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오늘과 내일/방형남]연평도 해병이 대선후보들에게 “NLL은…”

 

연평도에는 벌써 칼바람이 불고 있었다. 14일 오전 군 헬기 편으로 찾은 연평도는 강풍과 높은 파도로 사흘째 여객선 운항이 빙형남.jpg 끊긴 ‘외로운 섬’이었다. 2010년 11월 23일 북한군의 무자비한 포격으로 생긴 상처는 아물었을까. 2년은 긴 세월이 아니었다. 섬 곳곳에 아직도 피격의 흔적이 생생했다.

곳곳에 남아 있는 北 포격 흔적

해병부대에 도착하니 여기저기 붉은 깃발이 보였다. 그날의 기억을 잊지 않기 위해 포탄이 떨어진 곳에 꽂아둔 것이다. 해병부대가 사용하는 한 건물의 옥상 귀퉁이는 포탄에 찢겨 너덜너덜한 상태로 매달려 있었다. 부대 주변 야산은 포격 당시 화재로 나무들이 모두 타버려 벌거숭이로 손님들을 맞았다. 해병들은 ‘잊지 말자 연평 포격전, 응징하자 적 도발’이라는 구호가 적힌 현수막을 걸어 놓고 각오를 다지고 있었다.



북한의 방사포가 어떻게 산 뒤에 바짝 붙어 있는 군부대 건물에까지 날아들었을까. 관측초소(OP)에 올라 북한 쪽을 보고 나서야 의문이 풀렸다. 바로 눈앞이 북한 땅이다. 북한군의 포탄이 날아온 무도가 11km 전방에 있다. 육안으로도 선명하게 보인다. 그렇게 가까운 곳에서 방사포를 160여 발이나 쏘아댔으니 아무리 해병대가 은폐 엄폐를 해도 피해를 막을 수 없었던 것이다.

연평도 사태는 아직도 진행 중이다. 점점이 보이는 북한 섬 가운데 장재도가 유독 눈에 띈다. 바로 옆 석도는 나무가 무성해 초록색이지만 장재도는 누런 바위섬이다. 8월 17일 김정은이 방문한 뒤 각종 군사시설 공사를 하느라 나무를 모조리 베어버려 해골섬이 됐다. 해병부대 지휘관은 “최고 지도자의 격려를 받은 북한 병사들은 명령이 떨어지면 죽기 살기로 싸울 것”이라며 김정은의 무도 장재도 방문으로 군사적 위협이 더욱 커졌다고 설명했다.

북한 어선의 잦은 연평도 인근 북방한계선(NLL) 침범도 예사롭지 않다. 북한 어선은 올 들어 9차례나 NLL을 침범했다. 중국 어선의 불법 조업도 심각하다. 요즘 NLL 북쪽 해상에서 꽃게를 잡는 중국 어선은 200척 수준으로 북한 어선 수와 비슷하다. 북한 인공기를 달고 다니는 중국 어선도 있다. 어선으로 위장한 북한군의 도발도 경계해야 한다.

NLL은 연평도에서 1.5km 떨어져 있다. 그곳을 놓고 대선후보들의 주장이 엇갈린다.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는 “우리 장병들이 목숨을 바쳐 지켜온 NLL에 대한 어떠한 도발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통합당의 문재인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후보는 “NLL을 수호하겠다”면서도 공동어로수역과 서해평화협력지대 방안을 거론했다. 민주당은 지난달 18일 이명박 대통령의 연평도 방문에 대해 “정치적 의도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며 시비를 걸었다. 현직 대통령의 안보 행보를 비난하더니 뒤늦게 NLL 사수를 주장하는 것은 무슨 논리인지 모르겠다.

NLL 절대사수 의지 충만한 장병들

북한에 연평도를 비롯한 서북 5개 도서는 ‘옆구리를 겨누는 비수’와 같다. 현장에서 보면 절로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해병 지휘관은 “안보는 현장에 답이 있다”고 했다. 연평도야말로 대선후보들이 챙겨야 할 안보 현장이다. 북한이 도발 야욕을 접지 않았는데도 우리 스스로 군사적 가치를 포기하려는 것은 위험한 발상이다. NLL 지위 변경 거론은 북한과의 기 싸움에서 지고 들어가는 것이다. 작은 쪽배를 타고 무도와 장재도를 찾았던 김정은이 남한 대선후보들을 보며 속으로 쾌재를 외칠 것 같다.

NLL에 대한 논란으로 혼란스럽지 않으냐는 질문에 해병대 장교와 병사들은 한 치의 흔들림도 없이 “해병대는 NLL 절대 사수입니다”라고 대답했다. 대선후보들이 직접 들어야 할 답변이라는 생각을 하며 연평도를 떠났다.

방형남 논설위원 hnbhang@donga.com

http://news.donga.com/3/all/20121117/50909149/1



  1. 당신의 그릇은 군인정신으로 가득 차 있습니까?

    서 형 교 중위(진) 해병대2사단 백호여단 해병의 긍지, 해병 생활신조, 장교의 책무, 국군의 이념과 사명. 후보생 시절부터 임관 후 초군반을 수료하기까지 수없이 외워왔던 여러 문구다. 각기 내용은 조금씩 다르지...
    Date2020.02.23 Views697
    Read More
  2. [김동우 기고] 4년 후, 새로운 철인의 탄생을 기대하며

    김동우 해군군수사령부 수송관리처장·중령 나이 46세, 트라이애슬론 입문 4년 차. 최근 중국 우한에서 열린 ‘제7회 세계군인체육대회’ 출전은 도전의 연속이었다. 수영 1.5㎞, 사이클 40㎞, 마라톤 10㎞를 완주해야 ...
    Date2019.11.27 Views6432
    Read More
  3. 나의 꿈에 날개를 달다!

    김동영 병장 해병대2사단 화룡대대 ‘정의와 자유를 수호하는 호국충성 해병대.’ 나는 어렸을 때부터 해병대를 동경했다. 해병은 강인한 체력과 정신력을 바탕으로 전문적인 전투기술을 숙달해 어떠한 상황에서도 임무...
    Date2019.11.05 Views1420
    Read More
  4. 아버지의 위문편지

    박태희 상사 해병대사령부 공병참모처 1994년 6월 아침, 시원한 바람이 나뭇가지를 간지럽히고 태양은 이글거릴 준비를 하며 살짝 고개를 내밀고 있었다. 아침 기상을 알리는 군가가 스피커에서 쏟아져 나오고 나와 ...
    Date2019.07.05 Views869
    Read More
  5. 당신은 누구의 인생을 살고 있는가?

    김다운 일병 해병대2사단 최근 감명 깊게 읽은 책 『자존감 심리학』(토니 험프리스 저·다산초당)의 원제목은 ‘Whose life are you living?’이다. 직역하면 ‘당신은 누구의 인생을 살고 있는가?’다. 옮긴 이는 이를 ...
    Date2019.05.19 Views686
    Read More
  6. 나를 ‘정상화’하다

    정상화 상병 해병대6여단 번개대대 입대 전 나는 ‘진짜 의미 있는 군 생활’을 다짐하며 해병대에 지원했다. 하지만 막상 백령도에 실무 배치받고 근무하다 보니 그때의 다짐은 어디론가 사라지고, 휴가와 전역을 기다...
    Date2019.05.03 Views42078
    Read More
  7. 백범김구기념관을 다녀와서

    김재환 준위 해병대사령부 인사참모처 2019년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다. 일제 강점기에 빼앗긴 나라의 주권과 자유를 되찾기 위해 독립 만세운동으로 나의 조국 대한민국을 지켜낸 해이...
    Date2019.04.21 Views691
    Read More
  8. 모든 것은 변화한다 - 이웅기 상병

    이웅기 상병 해병대 제2상륙장갑차대대 최근 꿈과 목표를 하나씩 정리하면서 심리학에 관심이 커졌다. 관련 도서를 찾던 중 중대 북카페에서 새하얀 배경에 긴 하늘색 소파가 그려진 표지의 책을 찾았다. 『프로이트...
    Date2019.04.21 Views497
    Read More
  9. 울릉도, 그곳을 수호하며

    노태관 상병 해병대1사단 32대대 울릉도는 ‘독도는 우리 땅’이라는 노래 가사에서도 볼 수 있듯이 독도 옆에 있는 작은 섬이다. 옛날엔 그 절경이 너무 아름답고 신기해서 마치 신선이 살 것 같다 해 무릉도원으로도 ...
    Date2019.03.24 Views640
    Read More
  10. 동계 종합 전술훈련을 통한 성장

    남종현 해병대 2사단 수색대대·소위 지난 1월부터 2월까지 약 6주 동안 대대급 동계 종합 전술훈련을 했다. 항상 ‘소대장은 지휘자로서 부하의 목숨을 책임져야 한다’라는 신념을 갖고 있었지만, 첫 훈련이기 때문에 ...
    Date2019.03.24 Views479
    Read More
  11. 지금 여기, 우리만 할 수 있는 경험들

    노동균 병장 해병대1사단 3연대 나는 어릴 적부터 ‘내가 만든 영상 혹은 사진을 통해 전 세계인의 마음에 감정을 새기는 것’이 내 소망이자 목표였다. 그래서 입대해서도 사진과 영상을 계속 배울 수 있으면 좋겠다고...
    Date2019.02.12 Views678
    Read More
  12. 모든 환경에서 싸워 이길 수 있는 전천후 포병!

    유지민 병장 해병대6여단 - 포병대대 순환훈련을 다녀와서 서해 최북단 백령도서군을 수호하는 우리 부대는 지난해부터 포병 순환 훈련을 하고 있다. 포병부대를 연천·포항 등으로 이동해 진행하는 해병대 전개훈련(M...
    Date2019.02.10 Views638
    Read More
  13. 비행기는 역풍을 타고 이륙한다

    김규태 중위(진) 해병대2사단 선봉대대 지난해 12월, 제2회 사단 주관 청룡전사 선발대회에 참가했다. 10월에 있었던 제1회 청룡전사 선발대회부터 참가하고 싶었지만, 당시 훈련으로 인해 참가할 수 없었다. 하지만 ...
    Date2019.01.31 Views657
    Read More
  14. 소걸음으로 먼 길을 간다

    이 성 욱 병장 해병대1사단 ‘1만 시간의 법칙’이란 어떤 분야의 일을 1만 시간 동안 반복할 경우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될 수 있다는 법칙이다. 나는 오늘 이 긴 1만 시간을 위해 장기 프로젝트를 실행하려고 한다. 가...
    Date2019.01.22 Views531
    Read More
  15. 선택과 책임

    이완준 상병 해병대1사단 3연대 전지중대 42.195㎞의 마라톤. 언젠가 반드시 뛰고 싶다. 이렇게 자발적인 내 선택과 달리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뛰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같은 사람이 같은 거리를 뛰고 같은 고통...
    Date2019.01.22 Views49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37 Next
/ 37


CLOSE