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감사 실천수기 공모전 우수작-김강민(해병대 상병) / 경북일보

 

20130218045.jpg
김강민(해병대 상병)

 

입대하고 군생활을 한지 어느덧 16개월이란 시간이 흘렀습니다. 누가 제 인생에서 가장 큰 터닝포인트가 언제였냐고 물어본다면 저는 서슴없이 바로 '지금 이때'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최근 몇 개월 사이에 많은 변화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입대 전 노는것만 좋아하고 규율에따라 행동하고 구속되는건 싫어하던 저였기 때문에 당연히 군생활은 좋을수가 없었습니다. 훈련단 때는 몇백명이나 되는 동기들과의 단체 생활이었기 때문에 나 하나 잘한다고 칭찬받는것도 아니고 나 하나 못한다고 나만 혼나면 되는일이 아니라 많이 짜증이 쌓이고 스트레스도 받았었습니다. 실무생활 역시 과업에 대한 스트레스, 간부와의 스트레스, 선·후임과의 스트레스로 인해 자유롭게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여건이 되지 않았던 저는 혼자만 씩씩 거리고 저도 모르는 사이 비관적인 사람이 되어있었습니다.

입대전에는 언제나 긍정적인 마인드로 살아왔다고 자신할 수 있는 저였기에 어느 순간 정신차린 뒤 돌이켜본 내가 참 속상하고 한심하였습니다. 많은 것을 배우고 깨달았다고 생각하였지만 정작 삶을 살아가는데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마음가짐이 변해버린 것입니다. 그 당시 저를 생각해봐도 제 생활태도가 얼마나 마니 바뀌었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말이 줄어들고 예전에 웃던만큼 웃지도 않고 지금 생각해보면 왜 그랬나 싶을 정도로 참으로 안타깝기만 합니다. 한참 그렇게 생활할 때 연대에서 추진한 일이 바로 '감사노트를 생활화 하기'입니다. 처음감사노트를 받았을 때 피식하고 웃어버렸습니다. 감사할 일도 별로 없는데 이런건 적어서 뭐하고 적을 내용도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쓰라고 시간을 줄 때만 대충 끄적끄적 있는내용 없는내용 생각해내면서 시간 때우기 식, 공백 때우기 식으로 임했었습니다. 그 당시 저에겐 감사노트를 쓰는 것 자체가 내가 쉴 시간을 뺏고 귀찮게만 느껴지는 또 하나의 스트레스에 불과했습니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내 자신이 좀 밝아졌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왜 그런지 말로 어떻게 설명할 순 없지만 분명이 뭔가 바뀐게 느껴졌습니다. 웃는 횟수가 전처럼 늘어나고 어떤 일이 생겼을 때 그에 대한 생각도 조금씩 긍정적으로 바뀌어가기 시작했습니다. 설마 감사노트 때문일까 라고 반신반의 했지만 '에이 아니겠지'라고 '그냥 요즘 컨디션이 좋은 것일거야'라고만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점차 감사노트를 쓸 때 쓸 내용도 많이 생각나게 되어 쓰는 시간도 줄어들었습니다. 덩달아 매일매일 쓰는 버릇도 생기게 되었습니다.

예전 같으면 짜증낼만한 일도 그냥 웃어넘기게 되고, 모든 일에도 화를 낼만한 꼬투리를 잡기보다 거기서 감사할만한 점을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선·후임 사이에서도 그 사람의 단점이 보이던 내가 그 사람의 장점이 보이기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장난으로 끄적거리던 그 감사노트로 인해 어느순간 내 생각이 긍정적으로 바뀌고 매사에 감사할 수 있도록 바뀐 것입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하루하루 귀찮게 느껴졌던 그 5~10분이 내 삶이 질을 다시 바꿔놓은 귀중한 시간이었던 것입니다. 지금은 스트레스 양도 줄고 지금이 순간도 '행복'한 순간이라고 느껴집니다. 스트레스를 아예 안 받는 것은 아니지만 그 스트레스 마저 기분좋게 해소할 수 있는 마음가짐이 되어있습니다.

군생활에 한참 염증을 느낄 때 나를 위해 만들어진 약처럼 짠 하고 등장해 준 '감사노트'. 더 크게 감사하는 삶을 가르쳐준 '감사나눔운동' 정말정말 고맙고 덕분에 이제 얼마남지 않은 군생활을 보람차고 즐겁게 보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감사나눔 운동을 계속 할 것이고 주위사람에게도 권하여 주위사람들 모두가 행복해 할 수 있도록 노력 할 것입니다. 내가 사랑하는 해병대를 위해 더 멋진 해병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며, 더불어 나에게 큰 깨달음을 준 감사노트 다시 한번 정말 감사합니다. 혹시라도 이 글을 읽으신 분도 아직 감사나눔을 망설이시거나 하지 않고 계시다면 저를 믿고 속는셈 치고 시작해보십시오. 하루가 짧아지고 행복하시게 될 것입니다. 언제나 감사하며 살겠습니다. 필승!

김강민(해병대 상병)

 



  1. No Image

    해병대와 개병대의 차이 -오시영의 세상의 창

    오시영 숭실대 법대학장/변호사/시인 우리는 해병대와 관련한 몇 가지 유행어를 알고 있다. 그 중 하나가 “한 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이라든지, “해병대는 개병대다!”라는 말이다. 앞의 말은 해병대의 용감성과 의리,...
    Date2011.07.22 Views2334
    Read More
  2. 해병대 공격하는 좌파진영 "해병대를 모욕하지 말라"

    해병대 공격하는 좌파진영 "해병대를 모욕하지 말라" 해병대 군기사고의 원인은 ‘전략기동군’에게 육군 임무 맡긴 때문 지난 4일 강화도 해병 2사단 해안경계소초에서 총기사고가 벌어졌다. 이로 인해 해병대의 관행...
    Date2011.07.20 Views2940
    Read More
  3. 해병대에서 빨간 명찰을 뗀다는 것은

    [편집자에게] 해병대에서 빨간 명찰을 뗀다는 것은 강신길 한국해양수산연수원장·해병대 예비역 준장 요즘 '귀신 잡는 해병대'가 '전우 잡는 해병대'가 되었다는 언론의 질책에 해병대 예비역 장성의 일원으로 몸 둘 ...
    Date2011.07.20 Views3872
    Read More
  4. No Image

    동성애자까지 나서 해병대를 모욕하지 말라

    [기자수첩] 해병대를 공격하는 좌파진영 ‘자칭 군인권단체’, 해병대 사고 조사에 끼워 달라 주장 해병대 군기사고의 원인은 ‘전략기동군’에게 육군 임무 맡긴 때문 좌파 진영, 盧정권 시절 '병영문화개선위원회' 실패...
    Date2011.07.19 Views2287
    Read More
  5. “그래도 용맹 해병대는 사랑 받아야 한다!”

    해병대를 위한 변명 그리고 고언 지난 4일 강화도 해병부대에서 가혹행위로 인해 김 모 상병이 총기를 난사해 4명의 해병대원이 목숨을 잃었다. 불과 일주일만인 10일 포항의 해병대 1사단에서 정모 일병이 가혹행위...
    Date2011.07.19 Views2153
    Read More
  6. 상륙작전에 정통한 장교로 첫걸음

    김규태 소위 / 해군5전단 생도생활을 마치고 해군 장교로서 실무에 배치되자마자 2011년 연대급 합동상륙훈련 상황장교로 파견을 가게 됐다. 상륙작전이라고는 생도 시절 군사학 과목으로 잠깐, 그리고 초군반 성분작...
    Date2011.07.17 Views3989
    Read More
  7. 황석영 작가가 해병대 후배들에게…다시 전우를 생각한다

    <서울신문 7/16 8면> 요즈음 해병대에서 일어난 몇 차례의 군기 사고에 대하여 너무도 뻔하고 상투적인 여론이 들끓는 것을 보며 착잡한 마음을 금할 수가 없다. 나는 한국의 젊은이라면 누구나 겪어야 하는 병역의 ...
    Date2011.07.17 Views3551
    Read More
  8. 진화의 시계가 정지된 해병대 / 김종대

    김종대 <디앤디포커스> 편집장 생물이 유전자를 통해 자신을 복제하듯이 인간 집단도 자신의 문화를 후대로 전승한다. 이러한 집단의 유전자를 사회생물학에서는 ‘밈’(Meme)이라고 한다. 이를 통해 다른 집단과 구별...
    Date2011.07.17 Views2772
    Read More
  9. No Image

    해병대 때리는 언론을 네티즌이 때린다

    몽상한 문사들의 횡포에 우직한 무사들 반발 방송의 해병대 죽이기가 집요하게 반복되는 게 아닌가 의심되는 가운데 네티즌들은 반송에 비판적이다. 14일 "유낙준 해병대사령관은 12일 김관진 국방부 장관을 만나 ‘책...
    Date2011.07.16 Views4856
    Read More
  10. [설왕설래] 해병대

    無敵海兵(무적해병)’, 이승만 초대 대통령이 최초로 써준 휘호다.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6월 해병 제1연대가 17일 만에 강원도 양구의 도솔산을 점령한 공로다. 이때부터 해병은 무적해병으로 통했다. ‘귀신 잡...
    Date2011.07.14 Views2757
    Read More
  11. 강한 훈련으로 무적해병의 명성을/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지난 한주 해병2사단 총기사건으로 온 나라가 충격에 빠졌다.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의 낭보가 아니었더라면 며칠 더 뉴스의 앞머리를 장식했을지 모른다. 동료 전우 4명의 목숨을 앗...
    Date2011.07.12 Views4769
    Read More
  12. ‘영원한 해병’의 위기- 방형남(동아닷컴)

    해병부대 총기 사건은 지난달 말 정년퇴직한 선배가 남긴 말을 다시 떠올리게 한다. 그는 논설위원 동료들과 석별의 정을 나 누는 자리에서 “군과 검경(檢警)은 비판을 할 때도 밑바탕에 애정을 깔고 바라봐야 한다”...
    Date2011.07.10 Views2652
    Read More
  13. No Image

    우리를 돌아보는 계기입니다.

    유용원의 군사세계 sealhur 님의 게시글 제대한지 30년이 되어 가지만 마음은 아직도 현역이란 생각에서 벗어나질 못합니다. 해병대란 이렇게 강한 중독과 향수를 갖게하는 거겠죠. 언론에서 말하는대로 배타적이고 ...
    Date2011.07.08 Views1932
    Read More
  14. No Image

    深度 있는 조사로 해병대 병영 바꿀 것 집어내라 - 조선일보 사설

    해병대 2사단의 강화도 해안 소초 생활관(내무반)에서 근무하던 김모 상병이 총기를 난사해 부대원 4명이 숨지고 1명이 부상했다. 지난 2005년 6월 경기 연천군 육군 28사단 최전방 초소(GP)에서 김모 일병이 수류탄...
    Date2011.07.06 Views2527
    Read More
  15. No Image

    <연합시론> `군기 빠진' 해병대, 강군으로 거듭나야

    (서울=연합뉴스) 우리 군의 최정예로 꼽히는 해병대가 흔들리고 있다. 군기가 풀렸다는 징후가 꼬리를 물더니 급기야 병사 4명이 죽고 2명이 다치는 총기난사 사건이 터졌다. 해병대에서 이런 총기 사건이 난 것은 사...
    Date2011.07.05 Views2420
    Read More
  16. No Image

    ‘해병대 정신’ 다시 세우라 - 문화일보 사설

    강화도 해병대 해안 소초에서 4일 발생한 총기난사 사건은 국민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김정일의 잦은 도발에 맞서며 서해영토를 지켜온 해병대에서 병사 4명이 동료 사병의 총기난사로 숨진 사건은 1990년대 ...
    Date2011.07.05 Views2510
    Read More
  17. 7연대 장병문예공모전 우수작

    7연대 장병문예공모전 우수작 출처 : 7연대 카페 멧돼지동산
    Date2011.07.03 Views3966
    Read More
  18. ‘싸우면 이기는’ 해병대, 날개 달다

    전황기 해병대사령부 중령 [6월, 당신을 기억하겠습니다] ⑤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창설 배경과 의미 과거부터 서북도서와 NLL 부근에서는 크고 작은 북한의 도발 위협이 지속되었고, 그때마다 우리 해병대는 이를 지키...
    Date2011.06.30 Views2437
    Read More
  19. No Image

    해병대 독자성 강화 기대된다

    <기호일보 사설 2011.6.28>마침내 해병대조직법, 군인사법, 군수품관리법 등 3개 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되면서 해병대는 명실상부한 법적 지위 및 독자성이 대폭 강화됐다고 한다. 작년 북한의 천안함 폭침 사건...
    Date2011.06.30 Views1973
    Read More
  20. No Image

    조용하지만 강한 ‘제주도 해병대’

    서인직 해군제주방어사령부 본부대 상병 / 제주일보 대부분의 사람들은 제주도에 해병대가 있다는 사실을 잘 모른다. 그리고 전투와는 한참 먼 후방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제주도는 도민들의 10분의 1이 해병대 출...
    Date2011.06.25 Views462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 28 Next
/ 2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