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362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日, 지난달 31일 강력 항의… 해경이 주도키로

 

한국일보 김광수기자 rollings@hk.co.kr  / 권경성기자 ficciones@hk.co.kr

입력시간 : 2012.09.04 02:39:24  수정시간 : 2012.09.04 12:56:32

 

정부가 7일부터 나흘 동안 실시하는 육·해·공군 합동 독도방어훈련에서 상륙 작전에 투입할 해병대 병력을 제외하기로 3일 결정해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앞서 일본 정부는 지난달 31일 고위급 외교채널을 통해 한국의 독도방어훈련 계획에 대해 항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독도 문제에서 단호한 대응을 강조하던 정부의 대일 외교가 원칙 없이 오락가락한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군 관계자는 "당초 해병대가 독도에 상륙해 지형정찰까지 하는 시나리오였지만 해경이 주도하는 계획으로 바뀌었다"며 "독도에 외국의 군대가 아닌 민간인이 불법 상륙하는 상황을 가정해 해경이 주도적으로 퇴거하는 방식으로 훈련이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군 당국은 지난달 10일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 이후 한일 갈등이 고조되는 상황 속에서도 해병대가 참가하는 합동훈련을 예정대로 실시할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했었다. 이에 해병대 병력 30명과 헬기를 투입해 독도에서 공중돌격 상륙작전을 펼치는 방식으로 훈련을 진행할 예정이었다. 해병대는 2009년 이 같은 훈련을 한 적이 있다.

군의 다른 관계자는 "우리는 이미 훈련 준비가 다 끝났고 기상이 나쁠 것으로 예상되지도 않는데 갑자기 훈련 내용을 바꾼 것은 정치적 판단이 개입된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훈련 시나리오는 군 당국이 결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일본의 사사에 겐이치로(佐佐江賢一郞) 외무성 사무차관과 무토 마사토시(武藤正敏) 주한 일본대사는 지난달 31일 각각 신각수 주일 한국대사와 안호영 외교부 1차관을 만나 독도방어훈련에 대한 우려와 유감을 표명하고 훈련을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한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 따라서 일본의 반발 수위를 낮추기 위해 정부가 군사훈련 내용을 바꿨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국제사법재판소(ICJ) 단독 제소 등 독도 문제를 놓고 한일 양국이 대립할 여지가 있는 상황에서 일본이 한국의 군사훈련에 민감하게 반응했다"며 "외교 채널을 재가동한 성과는 거뒀지만 서로 간에 좋은 얘기가 나오기 힘든 상황이었다"고 말했다.

 

 

"독도 수호" 엄포만… 전략은 없었다


 

김광수기자


정부가 독도방어훈련 실시를 불과 나흘 앞둔 3일 해병대 투입 방침을 갑자기 취소한 것은 독도 문제에 대처하는 대(對)일본 외교 전략에 일관성이 없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이다.

이번 훈련에 참가할 예정이던 해병대 병력은 30명에 불과하지만 독도 영유권 차원에서는 상징적 의미가 적지 않다. 해병대는 해군, 공군과 달리 헬기에서 줄을 타고 내려와 직접 독도 땅을 밟는 유일한 병력이기 때문에 해병대 투입은 일본을 상대로 독도 수호 의지를 과시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특히 올해는 기상 여건이 나쁘지 않아 2009년 이후 3년 만에 해병대가 독도에 상륙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다.

이 같은 중요성을 의식해 군 당국은 지난달 15일 "해병대가 참가하는 군사훈련을 예정대로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에 이어 일왕에 대해 사과를 요구하는 발언이 공개돼 일본측이 격렬하게 반발하면서 한일 간 갈등이 최고조로 치닫던 시점이었다.

정부도 독도가 우리 고유의 영토라는 점을 수차례 강조하며 단호한 입장을 고수했다.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의 서한을 반송하는 과정에서 외교적 마찰을 빚었지만 감수했고, 일본이 국제사법재판소(ICJ) 제소를 제안하자 이에 조목조목 반박하는 답신을 보내 한국의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하지만 지난달 31일 일본측이 한국과 일본에서 고위급 외교채널을 통해 훈련을 중단하라고 강력히 항의한 것을 계기로 정부는 불과 사흘 만에 해병대 투입 계획을 철회했다. 당시 일본에서는 신각수 주일대사와 사사에 겐이치로(佐佐江賢一郞) 사무차관이, 한국에서는 안호영 외교통상부 1차관과 무토 마사토시(武藤正敏) 주한 일본대사가 만났다. 모두 일본 측의 요청에 따른 만남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건설적인 한일관계를 위해 회동 내용을 비공개로 처리한다며 함구했지만 결과적으로 해병대 투입을 취소하면서 일본의 주장에 밀리는 모양새가 됐다.

이에 정부 관계자는 "독도에서 예정대로 군사훈련을 하면 되는 것이지 해병대가 참여하든 말든 무슨 차이가 있느냐"고 반문했다. 하지만 해병대의 전략적 중요성을 간과한 발언이란 지적이 많다. 이에 따라 "독도 문제에 접근하는 정책 기조가 치밀한 전략보다는 국민 정서에 치우쳐 오락가락하고 있다"는 비판들이 쏟아지고 있다.

정부는 독도 우발 사태에 대한 매뉴얼을 강조하면서도 군의 예정된 훈련 계획을 무시하는 잘못된 선례를 남겼다. 군 관계자는 "앞으로 훈련을 어떻게 하라는 것인지 모르겠다"며 말을 흐렸다.

기사출처 : 한국일보 http://news.hankooki.com


?

  1. 해군·해병대, 재선충 방제 위해 상륙함 타고 속속 입도

    제주도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작전에 투입된 해병대1사단 장병들이 지난 15일 제주항에 도착해 상륙함에서 내리고 있다. 사진제공=강동준 하사 제주도 전역이 소나무 재선충병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해군·해병...
    Date2013.11.18 By운영자 Views3563
    Read More
  2. 최윤희 합참의장, 서북도서 군사대비태세 점검

    최윤희 합참의장이 11일 서북도서 군사대비태세 점검 중 적 해안포 정밀 타격 능력을 갖춘 스파이크 미사일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합참 제공 최윤희 합참의장은 11일 “적이 도발해 왔을 때 즉각적으로 도발원점 ...
    Date2013.11.11 By운영자 Views3446
    Read More
  3. 해병대2사단 전차대대, 군가합창대회 우수상수상

    11월 8일 KBS홀에서 열린 국방부장관상 군가합창대회 본선에 참가한 해병대2사단 전차대대가 우수상을 수상했다. 대회에 참가한 해병대2사단 예하 전차대대 하사 김동욱등 28명은 서로 다른 목소리를 화합하여 환상의...
    Date2013.11.09 By운영자 Views5146
    Read More
  4. 제2회 국방부장관상 군가경연대회 - 해병대2사단 전차대대 결선참가

    내일 11월 8일(금) 오후 17시부터 서울 KBS홀에서는 제2회 국방부장관상 군가경연대회가 열립니다. 이번대회에는 해병대2사단 전차대대가 결선무대에 오릅니다. 사진은 작년 1회대회 당시 깜짝공연을 펼친 나인뮤지스!
    Date2013.11.07 By운영자 Views7311
    Read More
  5. No Image

    제12회 해병대 발전 국제 심포지엄(해병대)

    ‘전략환경 변화! 해병대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해병대, 14일 제12회 해병대 발전 국제 심포지엄 개최 국내ㆍ외 각계 인사 참가한 가운데 해병대 미래 발전 방향 모색 해병대(사령관 중장 이영주)는 11월 14일(...
    Date2013.11.07 By운영자 Views3741
    Read More
  6. 스포츠서울, 이영주 해병대사령관에 감사패 전달

    [스포츠서울] 5일 경기 화성 해병대사령부에서 스포츠서울 박선화 전무(오른쪽)가 ‘서울수복63주년 기념 제5회 해병대 마라톤’ 지원에 대한 감사패를 이영주 해병대사령관(중장)에게 전달하고 있다. 2013. 11. 5. 경...
    Date2013.11.05 By운영자 Views4299
    Read More
  7. 해병대, 2013 국제우주항공방위산업전 참여

    해병대는 29일부터 11월 2일까지 일산 KINTEX 에서 열리는 2013 국제 우주항공방위산업전에 대한민국 해병대 홍보부스를 설치하여 운영합니다.
    Date2013.10.28 By운영자 Views6773
    Read More
  8. 신임 제방사 사령관에 김충환 준장 임명

    신임 해군제주방어사령부 사령관에 김충환(49·사진) 준장이 임명됐다. 해병대사령부는 제25대 제주방어사령관에 김 준장을 내정했다고 22일 밝혔다. 김 사령관은 충남 출신으로 해군사관학교(40기)를 졸업하고, 해병...
    Date2013.10.23 By운영자 Views5381
    Read More
  9. No Image

    김명환 前 해병대사령관, 한국자유총연맹 회장취임

    10일 서울 중구 장충동 소재 연맹 야외강당에서 열린 ‘제2창립의 시작, 제14대 김명환 회장 취임식에서 김명환총재가 취임사를 하고 있다. 김 회장은 “원칙, 기준, 명분에 입각해 참된 개혁과 쇄신을 이끌어낼 것이며...
    Date2013.09.10 By운영자 Views4898
    Read More
  10. No Image

    광개토사물놀이 공연단, 우도 경비대 위문

    북한이 손에 잡힐 듯 가까운 우도(隅島)를 사수하는 해병대 연평부대 우도경비대에 특별한 손님들이 찾아왔다. 지난 2일 오고 가는 여객선도, 행정선도 없는 이곳에 광개토사물놀이 공연단이 방문한 것. 이들은 민간...
    Date2013.09.05 By운영자 Views5005
    Read More
  11. No Image

    3대代 해병대 가족’ 4명 탄생

    3代 해병대 가족’ 4명 탄생 / 신병 1174기 수료식“무적해병 계승” 다짐 3대 해병대 가족으로 탄생한 최낙준(왼쪽부터)·지두환·정민건·윤종현 이병이 아버지와 함께 무적해병 전통 계승을 다짐하는 파이팅을 외치고 있...
    Date2013.08.12 By운영자 Views7745
    Read More
  12. No Image

    충남 태안 '사설 병영체험 캠프' 사고 관련 입장자료

    충남 태안 '사설 병영체험캠프(사설 해병대캠프)' 사고 관련 입장자료
    Date2013.07.19 By운영자 Views6152
    Read More
  13. No Image

    KAI,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체계개발 시작

    KAI,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체계개발 시작 (서울=연합뉴스) 방위사업청은 1일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상륙기동헬기 체계개발 협력약정서를 체결하고 체계개발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상륙기동헬기 체계구성. 2...
    Date2013.07.11 By운영자 Views6757
    Read More
  14. No Image

    해병대 부사관 및 병 선발기준 개정결과 안내

    해병대 부사관 및 병 선발기준 개정안내 / 해병대사령부
    Date2013.07.08 By운영자 Views6128
    Read More
  15. No Image

    삼형제 모두 해병대 보낸‘용감한 어머니’ 정영순 씨

    삼형제 모두 해병대 보낸‘용감한 어머니’ 정영순 씨 / 국방일보 2013.5.20 아들 삼형제를 해병대에 보낸 어머니 정영순 씨와 큰아들 박현민(맨 오른쪽), 셋째 현종 상병이 자택 인근 공원을 산책하며 이야기꽃을 피우...
    Date2013.05.19 By운영자 Views834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55 Next
/ 5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