 양성 ‘붐’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소속 군과 한미 간에 전술이 조금씩 차이가 있는 만큼 대회는 ‘공정성’에 초점을 맞췄다. 평가는 6개 과목별로 △난이도 △표적 제압률 △제한 시간 등 배점에 따라 점수를 부여했다. 특히 평가의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자동 감응식 표적과 탄착점 확인 모니터를 운용했다.

대회 첫날에는 개회식에 이어 사거리 500m 내 고정표적을 제압하는 ‘미지거리 사격’을 했다. 이튿날에는 주어진 사거리별 고정표적을 제압하는 ‘주간 정밀사격’과 600m 떨어진 고정표적의 거리·각도를 계산해 사격하는 ‘경사각 사격’을 했다. 400m 거리의 움직이는 표적을 제압하는 ‘이동표적 사격’과 800m 고정표적을 사격하는 ‘원거리 사격’도 평가 과목이다.


 

제3회 해병대사령관배 저격수 경연대회 3.jpg

해병대1사단 저격팀이 사격을 위해 이동하는 모습.



저격수·관측수 완벽 팀워크로 신체의탁쏴 완료

현장을 찾은 지난 6일에는 ‘격동 사격’을 평가 중이었다. 저격수와 관측수 2인 1조로 구성된 저격팀은 20㎏의 군장을 메고 200m를 기동해야 한다. 이어 정해진 사격 자세에 맞춰 400m 떨어진 표적을 사격한다. 사격 자세는 기본 자세인 엎드려쏴와 무장의탁쏴, 신체의탁쏴, 무릎쏴, 서서쏴까지 총 5가지다. 

가장 먼저 해병대1사단 32대대 저격팀이 평가에 나섰다. 200m를 전력 질주해 사격 지점에 도착한 두 사람은 침착하게 호흡을 가다듬으며 K14 저격소총과 관측경을 준비했다. 저격수는 저격소총 상단의 조준경으로, 관측수는 고배율 관측경으로 표적을 확인했다. 육안으로 보이는 표적은 손톱만큼 작은 크기. 하지만 사거리와 바람의 움직임을 계산하는 이들의 표정에서는 ‘명중’이라는 확신이 느껴졌다.

32대대 저격팀은 신체의탁쏴를 부여받았다. 관측수가 저격소총 거치대 역할을 하는 신체의탁쏴는 주로 총기 거치가 어려운 시가지나 경사지에서 활용한다. 사람의 몸이 거치대여서 미세한 흔들림이 있다.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선 격발 순간까지 저격수와 관측수의 호흡이 중요하다.

관측수 오른쪽 어깨에 저격소총을 거치한 박이슬 중사는 지체없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잠시 후 정적을 깬 단발의 총성, 그리고 평가관의 “히트(명중)!” 외침. ‘일발필중’의 사격술로 숨어 있던 적군을 완벽히 제압한 순간이었다.

이번 대회 유일한 여군 저격수인 박 중사는 “해병대 대표라는 책임감과 저격수 직책의 사명감을 갖고 최선을 다해 대회를 준비했다”며 “새로운 사격 기술과 자세를 많이 배워 한 단계 더 성장했음을 체감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제3회 해병대사령관배 저격수 경연대회 4.jpg

서서쏴 자세로 대기하고 있는 미 해병대 저격팀.


대물 저격총 사격하며 전술전기 배양 

이날 대회에서는 특별한 프로그램이 병행됐다. 지난해부터 우리 군에 전력화 중인 ‘대물(對物) 저격총’ 사격이 주인공이다. 대인(對人) 살상용인 일반 저격소총과 달리 대물(對物) 저격총은 이름 그대로 장갑차량 등의 장비를 무력화하기 위해 강력한 화력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사격장에 등장한 장비는 바렛(Barrett)의 M107 계열 대물 저격총. K6 중기관총의 12.7㎜ 탄을 사용하는 총기다. M107 계열을 운용하고 있는 미 해병대 저격팀은 대물 저격총이 익숙한 듯 우리 군 장비를 능숙하게 조작했다.

대물 저격총 사격은 한미 장병들이 팀을 이뤄 진행했다. 표적은 400m 거리에 놓인 차량. 사수로 나선 한미 해병대 장병은 하나의 목표를 함께 겨냥했다. 이어 사격 개시 명령과 동시에 10발씩, 총 20발을 발사했다. 표적 차량은 순식간에 ‘벌집’이 됐다.

미 해병대 킹 라이언 하사는 “동맹군과 경쟁하며 서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기회였다. 끈끈함뿐만 아니라 스나이퍼라는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어 좋았다”고 말했다.

해병대사령부는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4팀을 선발해 상장과 상패·메달, 포상금을 수여한다. 또 이번 대회를 시작으로 매년 자유의 방패(FS) 연합연습과 연계한 연합·합동 저격대회를 개최해 정예 저격수 양성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1. 2024년 예비군훈련 3월 4일부터 시작

    국방부는 3월 4일(월)부터 전국 예비군훈련장에서 280만여 명의 예비군을 대상으로 “2024년도 예비군훈련을 시작한다고 17일 밝혔다. 국방부는 △실전적인 훈련을 통해 예비군들이 전ㆍ평시 작전수행능력을 갖추게 하...
    Date2024.01.19 Views11672
    Read More
  2. 밀리토피아 호텔 · 문화센터, 해병대회관으로 전환 확정, 해병대창설기념일 4월 15일 개관

    국방부는 2024년 1월 18일, 군인복지운영위원회를 개최하여 밀리토피아 호텔·문화센터를 해병대 회관으로 전환하는 것에 대해 확정하였다고 19일 밝혔다. 이에 따라 밀리토피아 호텔·문화센터를 운영하는 부대는 국군...
    Date2024.01.19 Views11044
    Read More
  3. 합참차장, NATO 군사위원회 국방총장 회의 참가

    합참차장, NATO 군사위원회 국방총장 회의 참가 사진 합참 제공 합참은 황유성(육군 중장) 합참차장이 김명수 합참의장을 대리해 벨기에 브뤼셀에서 1월 17일(수)부터 18일(목)까지 개최된 ‘NATO 군사위원회 국방총장...
    Date2024.01.19 Views9815
    Read More
  4. 제2연평해전 영웅 이희완 차관, 18일 '안보의 섬' 연평도 군 장병 및 국가유공자 위문

    이희완 국가보훈부 차관이 18일 오전 해병대 연평부대를 방문해 장병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보훈부 제공 새해 들어 북한의 잇따른 포사격 등으로 군사적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제2연평해전을 이끌었던 ...
    Date2024.01.18 Views8441
    Read More
  5.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관련 군의 입장

    □ 북한은 어제(1.14.) 극초음속 미사일을 장착한 고체연료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을 발사했다고 주장했음. □ 북한의 이같은 행태는 탄도미사일 기술 활용을 금지하고 있는 ‘유엔안보리 결의’를 위반한 명백한 도발행...
    Date2024.01.16 Views9544
    Read More
  6. 신원식 국방부장관 인터뷰 ② "신형 IRBM 이달 중 발사할 수도"

    신원식 국방부장관 인터뷰 ② "신형 IRBM 이달 중 발사할 수도"
    Date2024.01.14 Views10946
    Read More
  7. 신원식 국방부장관 인터뷰 ① "해병대가 돌아왔다"

    신원식 국방부장관 인터뷰 ① "해병대가 돌아왔다"
    Date2024.01.14 Views10806
    Read More
  8. 신원식 국방부장관 인터뷰 ③ "팍 일하고 푹 쉬는 군대 만들겠다"

    신원식 국방부장관 인터뷰 ③ "팍 일하고 푹 쉬는 군대 만들겠다"
    Date2024.01.14 Views8308
    Read More
  9. 국가보훈부, 2024년 국가보훈의료 주요 계획 발표

    - 보훈병원 기반시설 확충... 중앙보훈병원 진료시설 확장 및 개선, 광주보훈병원 중증·응급의료시설 확충, 대구보훈병원 재활센터 완공 등 - 정보통신 자원 통합·공유(클라우드) 기반 차세대 보훈병원정보시스템 개...
    Date2024.01.13 Views8393
    Read More
  10. 국가보훈부, 국가유공자 전용 온라인 즉시 대출 도입... 1월부터 시행

    “생활안정자금 이제 휴대전화 앱으로 신청하세요” ▲ 국가유공자 대부한도액 및 상환조건 국가유공자를 비롯한 보훈가족들에게 시행되고 있는 나라사랑대출 가운데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생활안정자금에 대한 온라...
    Date2024.01.13 Views7118
    Read More
  11. 신원식 국방부장관, 국방과학연구소를 방문 첨단 무기체계 개발 현장 점검

    “대량응징보복(KMPR) 작전 수행을 위한 첨단 감시정찰 및 초정밀·고위력 타격체계 개발에 박차” ▲12일 국방과학연구소를 방문한 신원식 국방부장관이 연구소 내의 순직 연구원 추모공간에서 그동안 첨단 무기체계 개...
    Date2024.01.13 Views6455
    Read More
  12. [2024년 방위사업청 정책 돋보기] 인공지능(AI) 과학기술로 전방지역 경계 강화된다

    ▲ 운영체계도 이미지 방위사업청 방위사업청(청장 엄동환)은 기존 일반 전방초소(General Out Post, 이하 GOP) 과학화경계시스템 대비 인공지능(AI) 영상분석 기능 및 탐지능력이 향상된 주·야간(열영상) 감시카메라 ...
    Date2024.01.10 Views8347
    Read More
  13. [2024년 방위사업청 정책 돋보기] 고해상도 전천후 군 정찰위성 2, 3호기 발사 예정

    방위사업청(청장 엄동환, 이하 방사청)은 425사업의 2, 3호 위성(SAR위성)을 올해 플로리다 케이프캐너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SpaceX의 Falcon-9 발사체를 이용하여 발사할 예정이다. 425사업 SAR위성은 주, 야간 악기...
    Date2024.01.10 Views7580
    Read More
  14. 김명수 합참의장, 롭 바우어 NATO 군사위원장과 공조통화

    합동참모본부는 김명수 합참의장이 1월 9일(화) 오후, 롭 바우어(Rob Bauer, 네덜란드 해군대장) NATO 군사위원장과 취임 후 첫 공조통화를 실시하여, 다음 주 개최 예정인 NATO 군사위원회 국방총장 회의 주요 의제,...
    Date2024.01.10 Views7148
    Read More
  15. 국방부장관, 드론작전사령부 방문, 압도적·공세적 작전태세 확립 강조

    신원식 국방부장관은 1월 8일(월), 드론작전사령부를 방문해 대비태세를 점검하고 장병들을 격려했다. 신원식 장관은 작전현황을 보고받는 자리에서 “북한은 한반도 정세 악화의 책임을 적반하장식으로 우리 측에 전...
    Date2024.01.08 Views8067
    Read More
  16. 국가보훈부, 새해 제대군인 전직지원금 10% 인상

    - 중기복무자 50만원 → 55만원, 장기복무자 70만원 → 77만원(각 10% 인상) - 보훈부, 2027년까지 고용노동부 구직급여의 50% 수준(99만원)으로 인상 계획 - 강정애 장관 “제대군인 지원은 제대군인과 현역군인의 사기...
    Date2024.01.07 Views8701
    Read More
  17. 전쟁기념사업회, <공조: HID와 해병대> 특별전

    ▲공조 : HID와 해병대 포스터 전쟁기념사업회(회장 백승주)는 28일(목) 전쟁기념관에서 6·25전쟁영웅 김동석·박정모 특별전 <공조: HID(Headquarters of Intelligence Detachment)와 해병대>를 개막했다. 이번 기획전...
    Date2024.01.07 Views7554
    Read More
  18. [2024년 방위사업청 정책 돋보기] 무기체계 소프트웨어, 맞춤형 절차 마련한다

    방위사업청(청장 엄동환)은 무기체계에서 소프트웨어의 비중과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24년에는 소프트웨어 중심 무기체계 획득을 위한 별도의 절차를 신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3...
    Date2024.01.07 Views675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 168 Next
/ 16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