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오늘과 내일/방형남]연평도 해병이 대선후보들에게 “NLL은…”

 

연평도에는 벌써 칼바람이 불고 있었다. 14일 오전 군 헬기 편으로 찾은 연평도는 강풍과 높은 파도로 사흘째 여객선 운항이 빙형남.jpg 끊긴 ‘외로운 섬’이었다. 2010년 11월 23일 북한군의 무자비한 포격으로 생긴 상처는 아물었을까. 2년은 긴 세월이 아니었다. 섬 곳곳에 아직도 피격의 흔적이 생생했다.

곳곳에 남아 있는 北 포격 흔적

해병부대에 도착하니 여기저기 붉은 깃발이 보였다. 그날의 기억을 잊지 않기 위해 포탄이 떨어진 곳에 꽂아둔 것이다. 해병부대가 사용하는 한 건물의 옥상 귀퉁이는 포탄에 찢겨 너덜너덜한 상태로 매달려 있었다. 부대 주변 야산은 포격 당시 화재로 나무들이 모두 타버려 벌거숭이로 손님들을 맞았다. 해병들은 ‘잊지 말자 연평 포격전, 응징하자 적 도발’이라는 구호가 적힌 현수막을 걸어 놓고 각오를 다지고 있었다.



북한의 방사포가 어떻게 산 뒤에 바짝 붙어 있는 군부대 건물에까지 날아들었을까. 관측초소(OP)에 올라 북한 쪽을 보고 나서야 의문이 풀렸다. 바로 눈앞이 북한 땅이다. 북한군의 포탄이 날아온 무도가 11km 전방에 있다. 육안으로도 선명하게 보인다. 그렇게 가까운 곳에서 방사포를 160여 발이나 쏘아댔으니 아무리 해병대가 은폐 엄폐를 해도 피해를 막을 수 없었던 것이다.

연평도 사태는 아직도 진행 중이다. 점점이 보이는 북한 섬 가운데 장재도가 유독 눈에 띈다. 바로 옆 석도는 나무가 무성해 초록색이지만 장재도는 누런 바위섬이다. 8월 17일 김정은이 방문한 뒤 각종 군사시설 공사를 하느라 나무를 모조리 베어버려 해골섬이 됐다. 해병부대 지휘관은 “최고 지도자의 격려를 받은 북한 병사들은 명령이 떨어지면 죽기 살기로 싸울 것”이라며 김정은의 무도 장재도 방문으로 군사적 위협이 더욱 커졌다고 설명했다.

북한 어선의 잦은 연평도 인근 북방한계선(NLL) 침범도 예사롭지 않다. 북한 어선은 올 들어 9차례나 NLL을 침범했다. 중국 어선의 불법 조업도 심각하다. 요즘 NLL 북쪽 해상에서 꽃게를 잡는 중국 어선은 200척 수준으로 북한 어선 수와 비슷하다. 북한 인공기를 달고 다니는 중국 어선도 있다. 어선으로 위장한 북한군의 도발도 경계해야 한다.

NLL은 연평도에서 1.5km 떨어져 있다. 그곳을 놓고 대선후보들의 주장이 엇갈린다.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는 “우리 장병들이 목숨을 바쳐 지켜온 NLL에 대한 어떠한 도발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통합당의 문재인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후보는 “NLL을 수호하겠다”면서도 공동어로수역과 서해평화협력지대 방안을 거론했다. 민주당은 지난달 18일 이명박 대통령의 연평도 방문에 대해 “정치적 의도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며 시비를 걸었다. 현직 대통령의 안보 행보를 비난하더니 뒤늦게 NLL 사수를 주장하는 것은 무슨 논리인지 모르겠다.

NLL 절대사수 의지 충만한 장병들

북한에 연평도를 비롯한 서북 5개 도서는 ‘옆구리를 겨누는 비수’와 같다. 현장에서 보면 절로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해병 지휘관은 “안보는 현장에 답이 있다”고 했다. 연평도야말로 대선후보들이 챙겨야 할 안보 현장이다. 북한이 도발 야욕을 접지 않았는데도 우리 스스로 군사적 가치를 포기하려는 것은 위험한 발상이다. NLL 지위 변경 거론은 북한과의 기 싸움에서 지고 들어가는 것이다. 작은 쪽배를 타고 무도와 장재도를 찾았던 김정은이 남한 대선후보들을 보며 속으로 쾌재를 외칠 것 같다.

NLL에 대한 논란으로 혼란스럽지 않으냐는 질문에 해병대 장교와 병사들은 한 치의 흔들림도 없이 “해병대는 NLL 절대 사수입니다”라고 대답했다. 대선후보들이 직접 들어야 할 답변이라는 생각을 하며 연평도를 떠났다.

방형남 논설위원 hnbhang@donga.com

http://news.donga.com/3/all/20121117/50909149/1



  1. No Image

    해병대와 개병대의 차이 -오시영의 세상의 창

    오시영 숭실대 법대학장/변호사/시인 우리는 해병대와 관련한 몇 가지 유행어를 알고 있다. 그 중 하나가 “한 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이라든지, “해병대는 개병대다!”라는 말이다. 앞의 말은 해병대의 용감성과 의리,...
    Date2011.07.22 Views2334
    Read More
  2. 해병대 공격하는 좌파진영 "해병대를 모욕하지 말라"

    해병대 공격하는 좌파진영 "해병대를 모욕하지 말라" 해병대 군기사고의 원인은 ‘전략기동군’에게 육군 임무 맡긴 때문 지난 4일 강화도 해병 2사단 해안경계소초에서 총기사고가 벌어졌다. 이로 인해 해병대의 관행...
    Date2011.07.20 Views2940
    Read More
  3. 해병대에서 빨간 명찰을 뗀다는 것은

    [편집자에게] 해병대에서 빨간 명찰을 뗀다는 것은 강신길 한국해양수산연수원장·해병대 예비역 준장 요즘 '귀신 잡는 해병대'가 '전우 잡는 해병대'가 되었다는 언론의 질책에 해병대 예비역 장성의 일원으로 몸 둘 ...
    Date2011.07.20 Views3872
    Read More
  4. No Image

    동성애자까지 나서 해병대를 모욕하지 말라

    [기자수첩] 해병대를 공격하는 좌파진영 ‘자칭 군인권단체’, 해병대 사고 조사에 끼워 달라 주장 해병대 군기사고의 원인은 ‘전략기동군’에게 육군 임무 맡긴 때문 좌파 진영, 盧정권 시절 '병영문화개선위원회' 실패...
    Date2011.07.19 Views2287
    Read More
  5. “그래도 용맹 해병대는 사랑 받아야 한다!”

    해병대를 위한 변명 그리고 고언 지난 4일 강화도 해병부대에서 가혹행위로 인해 김 모 상병이 총기를 난사해 4명의 해병대원이 목숨을 잃었다. 불과 일주일만인 10일 포항의 해병대 1사단에서 정모 일병이 가혹행위...
    Date2011.07.19 Views2153
    Read More
  6. 상륙작전에 정통한 장교로 첫걸음

    김규태 소위 / 해군5전단 생도생활을 마치고 해군 장교로서 실무에 배치되자마자 2011년 연대급 합동상륙훈련 상황장교로 파견을 가게 됐다. 상륙작전이라고는 생도 시절 군사학 과목으로 잠깐, 그리고 초군반 성분작...
    Date2011.07.17 Views3989
    Read More
  7. 황석영 작가가 해병대 후배들에게…다시 전우를 생각한다

    <서울신문 7/16 8면> 요즈음 해병대에서 일어난 몇 차례의 군기 사고에 대하여 너무도 뻔하고 상투적인 여론이 들끓는 것을 보며 착잡한 마음을 금할 수가 없다. 나는 한국의 젊은이라면 누구나 겪어야 하는 병역의 ...
    Date2011.07.17 Views3551
    Read More
  8. 진화의 시계가 정지된 해병대 / 김종대

    김종대 <디앤디포커스> 편집장 생물이 유전자를 통해 자신을 복제하듯이 인간 집단도 자신의 문화를 후대로 전승한다. 이러한 집단의 유전자를 사회생물학에서는 ‘밈’(Meme)이라고 한다. 이를 통해 다른 집단과 구별...
    Date2011.07.17 Views2772
    Read More
  9. No Image

    해병대 때리는 언론을 네티즌이 때린다

    몽상한 문사들의 횡포에 우직한 무사들 반발 방송의 해병대 죽이기가 집요하게 반복되는 게 아닌가 의심되는 가운데 네티즌들은 반송에 비판적이다. 14일 "유낙준 해병대사령관은 12일 김관진 국방부 장관을 만나 ‘책...
    Date2011.07.16 Views4856
    Read More
  10. [설왕설래] 해병대

    無敵海兵(무적해병)’, 이승만 초대 대통령이 최초로 써준 휘호다.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6월 해병 제1연대가 17일 만에 강원도 양구의 도솔산을 점령한 공로다. 이때부터 해병은 무적해병으로 통했다. ‘귀신 잡...
    Date2011.07.14 Views2757
    Read More
  11. 강한 훈련으로 무적해병의 명성을/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지난 한주 해병2사단 총기사건으로 온 나라가 충격에 빠졌다.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의 낭보가 아니었더라면 며칠 더 뉴스의 앞머리를 장식했을지 모른다. 동료 전우 4명의 목숨을 앗...
    Date2011.07.12 Views4769
    Read More
  12. ‘영원한 해병’의 위기- 방형남(동아닷컴)

    해병부대 총기 사건은 지난달 말 정년퇴직한 선배가 남긴 말을 다시 떠올리게 한다. 그는 논설위원 동료들과 석별의 정을 나 누는 자리에서 “군과 검경(檢警)은 비판을 할 때도 밑바탕에 애정을 깔고 바라봐야 한다”...
    Date2011.07.10 Views2652
    Read More
  13. No Image

    우리를 돌아보는 계기입니다.

    유용원의 군사세계 sealhur 님의 게시글 제대한지 30년이 되어 가지만 마음은 아직도 현역이란 생각에서 벗어나질 못합니다. 해병대란 이렇게 강한 중독과 향수를 갖게하는 거겠죠. 언론에서 말하는대로 배타적이고 ...
    Date2011.07.08 Views1932
    Read More
  14. No Image

    深度 있는 조사로 해병대 병영 바꿀 것 집어내라 - 조선일보 사설

    해병대 2사단의 강화도 해안 소초 생활관(내무반)에서 근무하던 김모 상병이 총기를 난사해 부대원 4명이 숨지고 1명이 부상했다. 지난 2005년 6월 경기 연천군 육군 28사단 최전방 초소(GP)에서 김모 일병이 수류탄...
    Date2011.07.06 Views2527
    Read More
  15. No Image

    <연합시론> `군기 빠진' 해병대, 강군으로 거듭나야

    (서울=연합뉴스) 우리 군의 최정예로 꼽히는 해병대가 흔들리고 있다. 군기가 풀렸다는 징후가 꼬리를 물더니 급기야 병사 4명이 죽고 2명이 다치는 총기난사 사건이 터졌다. 해병대에서 이런 총기 사건이 난 것은 사...
    Date2011.07.05 Views2420
    Read More
  16. No Image

    ‘해병대 정신’ 다시 세우라 - 문화일보 사설

    강화도 해병대 해안 소초에서 4일 발생한 총기난사 사건은 국민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김정일의 잦은 도발에 맞서며 서해영토를 지켜온 해병대에서 병사 4명이 동료 사병의 총기난사로 숨진 사건은 1990년대 ...
    Date2011.07.05 Views2510
    Read More
  17. 7연대 장병문예공모전 우수작

    7연대 장병문예공모전 우수작 출처 : 7연대 카페 멧돼지동산
    Date2011.07.03 Views3966
    Read More
  18. ‘싸우면 이기는’ 해병대, 날개 달다

    전황기 해병대사령부 중령 [6월, 당신을 기억하겠습니다] ⑤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창설 배경과 의미 과거부터 서북도서와 NLL 부근에서는 크고 작은 북한의 도발 위협이 지속되었고, 그때마다 우리 해병대는 이를 지키...
    Date2011.06.30 Views2437
    Read More
  19. No Image

    해병대 독자성 강화 기대된다

    <기호일보 사설 2011.6.28>마침내 해병대조직법, 군인사법, 군수품관리법 등 3개 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되면서 해병대는 명실상부한 법적 지위 및 독자성이 대폭 강화됐다고 한다. 작년 북한의 천안함 폭침 사건...
    Date2011.06.30 Views1973
    Read More
  20. No Image

    조용하지만 강한 ‘제주도 해병대’

    서인직 해군제주방어사령부 본부대 상병 / 제주일보 대부분의 사람들은 제주도에 해병대가 있다는 사실을 잘 모른다. 그리고 전투와는 한참 먼 후방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제주도는 도민들의 10분의 1이 해병대 출...
    Date2011.06.25 Views462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 28 Next
/ 2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